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혼전 동거 경험과 외로움 및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Cohabitation, Loneliness, and Family Fun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5, 2010년, pp.509 - 518  

김해란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  김계하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unmarried cohabitation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loneliness and family fun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cohabitation experience and those with no experience in Korea.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213 university stud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들이 이러한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동거를 선택한다는 보고가 있지만 실제로 동거를 선택했을 경우 외로움과 같은 심리적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거를 경험한 대학생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 간에 외로움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외로움이 혼전 동거의 원인이 되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볼 때, 가족 내 기능이 자녀의 향후 결혼관이나 동거 선택에 있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혼전 동거를 경험한 대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들의 가족기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족기능이 대학생들의 혼전 동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혼전 동거 예방의 근거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혼전 동거 경험 실태와 외로움 및 가족기능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혼전 동거 경험 실태와 외로움 및 가족기능에 대한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eo(2004)의 연구에서 동거를 하려하는 이유는 무엇으로 나타났는가? 혼전 동거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Heo (2004) 의 연구에서는 젊은 청년들이 동거를 하려하는 이유로 남학생의 경우 사랑해서 , 한 번 살아보는 것도 괜찮아서 , 외로워서 , 결혼할 사이이기 때문에 등을 보고하였고, 여학생은 사랑해서 와 경제적인 도움이 될 것 같아서 , 외로워서 , 결혼할 사이이기 때문에 등의 순으로 그 이유를 들었다. 또한 Kim (2009)의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동거를 하는 이유로 사랑하기 때문에 떨어져 지내는 것이 싫어서 가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외로움을 달랠 수 있고 정서적 안정을 주어서 로 보고하였다.
젊은 층에서 혼전 동거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대중매체를 통한 성문화의 개방과 전통적 가족질서의 해체로 인해 젊은 층에서의 혼전 동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Caltabiano & Castiglioni, 2008). 2004년 Heo의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2.
혼전 동거로 인한 부작용은 무엇인가? 그러나 혼전 동거는 거의 대부분 혼전 성관계를 동반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부작용이 파생된다. 혼전 성생활의 증가로 원치 않는 임신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낙태나 입양 비율이 증가하는 것 역시 사회적으로 큰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Lee, 2007). 학생의 경우 이성과의 동거는 경제적 문제나 성적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Meier & Allen, 2008). Kim (2004)은 대학생의 동거는 대부분 부모로부터 정서적, 경제적 독립이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지속적이고 대안적인 삶의 양식을 실험할 수 있는 장이 되기는 어렵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own, S. L. (2006). Family structure transitions and adolescent well-being. Demography, 43, 447-461. 

  2. Caltabiano, M., & Castiglioni, M. (2008). Changing family formation in Nepal: Marriage, cohabitation and first sexual intercourse. International Family Planning Perspectives, 34, 30-39. 

  3. Cho, M. H.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culture of sexuality. Journal of Student Guidance Center Dong-A University, 32, 5-37. 

  4. Choi, M. S., & Na, S. (2004).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sex and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 318-330.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 Cunningham, M., & Thornton, A. (2006). The influence of parent's marital quality on adult children's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its alternative: Main and moderating effects. Demography, 43, 659-672. 

  7. Eun, K. S., & Lee, Y. S. (2005). Family values in Korea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8 (1), 107-132. 

  8. Go, G. A. (2006). A study on values of marriage and outlooks of children among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9. Heo, E. J.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maturity variables and sexual attitude in university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10. Kang, S. K., Young, B. B., Lee, H. R., Lee, D. B., & Shim, U. T. (1984). A study of family APGAR scores for evaluating family func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5 (12), 6-13. 

  11. Kim, J. Y. (2004). Study on maintenance and transformation of gender relationship through living toget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im, M. H. (2009).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ople as attitude of cohabitation in college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3. Kim, O. S. (1997).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4), 871-879. 

  14. Kim, Y. S. (2005). The perception of sexuality about the male students in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15. Kim, J. H., & Kang, S. H. (1993). The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s according to life-span stage. The Journal of Living Culture Research, 7, 119-135. 

  16. Klausli, J. F., & Owen, M. T. (2009). Stable maternal cohabitation, couple relationship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me environment in the child's first two year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3, 103-106. 

  17. Kwon, M. K., & Chi, Y. S. (2005). A study on co-habitation. Human Life Science, 8, 1-19. 

  18. Lee, M. H. (2007). Experience of unmarried mothers who made a decision to raise a chil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19. Lichter, D. T., Qian, Z., & Mellott, L. M. (2006). Marriage or dissolution? Union transitions among poor cohabiting women. Demography, 43, 223-240. 

  20. Liefbroer, A. C., & Dourleijn, E. (2006). Unmarried cohabitation and union stability: Testing the role of diffusion using data from 16 European countries. Demography, 43 , 203-221. 

  21. Meier, A., & Allen, G. (2008). Intimate relationship develop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Differences by social class. New Directions for Child & Adolescent Development, 119, 25-39. 

  22. Park, S. Y. (1998). Relations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loneliness i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Rokach, A. (2005). The causes of loneliness in homeless youth. Journal of Psychology, 139, 469-480. 

  24.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72-480. 

  25. Schoen, R., Landale, N. S., & Daniels, K. (2007). Family transitions in young adulthood. Demography, 44, 807-820. 

  26. Smiksten, G. (1978). The family APGAR: A proposal for a family function test and its use by physician.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6, 1231-1240. 

  27. Today Korea (July, 2009). University students 43% "cohabitation, agreement". Retrieved October 26, 2009, from 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497 

  28. Yim, C. O.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x education programme for teenag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29. Yoon, Y. K., Jeon, S. K., & Park, J. Y. (2009).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 73-92. 

  30. Woo, S. A. (2009). Effects of interactive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youth on the peer conflict, depression and behavioral problem of yo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ungj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