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소실, 연골하 골의 재형성 및 경화, 골증식체 형성을 포함하는 일련의 퇴행 과정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으로, 측두하악관절의 과도한 사용이나 전신 질환에 의해서 야기될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임상적으로는 통증으로 인한 하악운동제한, 염발음, 관절 촉진시 국소적 압통 등의 특징적 소견을 나타내며 방사선 사진 상으로 구조적 골변화가 포함되어야 확진을 내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두하악관절의 평가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사선 사진은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횡두개 방사선 사진, 횡인두 방사선 사진 등의 단순 촬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순 촬영은 측두하악관절의 골구조를 평가하는 데 있어 여러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 검사 및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통한 측두하악관절 퇴행성 관절질환의 진단과 전산화 단층촬영 상에 나타나는 퇴행성 골변화를 비교해보고, 하악과두의 골변화 유무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전산화 단층촬영을 비교하여 확인함으로써 측두하악관절 퇴행성 관절질환의 진단에 있어 임상 진단 및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한계와 전산화 단층촬영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병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진단 및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확진을 위해서는 임상 검사 뿐 아니라 방사선 사진 촬영을 통해 골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단순 촬영은 여러 가지 제한점과 한계를 가지므로 측두하악관절의 골변화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산화 단층촬영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steoarthritis is caused by joint degeneration, a process that includes progressive loss of articular cartilage accompanied by attempted repair of articular cartilage, remodeling and sclerosis of subchondral bone, and osteophyte formation. The most common causative factor that either causes or co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 턱관절 및 안면통증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 중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혹은 골관절증으로 진단되거나 의심되어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450명의 임상검사 및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 검사 및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통한 측두하악관절 퇴행성 관절질환의 진단과 전산화 단층촬영 상에 나타나는 퇴행성 골변화를 비교해보고, 하악과두의 골변화 유무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전산화 단층촬영을 비교하여 확인함으로써 측두하악관절 퇴행성 관절질환의 진단에 있어 임상 진단 및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한계와 전산화 단층촬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측두하악관절의 구조적 변화나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촬영 기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측두하악관절의 구조적 변화나 병변이 초기에는 충분한 골조직의 탈회가 일어나지 않아 단순 촬영 상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12-16)따라서 단순 촬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측두하악관절의 영상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전산화 단층촬영, 관절조영술, 자기공명영상 등이 사용되어 왔다. 전산화 단층촬영이 초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기존의 방사선 사진과 달리 경조직과 연조직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측두하악관절 원판장애를 진단하는 데 널리 쓰였으나, 현재는 자기공명영상이 널리 사용되면서 연조직을 확인하는 데는 그 중요성이 감소하였고 주로 골병변이나 골구조를 확인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퇴행성 변화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소실, 연골하 골의 재형성 및 경화, 골증식체 형성을 포함하는 일련의 퇴행 과정에 의해 야기되는 관절의 퇴행성 질환이다.1) 연령의 증가와 관절의 과도한 부하가 퇴행성 변화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관절의 퇴행성 변화의 병태생리적 기전은 여전히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골관절염을 예방하거나 골관절염이 나타났을 때 그 진행을 늦추려는 노력은 과학적인 접근보다는 추측이나 경험에 의존하게 된다.
골관절염은 어떠한 질환인가?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소실, 연골하 골의 재형성 및 경화, 골증식체 형성을 포함하는 일련의 퇴행 과정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으로, 측두하악관절의 과도한 사용이나 전신 질환에 의해서 야기될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임상적으로는 통증으로 인한 하악운동제한, 염발음, 관절 촉진시 국소적 압통 등의 특징적 소견을 나타내며 방사선 사진 상으로 구조적 골변화가 포함되어야 확진을 내릴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uckwalter JA, Mankin HJ. Articular cartilage: degeneration and osteoarthritis, repair, regeneration, and transplantation. Instr Course Leet 1998;47: 487-504 

  2. Buckwalter JA, Martin JA. Osteoarthritis. Adv Drug Deliv Rev 2006;58(2):150-167 

  3.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6th ed., St. Louis, 2007, Mosby Inc., pp. 322-324 

  4. Israel HA, Diamond BE, Saed-Najad F, Ratcliffe A. Correlation between arthroscopic diagnosis of osteoarthritis and synovitis of the human temporomandibular joint and keratan sulfate levels in the synovial fluid. J Oral Maxillofac surg 1997;55(3):210-217 

  5. Haskin CL, Stephen BM, Ivan LC. Pathogenesis of degenerative joint disease in the human temporomandibular joint. Crit Rev Oral BioI Med 1995;6(3):248-277 

  6. de Bont LG, Stegenga B. Pathology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 and osteoarthrosi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3;22(2):71-74 

  7. de Bont LG, van der Kuijl B, Stegenga B, Vencken LM, Boering G. Computed tomography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3;22(4):200-209 

  8. Stegenga B.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rgan and its relationship-to disc displacement. J Orofac Pain 2001;15(3):193-205 

  9. Stegenga B, de Bont ,LG, Boering' G, Osteoarthrosis as the cause of craniomandibular pain and dysfunction: a unifying concept. J Oral Maxillofac Surg 1989;47 (3) :249- 256 

  10. Dixon DC. Radiographic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emin Orthod 1995;1:207-221 

  11. White SC, Pharaoah MJ, Oral radiology: principles and interpretation. 4th ed., St. Louis, 2000, Mosby Inc., pp. 493-498 

  12. Rozencweig D. Three-dimensional tomographic study of the tempore- mandibular articulation. J Periodontol 1975;46(6):348-356 

  13. Berrett A. Radiolog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ent Clin North Am 1983;27:527-540 

  14. Cohen H, Ross S, Gordon R. Computerized tomography as a guide in the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J Am Dent Assoc 1985;110(1):57-60 

  15. Coucke ME, Bourgoignie RR, Dermaut LR, Bourgoignie KA, Jacobs RJ, Belgium G. Radiation dose in temporomandibular joint zon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1;71(6):756-762 

  16. Brooks SL, Brand JW, Gibbs J, Hollender L, Lurie AG, Omnell KA, Westesson PL, White SC, Mich AA. Imaging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 position paper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7;83(5):609-618 

  17. Ludlow JB, Davies KL, Tyndall DA. Temporomandibular joint imaging: a comparative study of diagnostic accuracy for the detection of bone change with biplanar multidirectional tomography and panoramic imag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5;80(6):735-743 

  18. Westesson PL, Katzberg RW, Tallents RH, SanchezWoodworth RE, Svensson SA. CT and MRI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omparison with autopsy specimens. Am J Roentgenol 1987;148(6): 1165-1171 

  19. Israel HA, Saed-Najad F, Ratcliffe A. Early diagnosis of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orrelation between arthroscopic diagnosis of osteoarthritis and synovitis of the human temporomandibular joint and keratan sulfate levels in the synovial fluid. J Oral Maxillofac Surg 1991;49:708-711 

  20. Westesson PL, Rohlin M. Internal derangement related to osteo- arthrosis in temporomandibular joint autopsy specime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4;57 (1): 17 - 22 

  21. Kopp S, Rockler B.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and radiographic findings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ain or dysfunction. Acta Radiol Diagn 1979;20(3): 465-477 

  22. Yoshimura Y, Yoshida Y, Oka M, Miyoshi M, Uemura S. Long-term evaluation of non-surgical treatment of osteoarthros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t J Oral Surg 1982;11(1):7-13 

  23. Hansson LG, Hansson T, Peters son A. A comparison between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gns in 259 temporomandibular joint patients. J Prosthet Dent 1983;50(1):89-94 

  24. Mejersjo C, Hollender L. TMJ Pain and dysfunction: relation between clinical and radiographic findings in the short and long-term. Scand J Dent Res 1984;92(3):241-248 

  25. Pereira FJ Jr, Lundh H, Westesson PL. Morphologic change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different age groups. An autopsy investiga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4;78(3):279-287 

  26. Broussard JS Jr. Derangement, osteoarht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mplications, diagnosis, and management. Dent Clin North Am 2005;49(2):327-342 

  27. Oliveria SA, Felson DT, Reed JI, Cirillo PA, Walker AM. Incidence of symptomatic hand, hip, and osteoarthritis among patients in a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Arthritis Rheum 1995;38(3):1134-1141 

  28. Bouvier M, Zimmy ML: Effects of mechanical loads on surface morphology of the condylar cartilage of the mandible in rats. Acta Anat 1987;129(4):293-300 

  29. Lawrence JS, Bremner JM, Bier F. Osteoarthrosis. prevalence in the popul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and x-ray changes. Ann Rheum Dis 1966;25(1):1-24 

  30. Ageberg G, Inkapool I. Craniomandibular disorders in an urban Swedish population. J Craniomendib Disord 1990;4(3):154-164 

  31. MacEntee MI, Weiss R, Morrison BJ, WaxlerMorrison NE. Mandibular dysfunction in an institutionalized and predominantly elderly population. J Oral Rehabil 1987;14(6):523-529 

  32. Quinn JH, Bazan NG. Identification of prostaglandin E2 and leukotriene B4 in the synovial fluid of painful, dysfuctional temporomandibular joints. J Oral Maxillofac Surg 1900;48:968-971 

  33. Kamelchuk LS, Major PW. Degenerative disease of the ternporo- mandibular joint. J Orofac Pain 1995;9:168-180 

  34. Cibere J. Do we need radiographs to diagnose osteoarthritis?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2006;20(1):27-38 

  35. Mawani F, Lam EWN, Heo G, Raboud DW, Major PW, Alberta E. Condylar shape analysis using panoramic radiography units and conventional tom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5;99(3):341-348 

  36. Crow HC, Parks E, Campbell JH, Stucki DS, Daggy J. The utility of panoramic radiography in temporomandibular joint assessment. Dentomaxillofac Radiol 2005;34(2):91-95 

  37. Larheim T A. Current trends in temporomandibular joint imaging.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5;80(5):555-576 

  38. A vrahami E, Horowitz I, Cohn DF. Computed tomograph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ornput Radiol 1984;8(4):211-216 

  39. Janzen DL, Connell DG, Munk PL. Current imaging of temporomandibular joint abnormalities: a pictorial essay. Can Assoc Radiol J 1998;49(1):21-34 

  40. Muir CB, Goss AN. The radiologic morphology of asymptomatic temporomandibular joi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0;70(3):349-3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