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r-Coating 방법으로 제조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MEA의 성능
Performance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DMFC Prepared by Bar-Coating Method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1 no.1, 2008년, pp.16 - 21  

강세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박영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김상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임성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정두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장재혁 (삼성전기) ,  백동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DMFC)의 핵심 구성 요소 중에서 하나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촉매층 (연료극과 공기극)으로 구성된 전해질/전극 접합체 (MEA)이다. 그중에서 촉매층은 브러싱법, 전시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크린 프린팅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carbon paper나 carbon cloth등과 같은 전극 지지체 위에 코팅한다. 그러나 이러한 촉매 코팅방법들은 전극 지지체 위에 촉매를 균일한 두께로 코팅하기 어렵고, 촉매의 손실이 많으며, 또한 코팅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DMFC용 MEA의 전극층을 바코팅 방법 (bar-coating method)을 사용하여 한 번에 원하는 양의 촉매가 코팅되도록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전극 촉매층 표면과 단면의 형태를 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제조한 MEA의 성능과 저항은 단위전지와 임피던스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ey component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i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which comprise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catalyst layers (anode and cathode electrode). Generally the catalyst layer is coated on the porous electrode supporter (e.g. carbon paper or cloth)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전극 슬러리 제조시 이온 전도와 결합제역할을 하는 나피온 이오노머의 함량을 변화시켜 전극의 특성이 최대가 되는 조성을 조사하였다. 바코팅 방법과 브러싱 방법으로 각각 제조한 ME"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산화극에 대한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전극 코팅 방법에 따라 촉매층 내에서 전하 및 물질 전달이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 S-4800, Hitachi)以로 관찰하였다. 각 산화극의 분극 저항을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임피던스 분석기 (IM6&IM6ex, Z血er)를 사용하여 전하전달 저항을 측정하였다.
  • 바를 이용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나피온 이오노머의 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한 MEA를 단위전지에 설치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이오노머의 최적 함량을 결정하였다. 각각 다른 방법으로 제조한 MEA를 단위전지에 설치하여 연료극과 공기극에는 1.5 M 농도의 메탄올 연료와 공기를 각각 2ml/min와 350cc/min를 공급하면서 온도를 60<C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성능을 측정하였다.
  • 코팅하였다. 그리고 bar-coating machine을 사용하여 기계식으로 제조한 전극과 기존의 브러싱 공정 (brushing process) 으로 제조한 전극으로 MEA를 각각 제조하여 단위전지 성능을 측정하고 이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 그리고 공기극 촉매의 나피온 이오노머 함량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연료극은 나피온 이오노머 함량을 7 wt%로 고정시킨 촉매를 브러싱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하고, 공기극은 나피온 이오노머의 함량을 15, 20, 25wt%로 달리하여 제조한 촉매 슬러리를 바코팅 방법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Fig.
  • 단위전지에 사용한 MEA의 성능을 최적화시키기 위해서 연료극과 공기극의 나피온 이오노머의 함량을 각각 달리한 전극 촉매를 제조하였다. 바코팅으로 제조한 연료극과 공기극의 나피온 이오노머 함량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연료극 혹은 공기극의 어느 하나는 전극을 브러싱 방법으로 코팅한 것을 사용하였다.
  • 바코팅 방법으로 코팅한 전극으로 MEA를 제조하여 단위 전지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기존의 방법인 브러싱 방법으로 제조한 MEA와 성능을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이들 ME® 전극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서로 비교하였다.
  •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한 단위전지의 전극 활성 면적은 9 cn?이다. 바를 이용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나피온 이오노머의 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한 MEA를 단위전지에 설치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이오노머의 최적 함량을 결정하였다. 각각 다른 방법으로 제조한 MEA를 단위전지에 설치하여 연료극과 공기극에는 1.
  • 바코팅 방법과 브러싱 방법으로 전극 지지체 위에 코팅한 촉매 층의 두께와 단면, 및 표면의 미세 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 (SEM, S-4800, Hitachi)以로 관찰하였다. 각 산화극의 분극 저항을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임피던스 분석기 (IM6&IM6ex, Z血er)를 사용하여 전하전달 저항을 측정하였다.
  • 바코팅 방법으로 제조한 전극의 촉매 담지량과 촉매층 두께를 관찰하기 위하여 bar-coating machine의 코팅 속도를 5 mm/s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바의 높이를 100~400|im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연료극 촉매층을 제조하였다. Table 1 은 바의 높이에 따라 카본종이 위에 코팅된 촉매층의 두께와 양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제조하였다. 바코팅 방법으로 코팅한 전극으로 MEA를 제조하여 단위 전지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기존의 방법인 브러싱 방법으로 제조한 MEA와 성능을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이들 ME® 전극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서로 비교하였다.
  • 조절하였다. 바코팅 방법으로 코팅한 촉매층의 단면과 표면의 미세구조를 SEM으로 관찰하였다. 전극 슬러리 제조시 이온 전도와 결합제역할을 하는 나피온 이오노머의 함량을 변화시켜 전극의 특성이 최대가 되는 조성을 조사하였다.
  • 바코팅 방법으로 코팅한 촉매층의 미세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서 연료극 코팅 촉매층의 단면과 표면을 SEM으로 관찰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브러싱 방법으로 제조한 촉매 층의 미세구조와도 비교하였다.(Fig.
  • 제조하였다. 바코팅으로 제조한 연료극과 공기극의 나피온 이오노머 함량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연료극 혹은 공기극의 어느 하나는 전극을 브러싱 방법으로 코팅한 것을 사용하였다. 브러싱 방법으로 코팅한 연료극 혹은 공기극은 이오노머 함량을 7wt%로 하여 제조하였는데, 이는 브러싱 방법의 경우에는 양쪽 전극의 이오노머 함량이 7wt%일 때가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CCD의 경우, 촉매와 나피온 이오노머를 혼합하여 촉매 슬러리를 만들고, 이를 다공성의 카본 종이 (carbon paper) 혹은 카본천 (carbon cloth)에 고르게 코팅한 다음 전해질막 (membrane)의 양쪽에 전극을 설치하여 열간 가압 (hot pressing)하여 제조한다. 반면에 CCMe 나피온 이오노머가 포함된 촉매 슬러리를 전해질막에 직접 코팅하거나 테프론 등과 같은 전사필름에 코팅한 전극을 전해질막에 전사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 본 연구에서는 바코팅 방법을 사용하여 전극 위에 촉매를 코팅하여, 코팅한 촉매층의 두께와 촉매의 담지량을 조절하였다. 바코팅 방법으로 코팅한 촉매층의 단면과 표면의 미세구조를 SEM으로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DMFC)의 MEA에 사용되는 전극을 바코팅 (bar-coating) 방법으로 기계식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바코팅 방법으로 코팅한 전극으로 MEA를 제조하여 단위 전지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기존의 방법인 브러싱 방법으로 제조한 MEA와 성능을 서로 비교하였다.
  • 분극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분석에는 MEA 성능평가를 위한 단위전지의 경우와는 다르게 연료극과 공기극에 1.5 M 메탄올 연료와 수소를 각각 2ml/min와 50ml/min의 양으로 공급하였다. 임피던스의 측정 전위는 0.
  • 6에서 성능을 평가한 MEA의 연료극 분극 (anode polarization)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연료극 분극 측정을 위하여 상대전극이자 기준전극인 공기극에는 수소를 50 cc/min 로 일정 하게 공급하였으며 , 작업 전극인 연료극에는 1.5 M 메탄올 연료를 2ml/min로 공급하였다. 측정한 전압 범위는 0V 에서 0.
  • 연료극 촉매 슬러리는 Pt-Ru black (Johnson Matthey) 촉매, 10 wt% Nafion 용액 (Dupont) 및 용매 인 propanol을 넣은 후에 이들이 서로 잘 혼합되고 분산이 잘 이루어지도록 초음파교반기로 교반시켜서 제조하였다. 제조한 촉매 슬러리는 카본 종이 (Toray Co.
  • 우선 연료극 촉매의 나피온 이오노머 함량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공기극은 나피온 이오노머 함량을 7wt%로 고정시킨 촉매를 브러싱 방법으로 촉매를 코팅하고 연료극은 나피온 이오노머 함량을 10, 15, 20wt%로 변화시킨 촉매를 바코팅 방법으로 코팅하였다. Fig.
  • 5로부터 바코팅 방법으로 촉매 슬러리를 코팅할 경우에는 연료극과 공기극의 나피온 이오노머의 함량이 각각 15wt%와 20wt%일때 MEA의 성능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나피온 이오노머의 함량이 되도록 제조한 연료극과 공기극 촉매 슬러리를 모두 바코팅 방법으로 코팅하여 제조한 MEA와 브러싱 방법으로 제조한 MEA를 각각 사용한 단위전지의 성능을 측정하고 이들을 서로 비교하여 Fig. 6에 나타내었다.
  • 8은 위의 2가지 코팅 방법으로 전극을 코팅하여 제조한 MEA의 임피던스 결과이다. 임피던스는 연료극 분극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공기극에 수소를 공급하고, 연료극에는 1.5 M 메탄올 연료를 공급하면서 , 전압을 0.3, 0.4, 0.5 V로 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각각의 전압에서 측정한 셀의 저항은 모두 비슷한 값인 0.
  • 5 M 메탄올 연료와 수소를 각각 2ml/min와 50ml/min의 양으로 공급하였다. 임피던스의 측정 전위는 0.3, 0.4, 0.5 V였으며 , 주파수 범위는 100 mHz~100 kHz로 하고, 전압 진폭은 10 mV의 조건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 바코팅 방법으로 코팅한 촉매층의 단면과 표면의 미세구조를 SEM으로 관찰하였다. 전극 슬러리 제조시 이온 전도와 결합제역할을 하는 나피온 이오노머의 함량을 변화시켜 전극의 특성이 최대가 되는 조성을 조사하였다. 바코팅 방법과 브러싱 방법으로 각각 제조한 ME"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산화극에 대한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전극 코팅 방법에 따라 촉매층 내에서 전하 및 물질 전달이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 교반시켜서 제조하였다. 제조한 촉매 슬러리는 카본 종이 (Toray Co.)에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코팅하였으며, 전극의 촉매 담지량이 4mgPt/cm2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공기극 슬러리는 Pt black (Johnson Matthey) 촉매를 사용하여 연료극 제조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론/모형

  • 2. The performance of MEAs prepared by brushing and by bar-coating methods.
  • )에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코팅하였으며, 전극의 촉매 담지량이 4mgPt/cm2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공기극 슬러리는 Pt black (Johnson Matthey) 촉매를 사용하여 연료극 제조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공기극의 촉매 담지량은 5mgPt/cm2가 되도록 carbon paper (SGL Carbon)에 일정한 두께로 촉매를 코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 R. Rauhe, Jr., F. R. McLarnon and E. J. Cairns, 'Direct Anodic Oxidation of Methanol on Supported Platinum/Ruthenium Catalyst in Aqueous Cesium Carbonate' J. Electrochem. Soc., 142, 1073 (1995) 

  2. D. H. Jung, S. H. Hong, D. H. Peck, R. H. Song, D. R. Shin and H. N. Kim, 'Development of two-layer electrode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J. Korean Electrochem. Soc., 6(1), 68 (2003) 

  3. Z. Wei, S. Wang, B. Yi, J. Liu, L. Chen, W. Zhou, W. Li and Q. Xin, 'Influence of electrode structure on the performance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J. Power Sources, 106, 364 (2002) 

  4. C. Y. Chen, P. Yang, Y. S. Lee and K. F. Lin, 'Fabrication of electrocatalyst layer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J. Power Sources, 141, 24 (2005) 

  5. K. Furukawa, K. Okajima and M. Sudoh, 'Structural control and impedance analysis of cathode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J. Power Sources, 139, 9 (2005) 

  6. W. Vielstich, A. Lamm and H. A. Gasteiger (Eds.), "Handbook of fuel cells", 3, John Wiley & Sons, (2002) 

  7. H. Tang, S. Wang, M. Pan, S. P. Jiang and Y. Ruan, 'Performance of direct methanol fuel cells prepared by hot-pressed MEA and catalyst-coated membrane (CCM)' Electrochimica Acta, 52, 3714 (2007) 

  8. X. Ren, P. Zelenay, S. Thomas, J. Davey and S. Gottesfeld, 'Recent advances in direct methanol fuel cells at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J. Power Sources, 86, 111 (2000) 

  9. M. S. Wilson, J. A. Valerio and S. Gottesfeld, 'Low platinum loading electrodes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fabricated using thermoplastic ionomers' Electrochimica Acta, 40, 355 (1995) 

  10. J. Zhang, G. Yin, Z. Wang and Y. Shao, 'Effects of MEA preparation on the performance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J. Power Sources, 160, 1035 (2006) 

  11. T. V. Reshetenko, H. T. Kim, H. Lee, M. Jang and H. J. Kweon, 'Performance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at low temperature: Cathode optimization' J. Power Sources, 160, 925 (2006) 

  12. Q. Mao, G. Sun, S. Wang, H. Sun, G. Wang, Y. Gao, A. Ye, Y. Tian and Q. Xin, 'Comparative studies of configurations and preparation method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electrodes' Electrochimica Acta, 52, 6763 (2007) 

  13. C. A. Schiller, F. Richter, E. Glzow and N. Wagner, 'Relaxation impedance as a model for the deactivation mechanism of fuel cells due to carbon monoxide poisoning' Phys. Chem. Chem. Phys., 3, 2113 (2001) 

  14. J. H. Kim, H. Y. Ha, I. H. Oh, S. A. Hong and H. I. Lee, 'Influence of the solvent in anode catalyst ink on the performance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J. Power Sources, 135, 29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