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CDD로 유발된 Oxidative Stress에 대한 생약재 추출물의 방어 및 해독효과
Protection and Detoxification Effects of Oriental Herb Extract Mixture on TCDD-Induced Oxidative Stres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3, 2008년, pp.294 - 301  

황진국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  이경진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  양희진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  박기문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삼백초(aururus chinensis),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 유근피(Ulmus macrocarpa), 감초(Glycyrrhiza glabra), 흑두(Rhynchosia nulubilis)로부터 제조된 생약재 추출 혼합물이 dioxin 중 중독성이 가장 강하다고 알려진 2,3,7,8-tetrachlorodinenzo-p-dioxin(TCDD)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정상적인 간세포주를 TCDD에 노출시킨 후 OHEM을 처리한 결과, TCDD에 의한 세포독성을 감소시켰으며, 간세포주로부터 생성된 lactate dehydrogenase, nitric oxide, cytochrome p450의 생성량 측정 결과로 OHEM이 TCDD로 유발된 간 독성을 해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at을 이용한 TCDD 급성독성 유발 실험에서는 TCDD 투여에 의해 증가된 AST, ALT, ALP, LDH동맥경화지수가 OHEM의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OHEM의 사전투여에 의한 방어효과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p<0.05). 또한 OHEM의 투여가 TCDD에 의해 손상된 간세포 조직의 풍선 병변과 공포화를 감소시켰고, 소장 세포의 조직에서는 융모 조직의 부종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and detoxification of oriental herb extracts mixture (Saururus chinensis, Taraxacum platycarpum, Ulmus macrocarpa, Glycyrrhiza glabra, Rhynchosia nulubilis) on TCDD-induced oxidative stress. Thirty five male rats were divided into 5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CDD에의 노출은 세포분화 촉진과 세포의 enzyme 체계 를 변화시켜 암화를 유도하고 변이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그런데 NO는 체내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하지만 그 중 암세포의 성장저해 및 파괴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의 NO 증가 결과는 TCDD로 인하여 발생하는 암 화를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에 그 의미를 둘 수 있겠다.

가설 설정

  • 2)Different letters with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n values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ioxin이란 무엇인가? 환경호르몬 중에서도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dioxin은 화학적으로 안정해서 자연계 에서 한번 생성되면 쉽게 분해되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존재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독성이 강한 dioxin은 TCDD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로 펄프 표백과정, 산 불, 쓰레기 소각장, 자동차 배기가스, 흡연 그리고 그 외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polyhalogenated aromatic hydrocarbon 으로 최악의 독성물질로 손꼽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다 (2). TCDD는 estrogen과 anti-estrogen 두 가지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고 호르몬 합성 조절, ligand의 대사증가, 수 용체의 수나 ligand와의 결합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체내 내 분비계를 교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TCDD의 특징은 무엇인가? 환경호르몬 중에서도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dioxin은 화학적으로 안정해서 자연계 에서 한번 생성되면 쉽게 분해되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존재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독성이 강한 dioxin은 TCDD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로 펄프 표백과정, 산 불, 쓰레기 소각장, 자동차 배기가스, 흡연 그리고 그 외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polyhalogenated aromatic hydrocarbon 으로 최악의 독성물질로 손꼽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다 (2). TCDD는 estrogen과 anti-estrogen 두 가지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고 호르몬 합성 조절, ligand의 대사증가, 수 용체의 수나 ligand와의 결합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체내 내 분비계를 교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dioxin에 대한 독성완화 및 해독 물질 개발에 대한 연구에 사용된 물질은? 식품 및 대기오염을 통한 dioxin 독성에 대한 문제가 현대 인의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dioxin에 대한 독성완화 및 해독 물질 개발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물질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녹차, 홍삼, 플라보노이드, 키토올리고당, 어성초, 삼백초, 녹용 등이 있 다(9-14). 또한 이전의 본 연구실의 생약재 혼합추출물을 이 용한 dioxin 해독효과 결과에서도 독성경감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iem AK, Furst P, Rappe C. 2000. Exposure of population to dioxins and related compounds. Food Addit Contam 17: 241-259 

  2. Safe S. 1995. Modulation of gene expression and endocrine response pathways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and related compound. Pharmacol Ther 67: 247-281 

  3. Poland A, Knutson JC. 1982.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and related halogenated aromatic hydrocarbons: Examination of the mechanism of toxicol. Annu Rev Pharmacol Toxicol 22: 517-554 

  4. Stohs SJ. 1990. Oxidative stress induced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Free Radic Biol Med 9: 79-90 

  5. Jones PB, Galeazzi DR, Fisher JM, Whitlock JP Jr. 1985. Control of cytochrome P1-450 gene expression by dioxin. Science 227: 1499-1502 

  6. Goeptar AR, Scheerens H, Vermeulen NP. 1995. Oxygen and xenobiotic reductase activities of cytochrome p450. Crit Rev Toxicol 25: 25-65 

  7. Bradfield JY, Lee YH, Keeley LL. 1991. Cytochrome p450 family 4 in a cockroach: molecular cloning and regulation by regulation by hypertrehalosemic hormone. Proc Natl Acad Sci 88: 4558-4562 

  8. Gelboin HV. 1980. Benzo[alpha]pyrene metabolism, activation and carcinogenesis: role and regulation of mixed-function oxidases and related enzymes. Physiol Rev 60: 1107-1066 

  9. Kang KS, Lee YS. 1999. Effect of green tea 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of rat exposed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International Symposium for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p441-444 

  10. Kim W, Hwang S, Lee H, Song H, Kim S. 1999. Panax ginseng protects the testis against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induced testicular damage in gunia pigs. BJU International 83: 842-849 

  11. Ashida H, Fukuda I, Yamashita T, Kanszawa K. 2000. Flavons and flavonols at dietary levels inhibit a transformation of aryl hydrocarbon receptor induced by dioxin. FEBS Lett 476: 213-217 

  12. Shon YH, Park IK, Moon IS, Chang HW, Park IK, Nam KS. 2002. Effect of chitosan oligosaccharide o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induced oxidative stress in mice. Biol Pharm Bull 25: 1161-1164 

  13. Ha BJ. 2003.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on antioxidative activity against TCDD damage. J Environmental Science 12: 599-603 

  14. Hwang SY, Yang JB, Chang CS, Lee YC, Lee HC. 2002. Protective effect of cornu parvum extract on toxicity induced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in rat. Korea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6: 674-679 

  15. Park KM, Hwang JK, Shin KM, Kim HS, Song JH. 2003. Detoxicating effects of oriental herb extract mixtures on nicotine and diox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80-987 

  16. Hayes MA, Roberts E, Roomi MW, Safe SH, Farber E, Cameron RG. 1984. Comparative influences of different PB-type and 3-MC-type polychlorinated biphenyl-induced phenotypes on cytocidal hepatotoxicity of bromobenzene and acetaminophen. Toxicol Appl Phamacol 76: 118-127 

  17.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er PL, Wishnok JS, Tannenbaum SR. 1982.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131-138 

  18. Omura T, Sato R. 1964. The carbon monoxide-binding pigment of liver microsomes. II. Solubilization, purification and properties. J Biol Chem 239: 2379-2385 

  19. Kociba RJ, Keeler PA, Park CN, Gehring PJ. 1976.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results of a 13 week oral toxicity study in rats. Toxicol Appl Pharmacol 35: 553-574 

  20. Hook GE, Haeeman RJK, Lucer GW. 1975. Induction and suppression of hepatic and extra-hepatic microsomal foreign compound metabolizing enzyme system by 2,3,7,8-TCDD. Chem Biol Interact 10: 199-214 

  21. Cunningham HM, Williams DT. 1972. Effect of tetrachlorodibenzo-p-dioxin on growth rate and synthesis of lipid and proteins in rats. Bull Environ Contam 7: 45-51 

  22. Swift LL, Gasiewicz TA, Dunn D, Soule PD, Neal RA. 1981. Characterization of the hyperlipidemia in guinea pigs induced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oxicol Appl Pharmacol 59: 489-499 

  23. Dibartolomeis MJ, Moore RW, Peterson RE, Jefcoate CR. 1986. Hypercholesterolemia and the regulation of Ladrenal steroidogenesis i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reated rats. Toxicol Appl Pharmacol 85: 213-323 

  24. Buu-Hoi NP, Harris MJA, Vos JG. 1972. Organism as targets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in toxication. Naturwiss 59: 174-183 

  25. Kimbrough RD, Carter CD, Liddle JA, Cline RE, Phillips PE. 1977. Epidermiology and pathology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poisoning episode. Arch Environ Health 32: 77-85 

  26. Kim EN, Yoo MR, Lim HJ, Hwang EW, Ha HJ, Lee HP. 2002. Effects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on cultured aglomerulus mesangial cell and renal tubule epithelial cell activation.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1:12-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