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왕쥐똥나무잎(Ligustrum ovalifolium H.)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자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왕쥐똥나무잎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105.5{\pm}1.31$ mg GAE/g extract)과 에탄올 추출물($102.1{\pm}1.82$ mg GAE/g extract)은 비슷한 총 폴리페놀 함량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물 추출물($84{\pm}1.72$ mg CE/g extract)과 에탄올 추출물($82.8{\pm}1.65$ mg CE/g extract)이 비슷한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ESR을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hydroxyl 라디칼을 제외한 DPPH, alkyl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alkyl 라디칼 소거능은 비타민 C와 같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활성, FRAP을 이용한 총항산화능 측정 및 환원력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이 뛰어난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FTC 및 TBA법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능을 살펴본 결과, 왕쥐똥나무잎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alpha}$-토코페롤보다 활성이 훨씬 우수하였다. 한편,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상 간세포(human liver, Chang cells)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통한 세포의 생존율을 살펴본 결과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5 m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왕쥐똥나무잎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igustrum ovalifolium H. leaves (LOH) as well as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l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폴리페놀은 많은 식물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항산화, 항균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기에 이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왕쥐똥나무 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하여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왕쥐똥나무 잎의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 최근까지의 왕쥐똥나무의 연구현황은 왕쥐똥나무 꽃에서 acrylated triterpenoids 분리와 종자에서 ursolic acid와 oleanolic acid 분리 정도 일뿐,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을 이용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의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활성 및 정상 간세포(human liver, Chang cells)를 이용한 독성 평가를 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왕쥐똥나무잎(Ligustrum ovalifolium H.)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자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왕쥐똥나무잎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1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성 항산화제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활성산소 및 프리 라디칼은 노화 촉진과도 관련성이 높아, 최근에는 생체 내 항산화 효소 체계를 증강시킬 수 있으면서 인체에 무해한 항산화제를 천연식물류로부터 얻고자 하는 시도가 여러 각도에서 수행되고 있다(1,2). 이미 알려져 있는 항산화성 물질에는 BHA나 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인지질 등의 천연 항산화제가 있으나(3) 보다 안전하고 생체 방어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강한 항산화제에 대한 요구는 날로 증가되고 있는 경향이다(4). 천연 항산화제는 대부분 식물 기원의 항산화성 화합물로서 나무, 수피, 줄기, 잎, 과일, 뿌리, 꽃, 열매, 씨앗 등의 모든 부분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은 주로 페놀화합물로서 프리 라디칼의 생성을 지연 시키거나 활성을 저해하여 항산화 물질로서의 역할을 한다 (5-7).
천연 항산화제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활성산소 및 프리 라디칼은 노화 촉진과도 관련성이 높아, 최근에는 생체 내 항산화 효소 체계를 증강시킬 수 있으면서 인체에 무해한 항산화제를 천연식물류로부터 얻고자 하는 시도가 여러 각도에서 수행되고 있다(1,2). 이미 알려져 있는 항산화성 물질에는 BHA나 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인지질 등의 천연 항산화제가 있으나(3) 보다 안전하고 생체 방어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강한 항산화제에 대한 요구는 날로 증가되고 있는 경향이다(4). 천연 항산화제는 대부분 식물 기원의 항산화성 화합물로서 나무, 수피, 줄기, 잎, 과일, 뿌리, 꽃, 열매, 씨앗 등의 모든 부분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은 주로 페놀화합물로서 프리 라디칼의 생성을 지연 시키거나 활성을 저해하여 항산화 물질로서의 역할을 한다 (5-7).
왕쥐똥나무 꽃의 특징은? 잎은 전연(全緣)이고 다소 두터우며 후질(厚質)이고 활택(滑澤)해서 역시 쥐똥나무의 잎과 비교가 된다. 꽃은 원추화서(圓錐花序)이며 흰색이고 6월에 개화한다. 11월에 과실은 검은색으로 익어가며 동그란 핵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SY, Ryu KS, Lee WC, Ku HO, Lee HS, Lee KR. 1999. Hypoglycemic effect of mulberry leaves with anaerobic treatment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Korean J Pharmacogn 30: 123-129. 

  2. Cho YJ, Ju IS, Chun SS, An BJ, Kim JH, Kim MU, Kwon OJ.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76-281. 

  3. Huang MT, Ho CT, Lee CY.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Maple Press, New York, NY, USA. Vol 99, p 2-7. 

  4. Lee SJ, Sung NJ, Jeong HG, Shin JH, Chung YC, Seo JK.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Prunella vulgar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35-1541. 

  5. Lee SY, Hwang EJ, Kim GH, Choi YB, Lim CY, Kim SM. 2005.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a japonic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93-100. 

  6. Lee SM, Son ES, Oh SS, Han DS. 2001.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6: 504-514. 

  7. Lee BB, Chun JH, Lee SH, Park HR, Kim JM, Park EJ, Lee SC. 2007.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activity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m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28-1632. 

  8. Koichi M, Toshio Y, Yoshiko K, Masao K. 1997. Acylated triterpenoids from Ligustrum ovalifolium. Phytochemistry 46: 977-979. 

  9.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li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0.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1. Lee SJ, Kim EK, Hwang JW, Oh HJ, Yang SI, Lee SJ, Jeon BT, Kim SK, Park PJ. 2009.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eta$ -chitooligosaccharides. J Chitin Chitosan 14: 24-28. 

  12. Park MK, Kim CH. 2009.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apple peel using cellulase and pectinase and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35-540. 

  13. Benzie IFF, Strain JJ. 1999.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ssay: direct measure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iological fluids and modified versio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power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Methods Enzymol 299: 15-27. 

  14. Seo SJ, Choi YM, Lee SM, Kong SH, Lee JS.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15. Kikuzaki H, Nakatani N. 1993. Antioxidant effect of some ginger constituents. J Food Sci 58: 1407-1410. 

  16. Je JY, Park PJ, Kim EK, Ahn CB. 2009. Antioxidant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Food Chem 113: 932-935. 

  17.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8. Ryu MJ, Lee SY, Cho SH, Park Y. 2010.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J uniperus chinensis and protective effects on human HaCaT keratinocyte. J Korean Soc Aesth Cos 8: 107-116. 

  19. Kim YE, Yang JW, Lee CH, Kwon EK. 2009.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55-560. 

  20. Santas J, Carbo R, Gordon MH, Almajano MP. 2008.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wo Spanish onion varieties. Food Chem 107: 1210-1216. 

  21. Song HS, Kim DP, Jung YH, Lee MK.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Korean J Food & Nutr 20: 150-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