$\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횡단보도 조명시설의 설치효과에 관한 연구
An Effect of Lighting Facilities on Crosswalk Accident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6 no.2 = no.101, 2008년, pp.25 - 33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박주천 (한국기술개발 감리부)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야간에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교통사고 방지대책과 구분하여 야간의 특수성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교통사고 방지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교통사고 잦은 지점의 개선을 위하여 설치한 도로조명 개선 시행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집중조명 방식의 가로등에 대한 설치효과 분석 결과, 평균 22.4%의 야간 교통사고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시행효과분석에서 공용기간 내 순현재가치는 25,648백만원, 편익비용비는 12.85로서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집중조명시설 설치 전 후의 교통사고 비교 유의성 검정 결과 유의수준 0.05에서 집중조명시설 설치 후 교통사고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조명시설의 설치시기가 서로 다르며 그 표본의 수가 적어 전국적인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으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개선사업의 효과를 구체화 할 수 있는 대안은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ractic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oncentrative lighting that is set up at night in some districts. For practicing this study, It was analyzed first, to study the past papers, second, to analyze the condition of the traffic acci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i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부 도로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보행자 사고를 중심으로 집중조명시설의 설치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효과를 분석하고 횡단보도 조명시설의 경제적 타당성과 효율성을 평가하여 교통사고 잦은 지점의 개선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그림 1> 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횡단보도 집중조명시설의 설치에 따른 효과분석, 경제적 타당성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집중 조명시설이 설치된 22개소에 대하여 교통사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교통사고는 6건이 증가하였지만 야간 교통사고는 31건 감소하여 22.

가설 설정

  • 교통사고 발생에 따른 손실비용은 한국교통연구원의 2001년 교통사고 비용인 사망자 1인당 221백만원, 부상자 1인당 12백만원을 이자율 6.5%로 가정하고 현재의 가치로 환산하였으며, 앞서 산출된 사망자 및 부상자 감소효과를 고려하여 교통사고 비용을 추정하였다. 편익의 현재가치는 27,813백만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사고 잦은 지점은 무엇을 말하는가? 교통사고 잦은 지점이란 다른 유사한 조건을 가진 장소와 비교해서 사고율이 평균치보다 높은 곳을 말하는데 단일로, 교차로, 도로접속지점, 교량, 터널 등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특정 지점으로 교통사고 잦은 지점 선정기준에 의해 선정된 지점을 말한다. 사고 잦은 지점에서 “지점”이란 경우에 따라 지점, 교차로, 도로구간중 하나를 의미한다.
교통사고 잦은 지점 개선사업 관련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문일균(1998)은 “교통사고 다발지점 개선사업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에서 인천광역시 교통사고 다발지점 공사장 88개소에 대한 효과분석 결과 사고건수, 인명피해를 크게 줄였으며 경제성 분석 후 B/C비가 10.0이 넘는 경제적 타당성이 입증되었다고 제시하였다. 이승원(1993)은 “경제성분석을 통한 교차로 입체화의 최적시기판단에 대한 연구”에서 평면교차로에 대하여 경제성 분석을 통한 건설비용, 교통량, 서비스수준 등을 고려하여 입체화의 최적투자시기를 분석하였다. 정우택(1998)은 “평면교차로 시설개선에 따른 효과 분석 및 평가”에서 경기도의 1995년도에 개선사업이 완료된 69개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로를 대상으로 한 경제성 평가방법으로 B/C 분석을 실시하여 사고다발 교차로의 B/C가 6.67로 나타나, 상당한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태준․박제진(2002)은 “위험도로 개선사업에 따른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에서 광주 및 순천국도유지건설사 무소 관할구역 내의 18개 구간에 대한 도로개선공사 전․후의 교통사고건수 및 교통사고율을 효과척도로 하여 각 사고에 대한 소요비용을 기준으로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Elvik(2006)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사고다발지역의 선정에 대하여 새로운 기법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Geurts(2004)는 벨기에의 플랑드르지역의 약 1014개의 사고 위험 지역을 대상으로 사고 건수 및 사고 심각 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사고위험지역을 구분하였다. Gordon(2007)은 케나다의 도시지역과 벤쿠버 인근의 지방지역으로 구분하여 577개의 위험구간에 대하여 교통사고 차량충돌사고모형을 개발하였다.
야간에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무엇으로 인해 발생하는가? 야간에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운전자의 도로구조 및 부속시설에 대한 충분한 안전시거 확보의 어려움과 교통 참가자의 피로와 불충분한 가로조명 그리고 이들 요인간의 부조화 등으로 발생하며, 주간에 비해 피해 정도가 크다는 데 그 심각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건설교통부(2002),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조명시설 편)" 

  2. 김영호(2006), "국도상 횡단보도 조명시설 설치 기본계획 수립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3.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5), "교통사고 통계" 

  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6), "교통사고 통계" 

  5. 문일균(1998), "교통사고 다발지점 개선사업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6. 박병정(2006), "교통사고 잦은 지점 및 구간 선정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7. 이승원(1993), "경제성 분석을 통한 교차로 입체화의 최적시기 판단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8. 정우택(1998), "교차로 시설개선에 따른 효과분석 및 평가",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9. 하태준.박제진.장안상.박찬모(2002), "위험도로 개선사업에 따른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213-222 

  10. Gordon R. Lovegrove and Tarek Sayed. (2007), "Macrolevel Collision Prediction Models to Enhance Traditional Reactive Road Safety Improvement Programs", TRB 2019, pp.65-73 

  11. Karolien Geurts, Geert Wets, Tom Brijs and Koen Vanhoof. (2004), "Identification and Ranking of Black Spots", TRB 1897, pp.34-42 

  12. Rune Elvik. (2006), "New Approach to Accident Analysis for Hazardous Road Locations", TRB 1953, pp.50-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