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신생아에서 근육 주사 및 발뒤꿈치 천자 시 냉각 분사의 통증감소효과: 냉각 분사와 30% 경구 포도당액의 비교 Pain reducing effect of vapocoolant spray during injection and heelstick procedure in neonates원문보기
목 적 : 신생아에서 냉각 분사와 30% 포도당액의 경구투여의 통증 감소 효과를 비교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행해지는 처치 중, 통증 감소를 위한 방법으로 냉각 분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6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60명의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발뒤꿈치 천자와 근육 주사 시 다음 3가지 방법으로 통증 정도를 측정하였다. 제 1군(30명)은 발뒤꿈치천자군, 제 2군(30명)은 근육주사군이며, A군(10명)은 아무것도 처치하지 않은 군(대조군), B군(10명)은 30% 포도당액을 먹인 군, C군(10명)은 냉각스프레이를 분사한 군으로 나누어서 통증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통증의 평가 지표는 PIPP(Premature Infant Pain Profiles) 점수를 사용하였고, 심장 박동수와 산소포화도는 pulse oxymeter로 측정하였다. 결 과 : 발뒤꿈치천자군과 근육주사군에서 대조군의 PIPP 점수를 비교해보면 근육주사군에서 PIPP 점수가 높게 측정되었다(P=0.07).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평균 PIPP 점수를 보면 발뒤꿈치 천자시 대조군 $10.6{\pm}2.4$, 포도당군 $5.5{\pm}2.0$, 냉각 분사군 $5.2{\pm}1.8$로 대조군에 비해 냉각분사 및 포도당군들이 유의하게 낮았다(포도당군 P<0.001, 냉각 분사군 P<0.001). 근육 주사시 대조군 $12.5{\pm}1.4$, 포도당군 $7.0{\pm}1.7$, 냉각분사군 $6.4{\pm}1.6$으로 대조군에 비해 역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포도당군 P<0.001, 냉각 분사군 P<0.001). 통증을 느끼는 PIPP 6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해보면 발뒤꿈치 천자시 대조군 100%, 포도당군 40%, 냉각분사군 40%, 근육주사시 대조군 100%, 포도당군 90%, 냉각분사군 60%으로 냉각분사군에서 낮았다. 심한 통증을 느끼는 PIPP 12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해보면 발뒤꿈치천자시 대조군 60%, 포도당군 0%, 냉각분사군 0%, 근육주사시 대조군 70%, 포도당군 0%, 냉각분사군 0%로 대조군에 비해 포도당군과 냉각분사군에서 낮았다. 결 론 : 신생아에서 발뒤꿈치 천자나 근육 주사 시 냉각 분사는 경구 포도당액 만큼 통증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통증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냉각 분사가 고려될 수 있다.
목 적 : 신생아에서 냉각 분사와 30% 포도당액의 경구투여의 통증 감소 효과를 비교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행해지는 처치 중, 통증 감소를 위한 방법으로 냉각 분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6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60명의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발뒤꿈치 천자와 근육 주사 시 다음 3가지 방법으로 통증 정도를 측정하였다. 제 1군(30명)은 발뒤꿈치천자군, 제 2군(30명)은 근육주사군이며, A군(10명)은 아무것도 처치하지 않은 군(대조군), B군(10명)은 30% 포도당액을 먹인 군, C군(10명)은 냉각스프레이를 분사한 군으로 나누어서 통증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통증의 평가 지표는 PIPP(Premature Infant Pain Profiles) 점수를 사용하였고, 심장 박동수와 산소포화도는 pulse oxymeter로 측정하였다. 결 과 : 발뒤꿈치천자군과 근육주사군에서 대조군의 PIPP 점수를 비교해보면 근육주사군에서 PIPP 점수가 높게 측정되었다(P=0.07).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평균 PIPP 점수를 보면 발뒤꿈치 천자시 대조군 $10.6{\pm}2.4$, 포도당군 $5.5{\pm}2.0$, 냉각 분사군 $5.2{\pm}1.8$로 대조군에 비해 냉각분사 및 포도당군들이 유의하게 낮았다(포도당군 P<0.001, 냉각 분사군 P<0.001). 근육 주사시 대조군 $12.5{\pm}1.4$, 포도당군 $7.0{\pm}1.7$, 냉각분사군 $6.4{\pm}1.6$으로 대조군에 비해 역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포도당군 P<0.001, 냉각 분사군 P<0.001). 통증을 느끼는 PIPP 6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해보면 발뒤꿈치 천자시 대조군 100%, 포도당군 40%, 냉각분사군 40%, 근육주사시 대조군 100%, 포도당군 90%, 냉각분사군 60%으로 냉각분사군에서 낮았다. 심한 통증을 느끼는 PIPP 12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해보면 발뒤꿈치천자시 대조군 60%, 포도당군 0%, 냉각분사군 0%, 근육주사시 대조군 70%, 포도당군 0%, 냉각분사군 0%로 대조군에 비해 포도당군과 냉각분사군에서 낮았다. 결 론 : 신생아에서 발뒤꿈치 천자나 근육 주사 시 냉각 분사는 경구 포도당액 만큼 통증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통증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냉각 분사가 고려될 수 있다.
Purpose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efficacy of vapocoolant spray to decrease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pain in newborns undergoing heel stick and intramuscular injection and compare the pain relief effect of oral glucose. Methods : Randomized, controlled study including sixty newbo...
Purpose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efficacy of vapocoolant spray to decrease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pain in newborns undergoing heel stick and intramuscular injection and compare the pain relief effect of oral glucose. Methods : Randomized, controlled study including sixty newborns undergoing heel stick and intramuscular injection. Group 1 was heelsticked, Group 2 was intramuscular injected, Group A did not recieve any treatment, Group B recieved 30% glucose solution orally, Group C was applied vapocoolant spray symptoms and signs associated with pain at heel stick and intramuscular injection were measured with the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PIPP) scale.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IPP score between intramuscular injected group control and heel stick group control (P=0.07). The mean PIPP score of Group 1A (control) $10.6{\pm}2.4$, Group 1B $5.5{\pm}2.0$, Group 1C $5.2{\pm}1.8$. The mean PIPP score 1B and 1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1B P<0.001, 1C P<0.001). The mean PIPP score of Group 2A (control) $12.5{\pm}1.4$, Group 2B $7.0{\pm}1.7$, Group 2C $6.4{\pm}1.6$. The mean PIPP score 2B and 2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2B P<0.001, 2C P<0.001). Conclusion : The antinociceptive effect of vapocoolant sparay is as effective as 30% oral glucose solution for pain control. So this study support the use of vapocoolant spray for reducing pain during painful procedure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Purpose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efficacy of vapocoolant spray to decrease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pain in newborns undergoing heel stick and intramuscular injection and compare the pain relief effect of oral glucose. Methods : Randomized, controlled study including sixty newborns undergoing heel stick and intramuscular injection. Group 1 was heelsticked, Group 2 was intramuscular injected, Group A did not recieve any treatment, Group B recieved 30% glucose solution orally, Group C was applied vapocoolant spray symptoms and signs associated with pain at heel stick and intramuscular injection were measured with the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PIPP) scale.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IPP score between intramuscular injected group control and heel stick group control (P=0.07). The mean PIPP score of Group 1A (control) $10.6{\pm}2.4$, Group 1B $5.5{\pm}2.0$, Group 1C $5.2{\pm}1.8$. The mean PIPP score 1B and 1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1B P<0.001, 1C P<0.001). The mean PIPP score of Group 2A (control) $12.5{\pm}1.4$, Group 2B $7.0{\pm}1.7$, Group 2C $6.4{\pm}1.6$. The mean PIPP score 2B and 2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2B P<0.001, 2C P<0.001). Conclusion : The antinociceptive effect of vapocoolant sparay is as effective as 30% oral glucose solution for pain control. So this study support the use of vapocoolant spray for reducing pain during painful procedure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