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굴피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효과 및 인체 시험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Platycarya strobilacea Extract and Clinical Trial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4 no.4, 2008년, pp.275 - 286  

양희정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박수남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굴피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및 주름생성억제에 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6.75{\mu}g/mL$) <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6.62) < ethyl acetate 분획(4.15)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은 ethyl acetate 분획($OSC_{50}$, $0.56{\mu}g/mL$) < 50% 에탄올 추출물(0.02) <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0.01) 순으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굴피나무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5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은 $10{\mu}g/mL$ 농도에서 ${\tau}_{50}$이 717.27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와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50% 에탄올 추출물 ($243.98{\mu}g/mL$) < ethyl acetate 분획(153.87) <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137.53) 순으로 나타났고,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도 50% 에탄올 추출물($31.01{\mu}g/mL$) < ethyl acetate 분획(14.42) <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1.48) 순으로, aglycone 분획이 매우 큰 활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굴피나무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을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고, 이를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 보유량, 경표피 수분 손실량 그리고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추출물 함유 크림은 대조군(placebo)보다 수분 보유량을 $2{\sim}8%$ 증가시켰고,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감소시켰다. 또한 추출물 함유 크림은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생성을 9.55%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굴피나무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tyrosinase 및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와 이를 통한 인체 시험의 결과로부터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s of Platycarya strobilacea bark extracts.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FSC_{50}$) of extract / fractions of Platycarya strobilacea was in the order: 50% 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에서의 각종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 가능한 굴피나무 수피 추출물(혹은 분획)을 제조하고 이들 추출물(혹은 분획)의 #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활성, Fe3+-EDTA/H2O2 계에서의 총 항산화능, 피부 미백에 관여하는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 및 피부 주름 생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elastase 활성 저해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몇 가지 다른 항산화제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굴피나무의 항산화능을 비교 평가하고 위의 결과를 통하여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는지를 인체 시험을 통하여 미백효과 및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피나무 수피 추출물에는 어떤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가? 굴피나무 지상부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 및 잎 추출물의 항암활성들이 보고되고 있고[24-28], 항산화 작용으로 free radical 소거활성(DPPH), 항염증 작용으로 NFκB의 활성 억제와 IL-8 mRNA 발현 억제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29]. 굴피나무 수피 추출물 성분으로는 quercetin, morin, quercitrin 및 그 배당체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0,31].
굴피나무 지상부 추출물은 어떤 효능을 지니고 있는가?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는 가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수목으로, 열매와 뿌리는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뿌리 껍질은 소염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굴피나무 지상부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 및 잎 추출물의 항암활성들이 보고되고 있고[24-28], 항산화 작용으로 free radical 소거활성(DPPH), 항염증 작용으로 NFκB의 활성 억제와 IL-8 mRNA 발현 억제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29]. 굴피나무 수피 추출물 성분으로는 quercetin, morin, quercitrin 및 그 배당체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0,31].
활성산소종 중 피부 광손상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물질은 무엇인가? ROS란 반응성이 매우 큰 1O2 및 ⋅OH을 비롯하여 O2⋅- , H2O2, ROO⋅, RO⋅, ROOH 및 HOCl 등을 말한다. ROS 중에서 특히 1O2 및 ⋅OH은 피부 광손상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ROS는 효소적 그리고 비효소적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피부 항산화 방어망을 붕괴시키고 생체 분자의 산화적 변형, 피부 장벽의 손상과 결합조직 성분인 콜라젠, 히아루론산 등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에 의한 주름생성 등 피부노화를 가속시킨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 J. Thiele, C. O. Barland, R. Ghadially, and P. M. Elias, Skin aging, eds. B. A. Gilchrest and J. Krutmann, 65, Springer, Berlin Heidelberg, Germany (2006) 

  2. J. J. Threle, C. Schroeter, S. N. Hsieh, M. Podda, and L. Packer, The antioxidant network of the stratum corneum, Curr. Probl. Dermatol., 29, 26 (2001) 

  3. S. N. Park and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1989) 

  4.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 75 (1997) 

  5. S. N. Park,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 510 (2003) 

  6. S. N. Park,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aicalein, componen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I), J. Korean Ind. Eng. Chem., 14(5), 657 (2003) 

  7. K. Scharffetter-Kochanek, Photoaging of the connective tissue of skin: its prevention and therapy, antioxidants in disease mechanism and therapy, ed. H. Sies, 38, 639 (1997) 

  8. R. M. Tyrrell and M. Pidoux, Singlet oxygen involvement in the inactivation of cultured human fibroblast by UVA and near visible radiations, Photochem. Photobiol., 49, 407 (1989) 

  9. G. F. Vile and R. M. Tyrrell, UVA radiation-induced oxidative damage to lipid and protein in vitro and in human skin fibroblasts is dependent on iron and singlet oxygen,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18, 721 (1995) 

  10. K. Scharffetter-Kochanek, M. Wlaschek, K. Briviba, and H. Sies, Singlet oxygen induces collagenase expression in human skin fibroblasts, FEBS Lett., 331, 304 (1993) 

  11. M. Wlaschek, K. Briviba, G. P. Stricklin, H. Sies, and K. Scharffetter-Kochanek, Singlet oxygen may mediate the ultraviolet A in induced synthesis of interstitial collagenase, J. Invest. Dermatol., 104, 194 (1995) 

  12. Y. Kohno, Y. Egawa, S. Itoh, S. Nagaoka, M. Takahashi, and K. Mukai, Kinetic study of quenching reaction of singlet oxygen and scavenging reaction of free radical by squalene in n-butanol,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256, 52 (1995) 

  13. S. E. Mudiyanselage, M. Hamburger, P. Elsner, and J. J. Thiele, Ultraviolet A induces generation of squalene monohydroperoxide isomers in human sebum and skin surface lipids in vitro and in vivo, J. Invest. Dermatol., 120(6), 915 (2003) 

  14. L. H. Kligman, UVA induced biochemical changes in hairless mouse skin collagen: a contrast to UVB effects, ed. F. Urbach, 209, Valdemar, Overland Park (1992) 

  15. J. W. Choi, S. I. Kim, S. M. Jeon, J. Y. Kim, H. J. Yang, K. H. Lee, and S. N. Park,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I),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3), 181 (2006) 

  16. H. J. Yang and S. N. Park,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of extract / fractions of Equisetum arense (I),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2), 61 (2007) 

  17. H. J. Yang and S. N. Park, Component analysis and study on anti-elastase activity of Equisetum arense (II),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3), 139 (2007) 

  18. S. M. Jeon, S. I. Kim, J. Y. Ahn, and S. N. Park, Antioxidtive potenties of extract / fractions of Suaeda asparagoides and Salicornia herbacea extracts (I),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3), 145 (2007) 

  19. J. Y. Kim, H. J. Yang, K. H. Lee, S. M. Jeon, Y. J. Ahn, B. R Won, and S. N. Park, Antioxidative and antiagiang effect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 (II),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3), 165 (2007) 

  20. H. J. Yang, B. R. Won, Y. J. Lim, S. K. Yoon, D. H. Ji, J. Y. Choi, S. J. Han, C. W. Lee, and S. N. Park, Antioxidative activity, component analysis, and anti-elastase effect of Aspalathus linearis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4), 251 (2007) 

  21. K. H. Lee and S. N. Park,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aging effect of Geranium nepalense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4(1), 25 (2008) 

  22. J. Y. Kim and S. N. Park, A study on application for cosmeceutical of Fagopyrum esculentum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4(2), 83 (2008) 

  23. H. J. Yang, E. H. Kim, and S. N. Park,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Cayratia japonica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4(2), 117 (2008) 

  24. J. H. Park, Medical plants of Korea, 313, Shinil (2004) 

  25. C. S. Yook, Coloured medical plants of Korea, 117, Academybook, Seoul, Korea (1990) 

  26. M. K. Kim, B. M. Kwon, K. H. Bae, D. H. Choi, H. J. Lee, H. E. Kim, and Y. K. Kim, Screening of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inhi bitiors from natural sources, Kor. J. Pharmacogn., 30(4), 384 (1999) 

  27. Y. H. Choi, S. G. Chae, J. H. Kim, S. J. Gang, N. I. Baeg, and J. T. Han, Isolation of an antifungal compound from aerial parts of Platycarya strobilacea, J. Korea Soc. Agric. Chem. Biotechnol., 46(3), 268 (2003) 

  28. K. H. Kim, K. S. Kim, Y. H. Kim, K. T. Kim, H. C. Yang, and B. Y. Lee,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fruit extract of Platycarya strobilacea having anti-aging activity, 10-0805386-0000 (2008) 

  29. D. Babu, J. S. Lee, S. Y. Park, D. Thapa, M. K. Choi, A. R. Kim, Y. J. Park, and J. A. Kim, Involvement of NF- ${\kappa}B$ in the ihibitory actions of Platycarya strobilacea on the TNF- ${\alpha}$ -induced monocyte adhesion to colon epithelial cells and chemokine expression, Arch. Pharm. Res., 31(6), 727 (2008) 

  30. J. H. Lee, Y. S. Kwon, and C. M. Kim, Flavonoids from the stem bark of Platycarya strobilacea, Kor. J. Pharmacogn., 29(4), 353 (1998) 

  31. H. J. Lee, S. K. Lee, Y. J. Choi, H. J. Jo, H. Y. Kang, and D. H. Choi, Extractives from the bark of Platycarya strobilacea, J. Korean For. Soc., 96(4), 408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