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배란양상
Pattern of Ovulation in Korean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원문보기

대한생식의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v.35 no.3, 2008년, pp.231 - 238  

김혜민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김재령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최은주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박은주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홍서유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이진용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박원일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조기난소부전 환자의 10$\sim$20%에서 난소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고 하며 간헐적으로 배란이 되고 심지어는 임신이 가능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한국의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임상적 특징과 배란가능성은 논의된 적이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자연 난포의 발생 빈도와 배란유도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특발성 조기난소부전으로 진단된 15명 여성의 전체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환자별로 6번 이상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3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추적관찰을 하였다. 또한 4명의 환자에서 6주기의 배란유도시도를 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음파 검사에서 난포의 발견율, 자연 난포 성장률과 배란유도를 시행한 경우에 그 반응을 평가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15명 중 6명은 초음파상 난포가 발견되었나 (40%) 초음파 검사 당 난포 발견 빈도는 7%였다 (115회 중 8회). 6명 중 한 명은 초음파 추적관찰 상 배란이 확인되었고 나머지 5명은 크기에 변화가 없었다. 배란유도를 시도한 6명 중 성공적인 난포 성장이 관찰된 예는 없었다. 결 론: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난포의 발견율은 이전 서양 연구에 비하여 낮다고 생각되지만 관찰 방법에 차이가 있어 직접비교는 불가능하다. 배란유도의 성공율은 0%로서 이전 연구에서 발표된 수준보다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Significant portion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patients ovulate intermittently and even can achieve pregnancy. The clinical features and reproductive potentials of Korean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have never been elucid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ovarian f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초음파 검사당 난포 발견 횟수는 총 115회의 초음파 검사 중 8회에서만 난포가 발견되어 (7%) 기존의 결과보다 낮았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 연구는 난포 성장의 확인만을 목적으로 한 단기간의 전향적 연구이기에 환자 당 초음파 검사의 횟수가 1~4회로 적었지만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의무기록에 나타난 과거의 모든 초음파 검사 횟수를 측정했으며, 또 국내에서는 초음파 검사의 수가가 낮으므로 실제 임상에서 외국에 비해 빈번한 초음파 검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결과를 기존 연구의 결과와 직접 비교하는 것은 무리이지만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경우는 서양 여성에 비해 난포 발견 빈도가 낮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 저자들의 경험에 의하면 한국 여성의 경우에 조기난소부전으로 진단받은 후 난소기능이 우연히 확인된 경우는 있으나 배란의 빈도나 임신 확률은 지금까지 보고된 기존 결과에 비하면 낮을 것으로 추측되어 이를 확인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인 진단 기준에 따라 진단된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난소 기능이 지속된 빈도와 자연 배란의 빈도, 그리고 배란유도에 대한 반응을 후향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최근까지 보고된 외국의 결과와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특징은 난포가 확인된 경우 초음파와 혈중 estradiol 농도를 추적관찰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문헌에 발표된 예가 없다.
  • 11,12 그러나 국내에서는 조기난소부전의 빈도, 임상 양상 등에 대하여 거의 연구된 바가 없으며, 특히 조기난소부전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난포의 성장과 배란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양적인 조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저자들의 경험에 의하면 한국 여성의 경우에 조기난소부전으로 진단받은 후 난소기능이 우연히 확인된 경우는 있으나 배란의 빈도나 임신 확률은 지금까지 보고된 기존 결과에 비하면 낮을 것으로 추측되어 이를 확인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인 진단 기준에 따라 진단된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난소 기능이 지속된 빈도와 자연 배란의 빈도, 그리고 배란유도에 대한 반응을 후향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최근까지 보고된 외국의 결과와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과도하게 상승한 FSH를 억제한 후 외인성 FSH를 투여할 경우 난소 반응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8 둘째 억제된 내인성 FSH가 다시 상승하는 되튐 현상 (rebound phenomenom)이 나타날 때 자연 배란이 가능할 것이라는 가설,9 그리고 면역억제를 통해 난소 반응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가설 등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기난소부전이란? 조기난소부전 (premature ovarian failure)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40세 이전에 난소의 기능이 영구히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1 조기난소부전에서 난소기능의 정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일반적인 폐경과 마찬가지로 4개월 이상의 무월경과 최소한 수 주 간격으로 두 번 측정한 혈중 FSH의 농도가 폐경 수준 (일반적으로 40 mIU/ml 이상)일 때로 정의하고 있다.
조기난소부전에서 난소기능의 정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조기난소부전 (premature ovarian failure)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40세 이전에 난소의 기능이 영구히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1 조기난소부전에서 난소기능의 정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일반적인 폐경과 마찬가지로 4개월 이상의 무월경과 최소한 수 주 간격으로 두 번 측정한 혈중 FSH의 농도가 폐경 수준 (일반적으로 40 mIU/ml 이상)일 때로 정의하고 있다.2 그러나 아직 구체적 진단 기준이 공신력 있는 기관이나 단체를 통하여 합의된 바는 없다.
조기난소부전 환자에게 호르몬 치료를 하지않으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25 실제로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호르몬 치료의 효과가 전향적 비교 연구로 입증된 바는 없다. 그러나 환자에게 호르몬 치료를 하지 않으면 골다공증, 관상동맥 질환 등이 증가한다는 것은 입증된 정설이기에,26 실제로 모든 경우에 호르몬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임신을 원하는 경우에 최선의 방법은 아직 정해진 바 없지만 아직까지는 배란유도의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 시각이 많고 연구 결과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oulam CB. Premature gonadal failure. Fertil Steril 1982; 38: 645-55 

  2. Conway GS. Premature ovarian failure. Br Med Bull 2000; 56: 643-9 

  3. van Kasteren YM, Schoemaker J. Premature ovarian failure: a systematic review on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restore ovarian function and achieve pregnancy. Hum Reprod Update 1999; 5: 483-92 

  4. Nelson LM, Anasti JN, Kimzey LM, Defensor RA, Lipetz KJ, White BJ, et al. Development of luteinized graafian follicles in patients with karyotypically normal spontaneous premature ovarian failure. J Clin Endocrinol Metab 1994; 79: 1470-5 

  5. Check JH. Ovulation and successful pregnancy in a woman with ovarian failure after hypophysectomy and gonadotropin therapy. Am J Obstet Gynecol 1990; 162: 775-6 

  6. Boyers SP, Luborsky JL, DeCherney AH. Usefulness of serial measurements of serum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luteinizing hormone and estradiol in patients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Fertil Steril 1988; 50: 408-12 

  7. Ledger WL, Thomas EJ, Browning D, Lenton EA, Cooke ID. Suppression of gonadotrophin secretion does not reverse premature ovarian failure. Br J Obstet Gynaecol 1989; 96: 196-9 

  8. van Kasteren YM, Hoek A, Schoemaker J. Ovulation induction in premature ovarian failure: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combining pituitary suppression with gonadotropin stimulation. Fertil Steril 1995; 64: 273-8 

  9. Nelson LM, Kimzey LM, White BJ, Merriam GR. Gonadotropin suppression for the treatment of karyotypically normal spontaneous premature ovarian failure: a controlled trial. Fertil Steril 1992; 57: 50-5 

  10. 이수경, 주보선, 문성은, 김상갑, 구자성, 문화숙. 조기 난소부전 여성에서 자연 임신 2예.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7; 50: 1558-62 

  11. Ishizuka B, Kudo Y, Amemiya A, Ogata T. Ovulation induction in a woma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resulting from a partial deletion of the X chromosome long arm, 46,X,del(X) (q22). Fertil Steril 1997; 68: 931-4 

  12. Chen FP, Chang SY. Spontaneous pregnancy in patients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Acta Obstet Gynecol Scand 1997; 76: 81-2 

  13. Luborsky JL, Meyer P, Sowers MF, Gold EB, Santoro N. Premature menopause in a multi-ethnic population study of the menopause transition. Hum Reprod 2003; 18: 199-206 

  14. 윤상호, 최영민. 조기난소부전의 유전학. 대한생식의학회지 2007; 34: 229-38 

  15. 박준철, 김종인, 이정호. 조기난소기능 부전증 환자에서 자가면역 질환과의 상관관계. 대한불임학회지 2004; 31: 149-54 

  16. Menashe Y, Pearlstone AC, Surrey ES. Spontaneous pregnancies despite failed attempts at ovulation induction in a woman with latrogenic premature ovarian failure. J Reprod Med 1996; 41: 207-10 

  17. Christin-Maitre S, Bouchard P. Genes and ovarian insufficiency. Ann Endocrinol 1999; 60: 118-22 

  18. Nelson LM, Covington SN, Rebar RW. An update: spontaneous premature ovarian failure is not an early menopause. Fertil Steril 2005; 83: 1327-32 

  19. Blumenfeld Z, Halachmi S, Peretz BA, Shmuel Z, Golan D, Makler A, et al. Premature ovarian failure--the prognostic application of autoimmunity on conception after ovulation induction. Fertil Steril 1993; 59: 750-5 

  20. Kreiner D, Droesch K, Navot D, Scott R, Rosenwaks Z. Spontaneous and pharmacologically induced remissions in patients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Obstet Gynecol 1988; 72: 926-8 

  21. Tartagni M, Cicinelli E, De Pergola G, De Salvia MA, Lavopa C, Loverro G. Effects of pretreatment with estrogens on ovarian stimulation with gonadotropins in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Fertil Steril 2007; 87: 858-61 

  22. Anasti JN, Kimzey LM, Defensor RA, White B, Nelson LM. A controlled study of danazol for the treatment of karyotypically normal spontaneous premature ovarian failure. Fertil Steril 1994; 62: 726-30 

  23. van Kasteren YM, Braat DD, Hemrika DJ, Lambalk CB, Rekers-Mombarg LT, von Blomberg BM, et al. Corticosteroids do not influence ovarian responsiveness to gonadotropins in patients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Fertil Steril 1999; 71: 90-5 

  24. Conway GS, Kaltsas G, Patel A, Davies MC, Jacobs HS. Characterization of idiopathic premature ovarian failure. Fertil Steril 1996; 65: 337-41 

  25. Goswami D, Conway GS. Premat ure ovarian failure. Hum Reprod Update 2005; 11: 391-410 

  26. Snowdon DA, Kane RL, Beeson WL, Burke GL, Sprafka JM, Potter J, et al. Is early natural menopause a biologic marker of health and aging? Am J Public Health 1989; 79: 709-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