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호흡을 고려한 사차원방사선치료의 효용성 증대를 위하여, 규칙적이고 안정된 호흡주기 및 호흡량을 갖도록 환자를 교육하고 호흡을 연습시키는 호흡연습장치 및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호흡연습장치를 사용시 및 사용후의 호흡의 규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11명(자원자 9명,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유롭게 호흡하는 '자유호흡(free-breathing)'법, 자유호흡 시 시뮬레이션 된 표준 호흡주기를 따라함으로써 일정한 호흡주기를 만드는 '신호모니터-호흡(guided-breathing)'법 및 호흡연습 후 시뮬레이션 신호 없이 호흡하는 '연습 후 호흡(postguided-breathing)'법 등 3가지 방법으로 호흡주기를 기록하여 호흡주기(PTP (Peak To Peak))와 호흡크기(Amplitude) 및 호흡패턴(Area, RMS (Root Mean Square))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호흡주기를 보여주는 PTP 값은 '신호모니터-호흡'에서 표준편차 값(standard deviation)이 의미 있게 감소하여 호흡주기가 더 규칙적이었고(자유호흡 0.568 vs 신호모니터-호흡 0.344, p=0.0013), '연습 후 호흡'법에서는 '자유호흡' 시보다 표준변동치가 낮아 호흡주기가 보다 안정적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자유호흡 0.568 vs 연습 후 호흡 0.512, p=ns). 호흡량 측정 결과는 '자유호흡'보다 '신호모니터-호흡'의 경우 호흡량의 표준편차 값이 낮아 호흡량이 보다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자유호흡 1.317 vs 신호모니터-호흡 1.068, p=0.187). 호흡 패턴은 '자유호흡'과 '모니터 호흡' 사이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연습 후 호흡'에서는 호흡주기 내 호흡함수의 평균 면적이 7% 감소하였고 RMS 값은 5.9% 감소를 보였다. 결 론: '신호모니터-호흡'에서 호흡주기 및 호흡량이 가장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호흡연습의 효과는 시뮬레이션 신호 없이 호흡하는 '연습 후 호흡'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호흡연습장치 및 프로그램은 호흡의 주기의 규칙성과 호흡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piratory gated 4-dimensional radiation therapy for more regular and stable respiratory period and amplitude, a respiration training system was designed, and its efficacy was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measur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호흡연동방사선치료 시 호흡을 안정적이며 규칙적으로 유지하도록 교육/연습하는 호흡연습장치를 자체 제작하여, 자유롭게 호흡하는 ‘자유호흡법(free-breathing)', ‘자유호흡' 시 시뮬레이션 된 표준 호흡주기를 모니터를 보고 따라함으로써 일정한 호흡주기를 만드는 ‘신호모니터-호흡법(guided-breathing)' 및 호흡연습 후 시뮬레이션 신호 없이 호흡하는 ‘연습 후 호흡법(postguided-breathing)' 등 3가지 방법을 통하여 호흡을 측정하고 각각의 호흡법에 대한 호흡주기와 호흡크기 및 호흡패턴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호흡연습장치 및 프로그램의 유용성 및 적용 대상별 맞춤형 호흡연습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2,12∼15) 또한, 호흡은 감정적, 육체적 상황이나 각각의 시점에 따라 상호 연관되어 변화하고 매우 다른 패턴을 보이게 된다. 환자의 호흡을 모델화하고 반복된 연습을 통하여 습관화한 후 치료계획을 실시하고 매 분할조사 시마다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호흡을 유도하고 관찰할 경우에만 호흡연동 방사선치료는 소기의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Fig. 9).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호흡연습 프로그램 및 시스템이 유용한 시스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치료 계획은 어떻게 수립되는가?  방사선치료 계획은 전산화단층촬영 등을 통하여 얻은 환자의 해부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세운다. 이때 방사선치료의 대상이 되는 장기나 종양의 움직임 때문에 방사선치료 시 대상 장기의 위치가 치료계획 시와 달라짐으로써 방사선 분포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호흡연동방사선치료 시 규칙적이고 안정된 호흡주기 및 호흡량을 갖도록 환자를 교육하고 호흡을 연습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이렇게 호흡신호를 매개체로 사용하는 방법들은 호흡이 안정된 일정한 주기로 이루어질 때에만 가능하며 호흡이 주기성을 갖지 못하거나, 내부 장기의 움직임이 호흡주기와 동조를 이루지 못할 경우 심각한 오차를 유발시킬 수 있다.12,13) 특히 전산화단층촬영 시 환자의 호흡주기 및 호흡량과 방사선치료 시의 호흡주기 및 호흡량이 다르게 되면 내부 장기의 움직임 패턴도 다르게 되어 치료계획 시 의도한 방사선량 분포를 재현할 수 없다. 따라서 호흡연동방사선치료 시 규칙적이고 안정된 호흡주기 및 호흡량을 갖도록 환자를 교육하고 호흡을 연습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방사선치료는 어떻게 발전해 가고 있는가? 방사선치료는 삼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 정위방사선치료 및 세기조절방사선치료 등 3차원 공간에서 방사선 분포를 제어하여 보다 정밀한 방사선치료를 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이런 치료법은 정확한 시점 및 정확한 위치에 빔이 전달되어야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1) 그러나, 호흡에 의한 위치 변화가 큰 복부 또는 흉부의 방사선치료 시 발생하는 종양 및 주변장기의 움직임은 방사선량분포에 영향을 주어 표적흡수선량은 낮아지고 주변정상장기에는 고 선량이 주어지는 현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Park HC, Cho BC, Kim SS, Oh DH, Bae H. Clinical considerations for respiration synchronized high-precision radiotherapy. Korean J Med Physics 2005;Supple 1:16-21 

  2. Keall PJ, Mageras GS, Balter JM, et al. The management of respiratory motion in radiation oncology report of AAPM TG 76. Med Phys 2006;33:3874-3900 

  3. Pan T, Lee TY, Rietzel E, Chen GTY. 4D-CT imaging of a volume influenced by respiratory motion on multi-slice CT. Med Phys 2004;31:333-340 

  4. Wong JW, Sharpe MB, Jaffray DA, et al. The use of active breathing control (ABC) to reduce margin for breathing mo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ics 1999;44:911-919 

  5. Hanley J, Debois NM, Mah D, et al. Deep inspiration breathing technique for lung tumors: the potential value of target immobilization and reduced lung density in dose escala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ics 1999;45:603-611 

  6. Kubo HD, Hill BC. Respiration gated radiation treatment: a technical study. Phys Med Biol 1996;41:83-91 

  7. Ramsey CR, Scaperoth D, Arwood D, et al. Clinical efficacy of respiratory gated conformal radiation therapy. Med Dosim 1999;24:115-119 

  8. Gierga DP, Brewer J, Shap GC.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markers for abdominal tumors: implications for respiratory gating. Int J Radiat Oncol Biol Physics 2005;61:1551-1558 

  9. Sonke JJ, Zijp L, Remeijer P, Marcel van Herk. Respiratory correlated cone beam CT. Med Phys 2005;32:1176-1186 

  10. Zhang T, Keller H, O'Brien MJ, Mackie TR, Paliwal B. Application of the spirometer in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Med Phys 2003;30:3165-3172 

  11. Ali I, Lovelock D, Kang H, et al. Extr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marker 3D-motion in liver patients with compression belt using kv cone-beam radiographic projections. Med Phys 2007;34:2392 

  12. Song JY, Nah BS, Jung WK, Ahn SJ, Nam TK, Yun MS. Development of error analysis program for phase-based respiratory gating radiation therapy. Korean J Med Physics 2006;17:136-143 

  13. Lim S, Park S, Ahn SD, et al. Guiding curve based on the normal breathing as monitored by thermocouple for regular breathing. Med Phys 2007;34:4514-4518 

  14. Venkat RB, Keall P, Sawant A, George R. Respiratory training using audio visual bio-feedback. Med Phys 2007;34:2370 

  15. Vedam SS, Keall PJ, Kini V, Mohan R. Determining parameters for respiratory-gating radiotherapy. Med Phys 2001;28:2139-2146 

  16. Gierga DP, Brewer J, Sharp GC, Betke M, Willett CG, Chen TY.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markers for abdominal tumors: implications for respiratory gating. Int J Radiat Oncol Biol Physics 2005;61:1551-15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