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탐구활동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Inquiry Activities in Geology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the U.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9 no.7, 2008년, pp.626 - 639  

배현경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과학교육) ,  정공수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환경과학과)

초록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개선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영역에 있는 탐구 활동이 탐구내용, 탐구과정, 탐구상황 면에서 평가되었다. 탐구활동의 내용에서, 한국 교과서는 단원 당 5.8개로 미국 교과서의 단원 당 4개보다 더 많은 탐구활동 개수를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 교과서는 대부분 도표나 그래프 등 자료해석에 관련된 탐구활동을 포함하고 있고 미국 교과서는 스스로 조작하는 실험이나 자료변형 그리고 직접설계 할 수 있는 탐구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탐구활동 1개당 사용된 탐구과정 개수는 한국 교과서가 평균 1.8개인 반면 미국 교과서는 3개로 미국 교과서가 한국 교과서보다 더욱 다양한 탐구과정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탐구과정 요소는 추리와 자료해석으로 이 두 요소의 비율은 한국 교과서는 평균 73.3%이고 미국 교과서는 46.2%였다. 즉 한국 교과서는 특정 탐구과정 요소만을 강조하였고, 이런 고르지 못한 탐구과정 요소의 분포는 학생의 통합능력 신장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통합적 탐구과정에서 미국교과서는 7개의 모든 요소가 다 제시되었지만 한국 교과서는 단지 2개 내지 4개의 요소만이 제시되어 한국 교과서가 미국 교과서보다 학생들이 다양한 탐구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하는 탐구활동을 제공하는데 있어 취약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탐구상황 분석에서 한국교과서는 다소 단편적 인이고 실생활과 관련이 낮은 탐구 상황이 제공되었고, 미국 교과서는 좀 더 실생활과 관련되어 적용된 탐구 상황의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esent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science textbooks of high school,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geology of earth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the U.S. were assessed in the areas of the contents, processes and contexts. Regarding the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Korean textbooks...

주제어

참고문헌 (41)

  1. 경재복, 윤일희, 이경훈, 김기룡, 황원기, 이기영, 2004, 지구과학 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267 p 

  2. 경재복, 윤일희, 이경훈, 김기룡, 황원기, 이기영, 2008, 지구과학 I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347 p 

  3. 권재술, 2001, 탐구의 본질과 과학 수업 절차. 전북교육, 18, 45-51 

  4. 교육부, 1998,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102 p 

  5. 김광명, 2005, 한미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비교 분석: 날씨 개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 28, 51-75 

  6. 김성은, 김상윤, 백진희, 2007,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5, 6학년 삽화 비교 연구. 과학교육연구, 31, 21-39 

  7. 김정률, 김명숙, 박예리, 2005,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탐구 과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 501-510 

  8.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1999, 과학교육학개론. 북스힐, 서울, 518 p 

  9. 김창만, 김인환, 김정성, 2003, 과학교육탐구. 박영사, 서울, 645 p 

  10. 김효남, 2002, 미국 초등과학교과서 McGraw-Hill Science 외형 및 내용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2, 41-52 

  11. 박광순, 1997, 한국의 중학교 과학교과서와 미국 SciencePlus의 생물영역 비교. 과학교육연구, 28, 65-81 

  12. 박효순, 조희형, 2003,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239-245 

  13. 서혜애, 오필석, 홍재식, 2000, 국가과학교육 기준. 교육과학사, 서울, 386 p 

  14. 송호봉, 임재한, 1997,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한국 고등학교 화학 II와 미국 교과서의 비교. 경기대학교 논문집, 41, 119-152 

  15. 신동희, 박정, 2002,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지구과학 성취도: 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 207-220 

  16. 신동희, 이양락, 이기영, 이은아, 이규석, 2005, 지구환경을 고려한 미래지향적, 지구과학 교육과정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239-259 

  17. 우종옥, 정진우, 위수민, 임청환, 홍성일, 이석형, 2005, 지구과학 I. (주)교학사, 서울, 221 p 

  18. 우종옥, 정진우, 위수민, 임청환, 홍성일, 이석형, 2008, 지구과학 II. (주)교학사, 서울, 303 p 

  19. 유모경, 조희형, 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494-504 

  20. 이덕환, 2005, 과학 교육에서의 탐구 활동과 창의력 향상. 경기과학, 118, 8-25 

  21. 이문원, 전성용, 권석민, 진만식, 신석주, 임부철, 2006, 지구과학 I. (주)금성출판사, 서울, 283 p 

  22. 이문원, 전성용, 권석민, 진만식, 신석주, 임부철, 2008, 지구과학 II. (주)금성출판사, 서울, 391 p 

  23.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울, 344 p 

  24. 이양락, 곽영순, 김동영, 2005,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지, 26, 759-770 

  25. 정진우, 우종옥, 김찬종, 임청환, 이연우, 소원주, 정남식, 이경훈, 이항로, 홍성일, 윤선진, 정철, 박진홍, 1999, 지구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419 p 

  26. 조희형, 박승재, 1999, 교수-학습 이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406 p 

  27. 조희형, 최경희, 2005,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서울, 669 p 

  28. 허남조, 유병태, 한영욱, 2005, 우리나라(7차 교육과정)와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 3, 4, 5, 6학년의 지구과학영역 비교 및 분석. 과학교육연구, 29, 325-351 

  29. Allison, M.A., DeGaetano, A.T., and Pasachoff, J.M., 2006, Earth Science. Holt Rinehart Winston, Austin, Texas, USA, 954 P 

  3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A process approach (SAPA II). Delta Education, Inc., Hudson, New Hampshire 

  31. Chiappetta, E.L. and Koballa, T.R., 2001,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5th ed,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337 p 

  32. Driver, R., Newton, P., and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 287-312 

  33. Germann, P.J.,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475-499 

  34. Hess, F.S., Kunze, G., Leslie, S.A., Letro, S., Millage, C., Sharp, L., and Snow, T., 2005, Earth Science-Geology, the Environment, and the Universe. McGraw Hill, NY, USA, 1002 p 

  35. Hughes, G., 2000, Marginalization of socioscientific material in science-technology-society science curricula: Some implications for gender inclusivity and curriculum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426-440 

  36.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72 p 

  37.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04, Position statement on the scientific inquiry. VA, USA 

  38. Nelson, B.C. and Ketelhut, D.J., 2007, Scientific inquiry in educational multi-user virtual environment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9, 265-283 

  39. Sadler, T.D., Barab, S.A., and Scott, B., 2007, What do students gain by engaging in socioscientific inqui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 371-391 

  40. Wolf, S.J. and Fraser, B.J., 2008, Learning environment, attitudes and achievement among middle-school science students using inquiry-based laboratory activiti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321-341 

  41. Zeidler, D.L., Walker, K.A., Ackett, W.A., and Simmons, M.L., 2002, Tangled up in views: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sponses to socioscientific dilemmas. Science Education, 86, 343-3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