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 격차 : 여가 유형과 여가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Class on the Leisure Activities in Korea: based on types and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1 no.3, 2008년, pp.57 - 84  

남은영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  최유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여가문화의 유형과 사회계층 변수별 차이를 규명하는 한편, 계층 변수가 여가의 객관적, 주관적 차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전국가구에 거주하는 1376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의 전반적 실태를 살펴보면 여전히 가장 많이 영위되는 여가활동은 TV/DVD/비디오 보기이고 그 밖에도 주로 집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이 선호된다. 여가 유형은 "활동형"과 "음주형", "휴식형", "관계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여가의 기능은 주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강화시켜주는 것이다. 여가의 목적으로는 휴식과 재충전이 가장 중시되고, 유용한 대인관계 형성이 그 다음이다. 또한 자유시간에 일 생각을 많이 하는 등 여가에 대한 효용감이 낮다. 셋째, 관계형, 활동형, 음주형 여가에서 고학력, 고소득층의 참여 정도가 확연히 높다. 휴식형 여가에서는 교육과 소득에 따른 차이가 없다. 직업별로는 학생과 주부의 참여도가 전 여가유형에서 높은 가운데, 관리/전문직 및 사무직/준전문직이 상대적으로 다양한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다. 넷째, 여가활동의 객관적 수준을 나타내는 여가활동지수에 대한 소득, 교육, 직업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한 결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여가활동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활동지수가 여가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가운데,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다. 직종별로는 학생이 여가만족도가 높고 판매서비스직과 생산/기능/노무직은 낮다. 동거가족수는 여가만족도와 반비례한다. 활동형 여가가 가장 여가만족도가 높고 음주형 여가가 가장 낮다. 여가활동을 다양하게 자주 즐길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고 활동형 여가가 삶의 만족도를 가장 크게 향상시킨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leisure in Korea and the effects of social class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dimens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 data set of 1376 Korean men and women over 18 years old is analyzed to yield five main results. First, Korean prefers dom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사회에서 가장 많이 영위되는 여가활동은 무엇인가? 한국사회에서 가장 많이 영위되는 여가활동은 TV/DVD/비디오 보기이고, 음악듣기, 전화수다, 인터넷/컴퓨터 하기, 운동하기(스포츠, 헬스, 걷기), 친구 만나기의 순으로 참여 정도가 높다. 이는 여가가 휴식차원에서 뿐 아니라 활동이나 관계 및 사교 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향유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관광공사에서는 여가를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한국의 경우 한국관광공사(1985)는 행락 및 관광, 모임 및 사교, 감상 및 관람, 스포츠, 취미·교양·창작, 놀이·오락, 기타 수동적 활동으로 여가를 구분하였고, 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6)은 문화예술 관람활동, 문화예술 참여활동, 스포츠 관람활동, 스포츠 참여활동, 관광, 취미·오락, 휴식, 기타 사회활동의 8가지 유형을 제시한다. 개별 연구자로는 윤인진·김상운(2003)이 여가를 소극적, 적극적 활동과 소비적, 생산적 활동, 집안에서의 활동과 집밖에서의 활동으로 분류한 바 있다.
산업의 고도화와 함께 보드리야르의 어떤 주장이 진실로 받아들여졌는가? 보드리야르(Baudrillard)는 현대사회의 특성을 연구하는데 있어 사회구성원들이 더 이상 부의 창출을 위한 노동만을 고집하기보다 여가 시간 확보에 따른 여유있는 소비문화를 즐기기를 원하게 되었다고 하였다(Baudrillard, 1970). 이 주장은 산업의 고도화와 함께 진실로 받아들여졌고, 한국사회에서도 전반적인 생활양식과 사회구조가 여가 문화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는 낙관적인 해석이 지배 담론으로 자리잡아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강태욱.윤종일 (1999) 소비양극화와 기업의 대응 LG 경제연구원 

  2. 김문겸 (2002) "자본주의와 여가" 사회연구 11-42 

  3. 김문겸 (2004) "IMF가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소비와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사회조사연구 19: 1-32 

  4. 김영명.이명옥 (2000)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만족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9(1): 123-132 

  5. 김혜영 (2004) "가족여가와 젠더" 가족과 문화 16(2): 127-166 

  6. 민승규 (2006) "소득양극화의 현상과 원인" CEO Information(제 547호), 삼성 경제연구소 

  7. 박상곤 (2006) "문화자본이 여가소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0(6): 241-258 

  8. 박소정 (2002) "청소년기 여가활동이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14(2): 231-247 

  9. 보드리야르(Baudrillard, J) (1991)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이상율 (역) 문예출판사 

  10. 서우석 (2007)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사회경제적 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 연구 18(1): 273-302 

  11. 성희자.전보경 (2003).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13(2):151-169 

  12. 신정화 (1995) "노인층의 여가현상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7: 83-85 

  13. 윤인진.김상운 (2005). "여가활동의 사회집단별 차이와 불평등," 사회과학연구 13(2): 169-202 

  14. 이만형.이철원.조남기 (2004). "전업주부의 여가 활동 및 여가 장애" 한국체육학회지 43(6): 821-834 

  15. 이정우.이성림 (2001) "경제위기와 빈부격차: 1997년 위기 전후의 소득분배와 빈곤" 국제경제연구 7(2): 79-109 

  16. 이철원.조상은 (2001)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제약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 학회지 21: 179-194 

  17. 조광익 (2006). "여가소비양식의 분석을 위한 문화 자본 이론의 적용." 관광학연구 30(1): 379-401 

  18. 조성원 (2005) "외환위기 이후 소득 5분위배율의 구조적 변화" 재정논집 20(1): .93-109 

  19. 최미숙.최동숙 (2003). "중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5(1): 1-13 

  20. 최성애 (1999)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여가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8(2): 45-56 

  21. 최희갑 (2002) "외환위기와 소득분배의 양극화" 국제경제연구 8(2): 1-19 

  22. 한국관광공사 (1985). 한국여가생활의 실태분석과 대책 서울: 한국관광공사 

  23.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2006 여가백서 

  24. 한신갑.박근영 (2007) " 의 한국적 문법" 한국사회학 41(2): 211-239 

  25. 홍종학 (2006) "양극화와 경제구조개혁" 응용경제 8(2): 5-57 

  26. Burdge, R. J. (1969) "Levels of Occupational Prestige and Leisure Activity" Journal of Leisure Research, Summer 

  27. Chieh-Lu Li, E. Garry, C.Z. D.A, James, and R.G., Alan (2007) "Ethnicity as a Variable in Leisure Research"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9(3): 514-546 

  28. Clarke A. C. (1956) "The Use of Leisure and its Relation to Levels of Occupational Prestig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June 

  29. Dardis, R, Soberon-Ferrer, and P. D. Horacio (1994) "Analysis of leisure expenditure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6(4): 309-323 

  30. Dumazedier, J. (1967) Toward a Society of Leisure N. Y: The Free Press 

  31. Firestone, J., and B. A. Shelton (1988) "An Estimation of the Effect of Women's Work on Available Leisure Time" Journal of Family Issues 9(4): 242-343 

  32. Floyd, M. F., K. J. Shinew, F. A. McGuire, and F. P. Noe (1994) "Race, class, and leisure activity preference: Marginality and ethnicity revisited"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6(2): 158-244 

  33. Furlong, A., C. Rosemary, and R. Ken (1990) "The effects of post-16 experiences and social class on the leisure patterns of young adults" Leisure Studies 9(3): 213-224 

  34. Graham S. (1959) "Social Correlates of Adult Leisure-Time Behavior" in M.B. Sussman(ed.), Community Structure and Analysis New York, Crowell 

  35. Greenbie, S. (1940). Leisure for living N. Y. : George W. Stewart 

  36. Heather, J. G. (2006) "Leisure and Later Life: Past, Present and Future" Leisure Studies 25(4): 397-401 

  37. Henderson, K. A. (1996) "One size doesn't fit all: The meaning of Women's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8(3): 139-155 

  38. Henderson, K. A. and B. Hickerson. (2007) "Women and Leisure: Premises and Performances Uncovered in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9(4): 591-611 

  39. Jackson, E., L. Rucks, and C. Victoria (1995)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by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7(1): 85-102 

  40. Juniu, S. (2000) "The Impact of Immigration: Leisure experience in the lifes of South American Immigran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2(3): 358-362 

  41. Kaplan, M. (1960) Leisure in America: A Social Inequity John Wiley and Sons Inc 

  42. Kay, T. (2000) "Leisure, Gender and Family: The Influence of social policy" Leisure Studies 19(4): 247-265 

  43. Lee, Jin-Hyung, David Scott, and M. F. Floyd (2001) "Structural Inequalities in outdoor recreation participation: A multiple hierarchy stratification perspectiv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3(4): 427-450 

  44. McKechine, G. E. (1974)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Leisure: Past Behavior" Journal of Leisure Research 6: 17-45 

  45. Nash, J. B. (1960) Philosophy of Recreation and Leisure. Iowa: William Brown 

  46. Nimrod, G. (2007) "Retirees' Leisure: Activities, Benefits, and their Contribution to Life Satisfaction" Leisure Studies 26(1): 65-80 

  47. Philipp, S. (2000) "Race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2(1): 121-125 

  48. Rojek, C. (1990). "Baudrillard and leisure" Leisure Studies 9(1): 7-20 

  49. Rojek, C. (1995) "Veblen, Leisure and human need" Leisure Studies 14(2): 73-86 

  50. Stodolska, M, C. A. Santos (2006). "Trans-nationalism and Leisure: Mexican Temporary Migrants in the U. 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8(2): 143-148 

  51. Veblen, T. (1953). The Theory of Leisure Class Chicago: Mew America Library 

  52. Warde, A, G. Tampubolon, and M. Savage (2005) "Recreation. Informal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7(4): 402-426 

  53. Troy D. G. and J. L. Hemingway (2005) "Locating Leisure in the Social Capital Literat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7(4): 387-4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