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엽록체 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한약재 지모의 기원 확인 및 유연관계 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Ji-Mo (Anemarrhena asphodeloides) on the Basis of Chloroplast DNA Sequence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6 no.1, 2008년, pp.20 - 26  

김명겸 (경희대학교 고려인삼명품화사업단 및 인삼유전자원소재은행) ,  베갈마 (경희대학교 고려인삼명품화사업단 및 인삼유전자원소재은행) ,  손화 (경희대학교 고려인삼명품화사업단 및 인삼유전자원소재은행) ,  노종훈 (경희대학교 고려인삼명품화사업단 및 인삼유전자원소재은행) ,  김세영 (경희대학교 고려인삼명품화사업단 및 인삼유전자원소재은행) ,  양덕춘 (경희대학교 고려인삼명품화사업단 및 인삼유전자원소재은행)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모 (Anemarrhena asphodeloides)는 탁월한 해열작용과 진정작용을 갖는 한약재로 한국, 중국, 일본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 연구소에서 형태학적 분류 결과 지모로 확인된 3종의 식물체를 수집하여 엽록체 DNA의 trnL-F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연구기관에서 보관중인 지모 식물체들이 모두 동일한 trnL-F의 염기서열을 보여서, 형태학적 분류와 계통유전학적 분류가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최초로 얻어진 지모 trnL-F 염기서열은 NCBI database에 등록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한약재 시장과 중국 한약재 시장에서 유통 중인 지모 한약재를 다량 구입하여 trnL-F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통 중인 지모 한약재들이 모두 기원식물과 동일한 TrnL-F의 염기서열을 보여서 지모 약재의 경우 진품이 유통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rnL-F의 염기서열로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지모는 아스파라거스목 (Asparagales), 용설란과 (agavaceae)에 속한 것으로 보여 졌다. 엽록체 rbcL 유전자 염기서열로 얻은 계통수와 비교한 결과 trnL-F 계통수와 rbcL 계통수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어서 분자유전학적 분류에 두 유전자가 상호보완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emarrhena asphodeloides (Korean name "Ji-Mo") has been used for oriental medicinal purposes in Korea, China and Japan. In this study, 29 A. asphodeloides samples were collected including 3 certified A. asphodeloides plants and many commercially marketed A. asphodeloides products. Chloroplast trn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추진하는 한약재과 학화사업의 일환으로 지삼 (地參)이라고 불리는 지모의 감별 연구를 추진하였다. 지모 DNA의 trnL-F 영역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이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지모의 기원식물을 확인하고,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약재 지모가 A.
  • 이 계통수에서 재분류의 여지가 남아있는 속 (genus)들을 살펴보았다. 용설란과 (Agavaceae) clade에 있으면서 지모 다음으로 용설란과 (Agavaceae)에서 분지해 나온 속이 Hosta 속인 데, Hostcf속은 수선화과 (Hyacinthaceaee-3- 알려져 있기 때문에osta속의 분류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SM, Ryuk JA, Kim YH, Chae BC, Kim HJ, Kim KH, Kang KK, Ko BS, Lee MY (2006) Genetic analysis of polygonati rhizoma and polygonati odorati rhizoma using random amplified microsatlite polymorphis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125-129 

  2. Bao W, Pan H, Lu M, Ni Y, Zhang R, Gong X (2007) The apoptotic effect of sarsasapogenin from Anemarrhena asphodeloides on HepG2 human hepatoma cells. Cell Biol Int. 31:887-892 

  3. Bae KH (2000)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sa. Seoul. Korea. p. 546 

  4. Chase MW, De Bruijn AY, Cox AV, Reeves G, Rudall PJ, Johnson MAT, Eguiarte LE (2000) Phylogenetics of Asphodelaceae (Asparagales): An analysis of plastid rbcL and trnL-F DNA sequences. Ann Bot-London. 86:935-951 

  5. Chung KF (2002) Over-the-counter sleeping pills: a survey of use in Hong Kong and a review of their constituents. Gen Hosp Psychiat. 24:430-435 

  6. Han SH, Park SI (1997) Classification of Korean native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by cluster analysi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5:266-275 

  7. Hoa NK, Phan DV, Thuan ND, Ostenson CG (2004) Insulin secretion is stimulated by ethanol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in isolated islet of healthy Wistar and diabetic Goto-Kakizaki rats. Exp Clin Endocr Diab. 112:520-525 

  8. Hu Y, Xia Z, Sun Q, Orsi A, Ree D (2005) A new approach to the pharmacological regulation of memory: sarsasapogenin improves memory by elevating the low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density in brains of memory-deficit rat models. Brain Res. 1060:26-39 

  9. Kimura I, Sugihara N, Nakashima Y, Chen FJ, Kimura M (1999) The anti-hyperglycaemic blend effec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yakko-ka-ninjin-to on alloxan and diabetic KK-Cay mice. Phytother Res. 13:484-488 

  10. Kim SY, Choi HW, Bang JW (2004) Physical mapping of rDNAs using McFISH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515-518 

  11. Kim SY, Koo DH, Bang JW (2002) Karyotype analysi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144-146 

  12. Lai L, Lin LC, Lin JH, Tsai TH (2003) Pharmacokinetic study of free mangiferin in rats by microdialysis coupled with microbor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andem 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A. 987:367-374 

  13. Lang P, Dane F, Kubisiak TL (2006) Phylogeny of Castanea (Fagaceae) based on chloroplast trnT-L-F sequence data. Tree Genetics & Genomes. 2:132-139 

  14. Li TJ, Qiu Y, Yang PY, Rui YC, Chen WS (2007) Timosaponin B-II improves memory and learning dysfunction induced by cerebral ischemia in rats. Neurosci Lett. 421:147-151 

  15. Miura T, Ichiki H, Iwamoto N, Kato M, Kubo M, Sasaki H, et al (2001) Anti-diabetic activity of the rhizoma of Anemarrhena asphodeloidesand active components, mangiferin and its glucoside. Biol Pharm Bull. 24:1009-1011 

  16. Pan Y, Liang Y, Wang H, Liang M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several Chinese medicine herbs. Food Chem. 88:347-350 

  17. Park HJ, Lee JY, Moon SS, Hwang BK (2003) Isolation and anti-oomycete activity of nyasol from Anemarrhena asphodeloides rhizomes. Phytochemistry. 64:997-1001 

  18. Shoemaker M, Hamilton B, Dairkee SH, Cohen I, Campbell MJ (2005)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twelve Chinese medicinal herbs. Phytother Res. 19:649-651 

  19. Taberlet P, Gielly L, Pautou G, Bouvet J (1991) Universal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three non-coding region of chloroplast DNA. Plant Mol Biol. 17:1105-1109 

  20. Tohda C, Sugahara H, Kuraishi Y, Komatsu K (2000) Inhibitory effect of Byakko-ka-ninjin-to on itch in a mouse model of atopic dermatitis. Phytother Res. 14:192-194 

  21. Wang GJ, Lin LC, Chen CF, Cheng JS, Lo YK, Chou KJ, Lee KC, Liu CP, Wu YY, Su W, Chen WC, Jan CR (2002) Effect of timosaponin A-III, from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Liliaceae), on calcium mobilization in vascular endothelial and smooth muscle cells and on vascular tension. Life Sci. 71: 1081-1090 

  22. Yeum HS, Lee YC, Kim SH, Roh SS, Lee JC, Seo YB (2007) Fritillaria cirrhosa, Anemarrhena asphodeloides, Lee-Mo-Tang and cyclosporine A inhibit ovalbumin-induced eosinophil accumulation and Th2-mediate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a murine model of asthma. Journal compilation. 100:205-213 

  23. Yun JS, Kim IH, Park JS, Lee CH, Hong EY, Yun T, Jong SK (2006) Characterization of 18S rDNA in Polygonatum sp. collection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178-182 

  24. Zhang J, Meng Z, Zhang M, Ma D, Xu S, Kodama H (1999) Effect of six steroidal saponins isolated from Anemarrhenae rhizoma on platelet aggregation and hemolysis in human blood. Clin Chim Acta. 289:79-88 

  25. Zhang J, Zhang M, Sugahara K, Sagara Y, Meng Z, Xu S, Kodama H (1999) Effect of steroidal saponins of Anemarrhenae rhizoma on superoxide generation in human neutrophils. Biochem Bioph Res Co. 259:636-6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