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보강용 FRP 복합체의 역학적 특성치 분석을 위한 인장시험방법 평가 연구
Appraisal Study on Tensile Test Method of Mechanical Properties of FRP Composite Used in Strengthening RC Members 원문보기

구조물진단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v.12 no.1 = no.47, 2008년, pp.73 - 80  

유영찬 (한국건설기술연구소 건축구조.재료연구실) ,  최기선 (한국건설기술연구소 건축구조.재료연구실) ,  강인석 ((주)토탈인포메이션서비스 한국지점) ,  김긍환 (한국건설기술연구소 건축구조.재료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RC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사에 적용되는 FRP 복합체의 역학적 특성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국에서 제안된 시험규격을 비교 분석하고, 시험편 형상 및 시험방법의 차이가 재료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검증을 통하여 표준화된 시험방법 및 평가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 실험변수는 FRP 복합체의 종류, 시험편의 폭, 보강매수 및 가력속도로 설정하였다. 본 시험결과에 의하면, 최대 인장강도와 최소변동계수를 나타내는 인장 시험편의 폭은 FRP의 종류/직조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적층형으로 시공되는 FRP 복합체는 보강매수에 따른 인장강도의 저하현상이 관측되므로, 이를 적절히 고려할 수 있는 평가기준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perimental study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construct the standard test methods and appraisal criteria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pecimen types(property, width, layers) and loading rate on the tensile characteristics of FRP used in strengthening RC structures. The FRP composite tes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로 인하여 섬유 사이에 함침수지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인장강도는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경향은 적층매수의 증가에 비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따라서 본 절에서는 FRP 복합체의 보강매수에 따른 인장강도 특성치를 파악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하고, 인장강도 저하 현상을 보강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설계 기본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 그러나 시험편의 폭이 증가되면 시험편 제작시 섬유의 직진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지며 이와 동시에 단면내의 응력 불균형이 증가되어 부분적인 파단이 발생될 확률이 증가되므로 인장강도 측면에서 불리하게 된다.(3)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험편 폭에 대한 검증시험을 통해 시험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표준화된 시험편 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8과 같이 비례한도 내에서 구간을 결정하는 방식에 따라서, 초기 변형률 구간에 대한 응력/변형률 비에 의해서 구하는 방식과 최대응력을 기준으로 일정 구간에 대한 응력/변형률 비로 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규격에서 제시하는 비례한도 구간에 대한 각 FRP 복합체의 인장탄성계수를 산정하여 비교 . 분석하였다.
  • 반면, 공장제작형 탄소섬유판과 같은 인발성형 제품은 일정한 재료구성비로 비교적 균질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완성된 복합체의 인장탄성률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규격에서 제시하는 인장 탄성률의 산정방식에 따라서 현재 국내에서 상용되고 있는 FRP 복합체의 인장탄성률을 비교 . 검토하였다.
  • 일반적으로 시험편의 인장강도는 시험속도에 비례하여 부분적으로 증가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각국의 인장시험규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가력속도를 실험적으로 비교 . 검토하였다.
  • 통상적으로 탄소섬유쉬트에 의한 보강에서는 보강매수가 5매를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쉬트를 1매에서 5매까지 제작하여 인장특성치를 파악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FRP 복합체의 인장시험에 대한 표준화된 시험방법 및 평가방법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 외의 다양한 시험규격을 비교.
  • (11)을 비교. 분석하고, 각국의 시험규격에서 설정하고 있는 시험방법의 차이가 재료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인 검증을 통하여 FRP 복합체에 대한 표준화된 시험방법 및 평가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검토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가력속도의 변화에 따른 인장강도 특성치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를 분석하여 합리적인 가력속도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 한편 2방향 유리섬유쉬트는 weaving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1방향 탄소섬유에 비하여 가공오차가 클 것으로 판단되므로 기존 규격에서도 공통적으로 25mm의 시험편 폭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연구에서는 시험편 폭의 길이가 인장장도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비교 . 검토하기 위하여 2방향 유리섬유쉬트의 경우는 25mm 시험변수를 포함하여 5가지 타입으로 세분화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S M 3381,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인장 시험 방법", 한국산업규격, 2004. 7 

  2. 유영찬 외, "시설물 보강공법 성능인증을 위한 시험항목.방법 및 평가기준 설정 연구," 건설교통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6 

  3. 유영찬 외, "건축구조물 보수.보강 공법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설교통부, 2001 

  4. 유영찬, 최기선, 강인석, 김긍환, "FRP 복합체의 인장특성치 시험방법에 관한 변수 연구", 대한건축학회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05, pp. 297-300 

  5. JIS K 7073, "炭素纖維强化プラスチックの引張試驗方法" 

  6. 일본토목학회, "連續纖維しシ?トを用いたコンクリ?ト構造物の補修補强指針", 2001 

  7. ACI 440. 2R-02,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ternally Bonded FRP Systems for Strengthening Concrete Structures", ACI Committee 440 

  8. ISO 527-5:1997, "Plastics-Determination of tensile properties-Part 5: Test conditions for unidirectional fibre-reinforced plastic composites" 

  9. EN 2561, "Aerospace series-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Unidirectional laminates-Tensile test parallel to the fiber direction" 

  10. ASTM D 3039,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polymer matrix composite materials" 

  11. CSA 806-02 Annex G, "Test method for tension test of flat specimens."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