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3, 2008년, pp.276 - 281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주인식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천성숙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안봉전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김정환 (엔아이피 바이오텍) ,  김명욱 (경북해양바이오 산업연구원) ,  권오준 (경북전략산업기획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달래 꽃잎을 물과 60% 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해보았다. 추출물의 페놀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24.2 mg/g,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30.6 mg/g으로 ethanol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추출물의 수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DPPH radical 소거활성이물 추출물과 60%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83.2%, 89.7%의 억제로 높은 저해율이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에서는 물 추출물이 95.5%로 60% ethanol 추출물의 93.8%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용성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해본 결과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는 물 추출물이 60% ethanol 추출물 1.43 PF보다 높은 1.55 PF로 나타났으며, TBARS는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대조구인 $0.44{\times}10^2{\mu}M$보다 낮은 $0.29{\times}10^2{\mu}M,\;0.28{\times}10^2{\mu}M$로 나타나 지용성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혈압에 관여하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해본 결과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46.7% 저해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물추출물에서는 67.6%의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alpha}$-Amlyase,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물이 60% ethanol 추출물 보다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elicobacter pylori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phenol 화합물을 $50{\mu}g/mL$의 농도를 주입하였을 때부터 12 mm 이상의 clear zone이 관찰되어 H. pylori균에 대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진달래 꽃잎 추출물은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유용성분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어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기능성식품의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acts from R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were tested for antioxidant and their inhibitory activities of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Total contents of phenolics were found as $30.6{\pm}0.14mg/g$ (6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진달래꽃에 대한 항산화 효과와 생리활성을 탐색하여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진달래 꽃잎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해 보았다. 항산화 효과의 지표라 할 수 있는 전자공여능 측정에서는 Table 3에서와 같이 물 추출물과 60% ethanol 추출물 모두 80%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60% ethanol 추출물에서 8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달래는 무엇인가?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는 철죽과(Rhodoraceae)에 속하고 높이가 2 m 정도인 낙엽 관목의 꽃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만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8). 진달래 꽃잎과 찹쌀로 빚는 두견주(진달래술)는 향취가 좋은 술로 하루에 한두 잔 마시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혈액속의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주며 진해(鎭海), 혈압강하, 피로회복, 류마티스 치료에 효과가 있고, 잎은 중국 의학에서 강장, 이뇨, 전위와 같은 약리학적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강장, 이뇨, 건위와 같은 약리적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진달래꽃에는 무엇이 함유되어 있는가? 진달래 꽃잎과 찹쌀로 빚는 두견주(진달래술)는 향취가 좋은 술로 하루에 한두 잔 마시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혈액속의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주며 진해(鎭海), 혈압강하, 피로회복, 류마티스 치료에 효과가 있고, 잎은 중국 의학에서 강장, 이뇨, 전위와 같은 약리학적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강장, 이뇨, 건위와 같은 약리적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진달래꽃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quercetin, myricetin, afzelin, querctrin, catechin, dihydroflavonal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식물체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항산화, 항암, 항균, 항염증, 심장질환 및 당뇨병 예방 등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0-13). 진달래꽃에 관한 최근의 연구로는 항산화 및 항암에 관한 연구, 화장품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진달래꽃 탄화수소류의 곡자에 의한 분해 등이 있다(14,15).
진달래 꽃잎을 물과 60% 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진달래 꽃잎을 물과 60% 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해보았다. 추출물의 페놀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24.2 mg/g,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30.6 mg/g으로 ethanol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추출물의 수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물 추출물과 60%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83.2%, 89.7%의 억제로 높은 저해율이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에서는 물 추출물이 95.5%로 60% ethanol 추출물의 93.8%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용성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해본 결과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는 물 추출물이 60% ethanol 추출물 1.43 PF보다 높은 1.55 PF로 나타났으며, TBARS는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대조구인 0.44×102 μM보다 낮은 0.29×102 μM, 0.28×102 μM로 나타나 지용성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혈압에 관여하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해본 결과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46.7% 저해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물 추출물에서는 67.6%의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α-Amlyase,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물이 60% ethanol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elicobacter pylori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phenol 화합물을 50 μg/mL의 농도를 주입하였을 때부터 12 mm 이상의 clear zone이 관찰되어 H. pylori균에 대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진달래 꽃잎 추출물은 생리활성효과를 나타내는 유용성분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어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기능성식품의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Lee WC, Kim AJ, Kim SY. 2003. The study on the functional materials and effects of mulberry leaf. Food Sci Ind 36: 2-14 

  2. Kim SY, Ryu KS, Lee WC, Ku HO, Lee HS, Lee KR. 1999. Hypoglycemic effect of mulberry leaves with anaerobic treatment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Korean J Pharmacogn 30: 123-129 

  3. Aruoma OI. 1998. Free radical,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 Am Oil Chem Soc 75: 199-212 

  4. Kyrtopoulos SA. 1989. N-nitroso compound formation in human gastric juice. Cancer Surveys 8: 423-442 

  5. Huang MT, Ho CT, Lee CY.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Maple Press, New York, USA. Vol 99, p 2-7 

  6. Azuma K, Nakayama M, Koshika M, I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uchi Y,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7. Ham SS, Hong JK, Lee JH. 1997.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edible Korean wild herbs. J Food Sci Nutr 2: 155-161 

  8. Chung TY, Lee SE. 1991.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Jindalae flower (Korean azalea flower,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 J Korean Agric Chem Soc 34: 344-352 

  9. Chung TY, Kim MA, Daniel J.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acids isolated from Jindalae flowers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 Agric Chem Biotechnol 39: 506-511 

  10. Yang J, Meyers KJ, Heide J, Lui RH. 2004. Varietal differences i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onions. J Agric Food Chem 52: 6787-6793 

  11. Park JC, Hur JM, Park JG. 2002. Biological activities of Umbelliferae family plants and their bioactive flavonoi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7: 30-34 

  12. Moon TC, Park JO, Chung KW, Son KH, Kim HP, Kang SS, Chang HW. 1999.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flavonoid components of Lonicera japonica. Yakhak Hoeji 43: 117-123 

  13. Lee OH, Lee HB, Son JY.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frac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204-210 

  14. An BJ, Lee CE, Son JH, Lee JY, Choi GH, Park TS. 2005. Antioxidant, anticancer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80-284 

  15. An BJ, Lee JT, Lee CE, Son JH, Lee JY, Park TS.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cosmceutical ingredient,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the application of rheology properti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73-279 

  16. Dur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17. Cushman DW, Ondetti MA. 1980. Inhibitor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or treatment of hypertension. Biochem Pharmacol 29: 1871-1877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199 

  19. Pellegrin N, Roberta R, Min Y, Catherine RE.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20. Andarwulan N,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 

  21.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Enzymol 52: 302-310 

  22. Cavidson PH, Parish ME. 1989. Methods of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43: 148-150 

  23. Tibbot BK, Skadsen R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 gene from berley. Plan Mol Biol 30: 229-241 

  24. Choi YC, Kim MG, Shin JJ, Park JM,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5. Choi YS, Sur JH, Kim CH, Kim YM, Han SS, Lee SY. 1994. Effects of dietary buckwheat vegetable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3: 212-218 

  26. Cho YJ, Chun SS, Yoon SJ, Kim JH. 2005. Biological activity of St. John's wort. J Korean Soc Appl Chem 48: 65-69 

  27.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extracts. J Korean Soc Appl Chem 50: 198-203 

  28. Tabak M, Armom R, Potasman I, Neeman I. 1996. In vitro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 by extracts of thyme. J Appl Bacteriol 80: 667-6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