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횡단보도 LED안전유도블록 설치에 따른 효과분석
Effects of LED Safety Induction Block on Crosswalk Accid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7, 2014년, pp.4634 - 4643  

박대영 (부산대학교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  유경곤 (한국폴리텍VII대학 메카트로닉스과) ,  최원식 (부산대학교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초록

야간에는 주간에 비해 통행량감소에 따른 운전자의 법규위반이 많아지고 음주 및 운전자의 피로가 증가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성은 급격히 증대된다. 따라서 야간에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야간의 특수성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교통사고 방지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야간에 보행자 교통사고가 잦은 지점에 LED안전유도블록을 설치하여 도로조명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횡단보도진입로인 보행자대기구간에 보행선 개념으로 업라이트조명방식인 LED안전유도블록을 설치하여 효과를 분석한 결과, LED를 설치한 지점에서 야간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26.2% 부상자수는 21.2% 그리고 사망자 수는 38.3%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안전보행조명장치의 설치시기가 서로 다르며 그 표본의 수가 적어 전국적인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으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개선사업의 효과를 구체화 할 수 있는 대안은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D safety block using the government database. To evaluate these effects, the night accident data was obtained from 2007 to 2011 from the database. At the LED-installed area, compared to the uninstalled area, the number of night traffic ac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D안전유도블록은 횡단보도 보행자 대기구간에 설치되어 운전자는 전방 횡단보도진입로의 시거확보를 통해 보행자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으며 보행자는 LED안전유도블록을 인식함에 따라 주변차량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LED안전유도블록의 설치로 인해 보행자 통행 안전 개선효과에 대한 일반 시민의 인식 파악을 목적으로 설치장소 인근 보행자 및 장애인을 대상으로 LED안전유도블록 설치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LED안전유도블록의 설치 후 효과에 대해 높은 호응도를 보였으며 대표적인 질문으로는 Fig.
  • 본 논문에서는 LED안전유도블록 설치 전·후의 야간 교통사고 발생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횡단보도조명개선으로 인한 야간교통사고발생률의 감소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야간에 시인성 부족으로 인해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횡단보도에 LED안전유도블록시설을 설치하여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 또한 연간 교통사고에 의한 인명피해와 재산상의 손실은 매우 큰 수준이며 2008년도에 경남지역에서는 217,968,563천원에 달하는 손실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발생이 유사한 사고로 특정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교통사고가 잦은 곳 22개소에 LED안전유도블록 시설을 설치하고 그에 따른 효과분석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LED안전유도블록 설치 후 22개 지점에 대하여 2009년 교통사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야간에는 14건이 감소하여 77.

가설 설정

  • 노면에서 비추는 밝기가 적절할 것.
  • 조명기구의 눈부심이 없을 것
  • 시선의 유도성이 좋을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거리 이동의 대부분은 무엇에 의존하고 있는가? 보행은 인간의 가장 오래되고 기초적인 교통수단이다. 오늘날에는 자동차를 비롯한 다른 교통수단의 발달로 보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지만 근거리 이동의 대부분은 보행에 의존하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교통문제와 환경문제 등 많은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LED 안전유도블록의 역할은 무엇인가? LED 안전유도블록의 역할은 횡단보도진입로인 보행자 대기구간에 설치되어 보행자에 대한 운전자의 야간 시인성 확보를 통해 횡단보도 앞 감속운행을 유도하여 사고 위험을 감소시킨다.
심야시간에 발생하는 사고는 주간 사고에 비해 사망 사고 가능성이 높은 원인은? 따라서 야간, 특히 심야시간에 발생하는 사고는 주간 사고에 비해 사망 사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야간에는 주간에 비해 통행량이 적어 과속등 운전자의 법규위반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음주운전과 운전자의 피로, 운전자의 도로구조 및 부속시설에 대한 충분한 안전시거 확보의 어려움 등이 주요한 원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International Road Traffic Accident Database, 2005 

  2.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accident statistics, 2007-2011 

  3. Y. H. Kim, "Basic installation plan for illumination facility on crossroad",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6 

  4.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Improvement for Pedestrian Environment of Older Pedestrians", 2006 

  5. W. T. Jung, "Effect analysis on facility improvement of road intersection", Ph. D, Hanyang University, Seoul, 1999 

  6. D. P. Hong, "Prevention Program for night traffic accidents", Road Traffic Authority, 2000 

  7. J. J. Hwangbo, "A Study Driver Behavior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Traffic Accident : based on Gangbyeon Expressway", Ph. D, Hanyang University, Seoul, 2007 

  8. J. S. Han,"Characteristics of Cities Types by Automobile Traffic Accidents".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v.10 no.2 , pp.137-152 , 2007 

  9. S. B. Park, "Evaluating Effectiveness of Intelligent Crosswalk Safety Lights". 

  10.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Guide to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Street Safety Facilities: Illumination Facility Section.", 2002 

  11.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Service manual for improving traffic accident-prone areas", 2002 

  12. Road Traffic Authority, "Statistical Analys is of Traffic Accident.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