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RFD법으로 설계된 단경간 및 연속경간 강합성 플레이트 거더 및 박스 거더의 휨에 대한 신뢰도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Single and Continuous Span Composite Plate and Box Girder Designed by LRFD Method under Flexure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0 no.1 = no.92, 2008년, pp.183 - 193  

신동구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노준식 (명지대학교 토목공학과) ,  조은영 (명지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LRFD 도로교설계규정을 정립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단경간 및 3경간 연속 플레이트 거더 및 박스 거더 합성단면을 하중저항계수설계법으로 설계하고 설계된 단면의 휨에 대한 신뢰도해석을 수행하였다. LRFD 법에 의한 합성거더 단면 설계 시에는 최근 국내 통행차량의 특성을 분석하여 새로 제안된 활하중을 적용하였다. 신뢰도해석에서 휨저항강도는 최근 국내에서 생산된 16,000여 구조용 강재 표본의 항복강도 통계적 특성을 반영하여 재료 비선형 소성해석으로 구한 강합성단면의 휨저항강도 통계를 이용하였다. 활하중에 의한 작용모멘트의 편심계수는 1.0~1.2를 적용하였으며 강거더 자중, 콘크리트 바닥판 자중, 포장면 자중 등에 의한 고정하중 모멘트 통계 값은 A SHTO 보정자료를 사용하였다. Rackwitz-Fiessler 법으로 신뢰도해석을 수행하고 지간별, 강거더 형식별, 활하중계수별, 활하중 모멘트의 편심계수별로 신뢰도지수 계산 결과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liability analysis of simply-supported and continuous composite plate girder and box girder bridges under flexure was performed to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RFD c ode. The bridges were designed based on LRFD specification with newly proposed design live load which was deve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황의승 등이 제안한 활하중 모형은 WIM(Weigh-In-Motion) 및 BWIM(Bridge Weigh-In-Motion) 시스템을 이용하여 국내 통행차량 통계를 구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구한 것이다. 논문에서는 LRFD법에 의한 단경간 및 연속경간 강합성 플레이트 거더 및 박스 거더 설계과정과 설계결과를 제시하였다. 단 경간교에 있어서 플레이트 거더교는 20m~60m를 박스 거더교는 30m~60m를 고려하였으며, 3경간 연속교의 경우는 경간비를 1:1.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황의승 등(2007)이 제안한 설계 활 하중 모형을 적용하여 국내 LRFD 도로교설계규정에 필수적인 저항계수와 하중계수 및 목표 신뢰도지수를 결정할 때 활용될 수 있는 강합성 거더교에 대한 신뢰도분석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황의승 등이 제안한 활하중 모형은 WIM(Weigh-In-Motion) 및 BWIM(Bridge Weigh-In-Motion) 시스템을 이용하여 국내 통행차량 통계를 구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구한 것이다.

가설 설정

  • 표 1에 요약한 바와 같이 강재는 SM520-TMC 강을 사용하였으며,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는 250mm, 압축강도는 30MPa로 가정하였다. 그림 3 및 그림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폭은 12,000mm로 3차선 도로이며, 플레이트 거더교의 경우에는 4개의 I-거더와 박스 거더교의 경우에는 2개의 개구제형 박스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새로이 제안된 설계활하중에 대한 하중계수 은 1.
  • 내측교각 위 최대 부모멘트 단면은 상부 콘크리트 슬래브를 무시하고 종방향 철근만이 유효한 것으로 가정하고 합성후단면계수를 계산하였다. 종방향 철근량은 AASHTOLRFD 의 최소 철근비 규정과 경험적 설계법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 판 유효 단면적의 1%로 가정하고 단면계수를 산정하였다.
  • 휨저항강도는 단면계수, 단면 조밀성 여부를 검토하고 단면 소성모멘트와 항복 모멘트 등을 계산하여 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멘트부 단면은 조밀단면으로 설계하였으며 복부판 종방향 보강재는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아래에 정모멘트 및 부모멘트를 받는 플레이트 거더 및 박스 거더 단면 설계과정을 간략 5] 기술하였으며 길이의 기본 단위는 mm, 하중은 N, 응력은 MPa이다.
  • 여기서 r*f 로 가정하였으며 GJlnU+b:/%2)), Ar=ln/ir-G72 이다.
  • 계산하였다. 종방향 철근량은 AASHTOLRFD 의 최소 철근비 규정과 경험적 설계법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 판 유효 단면적의 1%로 가정하고 단면계수를 산정하였다.
  • 설계변수는 강거더 상부플랜지, 복부판 및 하부플랜지의 치수이다. 표 1에 요약한 바와 같이 강재는 SM520-TMC 강을 사용하였으며,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는 250mm, 압축강도는 30MPa로 가정하였다. 그림 3 및 그림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폭은 12,000mm로 3차선 도로이며, 플레이트 거더교의 경우에는 4개의 I-거더와 박스 거더교의 경우에는 2개의 개구제형 박스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건설교통부 (2005) 도로교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2.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 (2008)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 - 교량 해석 및 설계 선진화,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03산C02-01, 4차년도 연구보고서(발간 예정) 

  3. 신동구, 김천용, 노준식, 박영석 (2007) 국내 생산 강재를 적용 한 강합성 거더 휨저항강도의 통계적 특성, 한국강구조학회, 제 19권 2호, pp. 139-146 

  4. 신동구, 김천용, 백인열 (2006) 하중저항계수법(LRFD)으로 설 계된 강합성 거더의 휨에 대한 신뢰도해석, 대한토목학회, 제 26권 제 3A호, pp. 539-546 

  5. 황의승, 백인열 (2007) 새로운 활하중 모형에 따른 기존 교량의 신뢰도 분석, 2007 건설교통 R&D 성과포럼, 한국건설교 통기술평가원 

  6. AASHTO (2007)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7. CAN/CAS-S6-00 (2000) Canadian Highway Bridge Design Code, CSA International, Toronto, Ontario, Canada 

  8. prEN 1994-2 (1994) Eurocode 4: Design of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Structures-Part2: Rules for Bridges,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Brussels 

  9. Nowak, A.S. (1999) Calibration of LRFD Bridge Design Code, Report 368,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0. Rackwitz-Fissler (1978) Structural Reliability under Combined Random Load Sequences, Computers and Structures, Vol. 9, pp. 489-494 

  11. Wollmann, G. P. (2004a) Steel Girder Design per AASHTO LRFD Specifications(Part1),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ASCE, Vol. 9, No. 4., pp. 364-374 

  12. Wollmann, G. P. (2004b) Steel Girder Design per AASHTO LRFD Specifications(Part2),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ASCE, Vol. 9, No. 4., pp. 375-3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