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건조증 환자의 미각기능과 치료에 따른 미각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2006년 9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를 통하여 구강건조증으로 진단된 환자를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2007년 9월부터 12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중에 구강검사와 설문지를 사용하여,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내 연조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환자를 대조군으로 선택하여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조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 비교에서 혀의 측면, 혀끝, 유곽유두에서 차이를 보였다. 2. 남성에서 구강건조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여성에서 구강건조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연구개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환자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구강건조증 환자군의 치료에 따른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초진 시와 1차 치료 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곽유두에서는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aste sensitivity which follows after treatment for xerostomia, from September, 2006 to July, 2007, we categorized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xerostomia in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Busan National University, as subject group and from September, 2007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강내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강건 조증 환자의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하여 치료 전과 후의 전기미각역치를 관찰하고, 구강건조증이 미각변화와 실제적인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도하였으며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구강내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강건 조증 환자의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하여 치료 전과 후의 전기미각역치를 관찰하고, 구강건조증이 미각변화와 실제적인 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향후 구강 건조증과 미각이상과의 관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실험군으로는 2006년 9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를 통해 구강건조증으로 진단된 환자를 선택하고, 2007년 9월부터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 검사와 설문지를 사용하여,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 내 연조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환자를 대조군으로 선택하여 전기미각 역치를 측정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설 설정

  • 10) 구강건조감은 구강점막이 타액에 의해 젖어있는 정도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인지되며,11) 구강건조증이 있는 경우 전타액 분비율의 감소와 함께 구강의 연조직 및 경조직 표면에 붙어있는 잔존타액의 감소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12) 이러한 타액의 감소에 의해 미각기능 이상을 보일 수 있다는 사실은 아직 직접 조사된 바가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각은 어떤 감각인가? 미각은 주로 구강내의 미뢰를 통하여 느끼는 감각으로 생활에 필요한 음식물을 선택하거나 영양물질을 섭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각은 또한 체액 섭취조절에 관여함으로써 체액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체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어하는 기능도 있다.
혀에는 네 종류의 유두가 있는데 네 종류의 유두는 무엇인가? 미각수용기인 미뢰는 혀와 연구개에 주로 분포하며 혀 점막의 미뢰는 대부분 혀의 유두 속에 존재한다. 혀에는 네 종류의 유두가 있는데 모상유두 (filiform papilla), 심상유두(fungiform papilla), 엽상 유두(foliate papilla) 및 유곽유두(circumvallte papilla) 이다. 가장 많이 분포하는 모상유두에는 미뢰가 없기 때문에 맛이 아닌 촉각을 담당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이승우, 고명연, 최재갑 외 공저. 노인치과학. 서울, 지성출판사, 2001, pp.113-125 

  2. Mott AE, Grushka M, Sessle BJ.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aste disorders and burning mouth syndrome. Dent Clin North Am 1993;1:33-77 

  3. Stolbova K, Hahn A, Benes B, Andel M, Treslova T. Gustometry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and obese patients. International Tinnitus Journal 1999;5:135-140 

  4. Brightman VJ. Abnormalities of taste. In Lynch MA, Brightman VJ, Greenberg MS (Eds). Burket's Oral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9th ed., JB Lippincott Co., 1994, pp.343-368 

  5. Guyton AC, Hall JE.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9th ed., Philadelphia, 1996, WB Sanuders Co., pp676-677 

  6. 이종흔, 김중수. 구강생리학. 4판, 서울, 1994, 군자출판사, p.211 

  7. 홍주희, 오정규, 고홍섭. 미각이상환자의 미각 역치검사에 관한 증례보고.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1;26: 127-131 

  8. Screebny LM. Xerostomia (Dry Mouth). In Tenovuo JO (Ed). The Salivary System. Boca Raton, 1988, CRC Press Inc., pp.179-202 

  9. Screebny LM, Schwartz SS. A reference guide to drugs and dry mouth. Gerodontology 1986;5:75-99 

  10. Mandel ID. The role of saliva in maintaining oral homeostasis. JADA 1989;119(2):298-304. 

  11. DiSabato-Mordarski T, Kleinberg I.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residual saliva on various oral mucosa and dentition surfaces in humans. Arch Oral Biol 1996;41(7):655-665 

  12. Wolff M, Kleinberg I. Oral mucosal wetness in hypoand normosalivators. Arch Oral Biol 1998;43(6):455-462 

  13. Murphy C, Quinonez C, Nordin 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lectrogustometry and its application to young elderly persons. Chem Senses 1995;20:499-503 

  14. 신동민. Electrogustometry: A simple way to test taste.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6;34:105-109 

  15. Frank ME, Smith DV. Electrogustometry: A simple way to test taste. In Getchell TV, Doty RL, Bartoshuk LM (Eds). Smell and taste in health and disease. New York, 1991, Raven Press, pp.503-514 

  16. 박성근, 김선희, 기우천, 최재갑. 한국인에 있어서 연령증가에 따른 미각의 변화.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8;23:327-341 

  17. Nilsson B. Taste acuity of the human palate II studies with electrogustometry on subjects in different age groups. Acta Odontol Scand 1979;37:217-248 

  18. Nakazato M, Endo S, Tomita H. Influence of aging on electrogustometric threshold. Nippon Jibnnkoka Gakki Kaiho 1995;98:1140-1153 

  19. 김양희. 미각의 증령적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의학회지 1979;17:43-47 

  20. Bartoshuk LM, Rifkin B, Marks LE, Bars P. Taste and aging. J Gerontol 1986;41:51-57 

  21. 오정규, 김연중, 고홍섭. 구강건조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1;26:331-342 

  22. Mandinier I, Jehl-Pietri C, Monteil RA. Drug induced Xerostomia. Am Med Intern 1997;148:398-405 

  23. Bergdahl M, Bergdahl J. Perceived taste disturbance in adults :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medication. Clin Oral Investig 2002;6:145-149 

  24. Amosson CM, Teh BS, Van TJ et al. Dosimetric predictor of xerostomia for head-and-neck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the SMART(simultaneous mudulated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 boost techniqu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3;56:136-144 

  25. Wickham RS, Rehwaldt M, Kefer C et al. Taste change experienced by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Oncol Nurs Forum 1999;26:697-706 

  26. Lowman RM, Cheng GK. Diagnostic Roentgenology. In Rankow RM, Polayes IM (Eds). Disease of Salivary Glands. Philadelphia, 1980, WB Saunders Co., pp.54-98 

  27. Navazesh M, Christensen CM. A comparison of whole mouth resting and stimulated salivary measurement procedures. J Dent Res 1982;61(10):1158-1162 

  28. Spielman A, Ben-Aryeh H, Gutman D, Szargel R, Deutsch E. Xerostomia diagnosis and treatme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 1982;51(2):144-1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