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거와 한국가족: 전국조사에서 나타난 동거자의 특성
Implications of Cohabitation for the Korean Family: Cohabiter Characteristics Based on National Survey Data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1 no.2, 2008년, pp.77 - 100  

이연주 (하와이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약 십년사이 급변하는 한국의 가족환경 속에서 대중매체들은 혼인신고 지연 등을 포함 하여 동거(cohabitation)가 많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거자의 특성을 검증하고, 한국가족에서 동거가 가지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조사의 초점은 아니었지만 동거의 일면을 밝혀줄 수 있는 2개의 전국조사, 즉 혼인신고와 사회통계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다변인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들은 대체로 서구문헌에서 제시하는 이론적 틀을 수용한다. 첫째, 동거는 이혼의 증가 등 가족제도의 전반적인 변화와 관련되어있다. 혼전동거의 비율이 초혼보다 재혼에서 높았고, 초혼과는 달리 이혼 후 재혼에서는 교육수준에 따른 혼전동거비율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취업이나 학력 등의 면에서 사회경제적 자원이 적은 남자들이 많은 남자들에 비하여 결혼보다 동거를 택할 확률이 대체로 높았다. 셋째, 부부간 취업, 교육수준, 연령차이 등 사회경제적 지위를 비교해 보면, 결혼커플보다 동거커플에서 성역할 평등 혹은 성역 할 반전이 더 활발한 것 같다. 학력, 취업, 가족가치관, 연령 등 동거커플들의 특성이 미혼자 및 이혼자뿐 아니라 결혼부부와도 특별히 유사하지 않다는 면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행해지는 동거를 단순히 결혼의 연장선으로 볼 수는 없는 것 같다. 결혼을 하되 당분간 두고 본다는 의미를 넘어서, 동거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결혼을 유지하기 어려운 사회적 여건 때문에 동거가 확산되고 있는지, 그 원인, 과정 및 결과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increasing cohabitation for the Korean family,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habiters with those of married couples and of never-married and divorced people. Data are from the Marriage Registration Files for the years of 1997 through 2005 and Social S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비동거란 어떠한 경우인가? 예비동거(precursor to marriage)는 궁극적으로 결혼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으나 결혼 전에 동거를 함으로써 배우자와 서로 잘 맞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인데, 개인주의의 확산과 이혼의 증가 등의 환경적 변화가 예비동거의 토양이 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우리나라에서 증가하고 있는 혼인신고의 지연을 보도하는 대중매체들은 이 추세를 일단 살아보고 혼인신고를 하겠다는 태도로 이해한다(노원명, 2005; 박은경, 2001; 유지영, 2005; 이상균, 2007; 이태수, 2004).
동거의 정의는 무엇인가? 동거를 정의한다면 "결혼을 하지 않고 성관계가 있는 두 남녀가 공동의 주거를 가지고 일상생활을 공유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1) 그러나 간단해 보이는 이 정의도 가족연구자의 관점에서 보면 문구마다 논의의 여지를 담고 있다.
동거자의 특성을 검증하고, 한국가족에서 동거가 가지는 의미를 탐구하였을 때 그 결과와 결론은? 결과들은 대체로 서구문헌에서 제시하는 이론적 틀을 수용한다. 첫째, 동거는 이혼의 증가 등 가족제도의 전반적인 변화와 관련되어있다. 혼전동거의 비율이 초혼보다 재혼에서 높았고, 초혼과는 달리 이혼 후 재혼에서는 교육수준에 따른 혼전동거비율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취업이나 학력 등의 면에서 사회경제적 자원이 적은 남자들이 많은 남자들에 비하여 결혼보다 동거를 택할 확률이 대체로 높았다. 셋째, 부부간 취업, 교육수준, 연령차이 등 사회경제적 지위를 비교해 보면, 결혼커플보다 동거커플에서 성역할 평등 혹은 성역 할 반전이 더 활발한 것 같다. 학력, 취업, 가족가치관, 연령 등 동거커플들의 특성이 미혼자 및 이혼자뿐 아니라 결혼부부와도 특별히 유사하지 않다는 면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행해지는 동거를 단순히 결혼의 연장선으로 볼 수는 없는 것 같다. 결혼을 하되 당분간 두고 본다는 의미를 넘어서, 동거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결혼을 유지하기 어려운 사회적 여건 때문에 동거가 확산되고 있는지, 그 원인, 과정 및 결과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승권?조애저?김유경?도세록?이건우 (2006) 2006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실태조사 연구보고서 2006-2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김정석 (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29(1): 57-70 

  3. 노원명 (2005) "혼인신고? 2-3년 살아보고" 매일경제 2005. 3. 28 

  4. 두리모아 (2007) "초혼 '신혼 여행후' 재혼 '살아보고' 혼인신고 하겠다" 전북매일신문 2007.3.29 

  5. 민법, 친족상속편 http://root.re.kr/root/law­civil­4.htm 호적법 http://root.re.kr/ root/h5.htm (접속 2007) 

  6. 박은경 (2001) "동거는 빨리, 혼인신고는 천천히" 주간동아 Vol 274 2001. 3. 6 

  7. 법무부 (여러 해) 호적신고 양식 제6호 혼인신고 

  8. 신민섭 (2007) "연예인들 신 결혼 풍속도" 일요신문 2007.8.10 

  9. 유계숙 (2005) "가족의 다양성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과 문화 17(2): 211-233 

  10. 유지영 (2005) "'이혼 할지 모르니 1년 살아보고... ' 의식 확산" 헤럴드경제 2005. 3. 12 

  11. 이상균 (2007) "신세대 新결혼풍속도, '결혼식YES, 혼인신고 NO'" 서울파이낸스 2007. 9. 9 

  12. 이태수 (2004) "혼인신고 '미루기'" 매일신문 2004.7.13 

  13. 장경섭?김규원?김승권?김흥주?은기수 (2006) 경제?사회적 양극화 시대의 가족정책 연구보고 2006-13, 여성가족부 

  14. 장창민 (2003) 사실혼과 혼외동거에 관한 일고: 재산상 보호를 중심으로 가족법연구 17(2): 57-85 

  15. 조규창 (1994) 동거녀의 재산분할청구권 고시연구 94(3): 125-141 

  16. 통계청 (2006) 2006년 사회통계조사 개요 

  17. Agresti, A. and B. Finlay (1997) Statistical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Prentice Hall 

  18. Bachrach, C., M.J. Hindin, and E. Thomson (2000) "The Changing Shape of Ties That Bind: An Overview and Synthesis" Pp. 3-18 in L. Waite, C. Bachrach, M.J. Hindin, E. Thomson, and A. Thornton (eds.) Ties That Bind: Perspectives on Marriage and Cohabitation, Hawthorne, NY: Aldine 

  19. Bumpass, L.L. (1990) "What's happening to the family? Interactions between demographic and institutional change" Demography 27: 483-498 

  20. Bumpass, L.L. and Hsien­Hen Lu (2000) "Trends in Cohabitation and Implications for Children's Family Contexts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Studies 54: 29-41 

  21. Casper, L.M. and S. Bianchi (2002)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American Family. Thousand Oaks, CA: Sage 

  22. Cherlin, A, L.M. Burton, T.R. Hurt, and D.M. Purvin 2004. "The Influence of Physical and Sexual Abuse on Marriage and Cohabit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9(6): 768-789 

  23. Cross-Barnet, C. and A.J. Cherlin (2008) "Cohabiting on the Edge: Living Together Apar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New Orleans, LA. April 17-19 

  24. Giddens, A. (2000) Runaway World: How Globalization is Reshaping Our Lives, New York: Routledge 

  25. Lee, Yean­Ju (2006) "Risk Factors in the Rapidly Rising Incidence of Divorce in Korea" Asian Population Studies 2(2): 113-132 

  26. Lesthaeghe, R (1995)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in Western Countries: An Interpretation" pp. 17-62, In K.O. Mason & A.­M. Jensen (eds.) Gender and Family Change in Industrialized Countries. Oxford, UK: Clarendon 

  27. Lesthaeghe, R (2007)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In George Ritzer (ed.)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ology. Blackwell Publishing 

  28. Raley, R.K. (2000) "Recent Trends and Differentials in Marriage and Cohabitation: The United States" pp. 19-39 in L. Waite, C. Bachrach, M. Hindin, E. Thomson, and A. Thornton (eds.) Ties That Bind: Perspectives on Marriage and Cohabitation, Hawthorne, NY: Aldine 

  29. Raley, R.K. (2001) "Increasing Fertility in Cohabiting Unions: Evidence for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in the United States?" Demography. 38(1): 59-66 

  30. Regnier-Loilier A., C. Villeneuve-Gokalp, and E. Beaujouan (2008) "Neither Single, Nor in a Couple: A Study of Living Apart Together in Fra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New Orleans, LA. April 17-19 

  31. Rindfuss, R.R. and A. VandenHeuvel (1990) "Cohabitation: A Precursor to Marriage or an Alternative to Being Singl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6:703-26 

  32. Rosenfeld, M.J. and Byung­Soo Kim (2005) "The Independence of Young Adults and the Rise of Interracial and Same­Sex Unio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0(4): 541-562 

  33. Seltzer, J.A. (2004) "Cohabit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Demography, Kinship, and the Futur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November): 921-928 

  34. Seltzer, J.A, C.A. Bachrach, S.M. Bianchi, L.M Casper, P.L. Chase­Landale, T.A. Diprete, V.J. Hotz, S.P. Morgan, S.G. Sanders, D. Thomas (2005) "Explaining Family Change and Variation: Challenges for Family Demographe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November): 908-925 

  35. Smock, P. (2000) "Cohabitation in the United States: An Appraisal of Research Themes, Findings, and Implica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6: 1-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