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모의 핵형 분석
Karyotype Analysi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0 no.2, 2002년, pp.144 - 146  

김수영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구달회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방재욱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약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지모의 세포유전학적인 연구인 핵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모의 체세포 염색체 수는 2n=22였으며. 외형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3쌍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염색체와 길이가 짧은 8쌍의 염색체로 구별이 되었다. 염색체의 평균 길이는 염색체의 길이는 $1.27-3.80\;{\mu}m$로 관찰되었다. Armatio 비교를 통한 핵형 분석에서는 8쌍의 중부 염색체 (염색체 2, 3, 6, 7, 8, 9, 10 및 11), 2쌍의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4와 5) 그리고 1쌍의 차단부 염색체 (염색체 1)로 구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ytogenetic analysis of Anemarrhena ashodeloides BUNGE, which is one of medicinal plants belonging to Haemodoraceae was carried out using Feulgen staining. The somatic metaphase chromosome number was identified to 2n=22 (x=11) and the size of chromosomes ranges from $1.27-3.80\;{\mu}m$.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까지 염색체의 수만 보고되고, 세포 유전학적으로 핵형 분석이 연구된 바가 없는 지모의 기본핵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ae KH (2000)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pp. 546 

  2. Bataglia E (1955) Chromosome morphology and terminology. Caryologia 8 : 179-187 

  3. Darlington CD, Wylie AP (1955) Chromosome Atlas of Flowering Plants. 2nd Ed. George alIen & Unwin Ltd, London. p 365 

  4. Ichiki H, Miura T, Kubo M, Ishihara E, Komatsu Y, Tanigawa K, Okada M (1998) New antidiabetic compounds, mangiferin and its glucoside. Biol PharmBull 21 : 1389-1390 

  5. Kim SM, Park CK, Seong JD, Kim HT, Han SI, Kwack YH (1999) Isolation and HPLC analysis of timosaponin A III from rhizom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 : 45-50 

  6. Lee CB (1985)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co. Ltd pp. 222 

  7. Lee SH, Ryu SY, Choi SU, No ZS, Kim SK, Lee CO, Ahn JW (1995) Antitumor agent from the rhizome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Kor J Pharmacogn 26 : 47-50 

  8. Levan AK, Fredga K, Sandberg AA (1964) Nomenclature for centromeric position on chromosomes. Hereditas 52 : 201-220 

  9. Ma B, Wang B, Dong J, Yan X, Zhang H, Tu A (1997) New spirostanol glycosides from Anemarrhena asphodeloides. Planta Med 63: 376-379 

  10. Naranjo CA, Poggio L, Brandham PE (1983) A practical method of chromosome classification on the basis of centromere position. Genetica 62 : 51-53 

  11. Sato D (1942) Karyotype alteration and phylogeny in Liliaceae and allied families. Jap J Bot 12 : 57-1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