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요실금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Rate and Associated Factors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8 no.1, 2008년, pp.92 - 100  

김문실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이승희 (텍사스 주립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conditio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18 subjects (146 males and 472 females; mean age $79.9{\pm}8.4$ yr; range 6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요실금 유병률과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면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다가오는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요실금 유병률과 요실금 관련요인을 확인하여 간호사가 요실금 노인에 대한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및 강원도에 위치한 30곳의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618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4월부터 10 월까지 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요실금 유병률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확인하여 요양시설 거주노인에게 적합한 간호 중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시점에서 요양시설 거주노인을 대상으로 한 요실금의 유병률,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다가오는 고령사회에서 요양시설 거주노인에 대한 요실금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요실금 유병률을 조사하여 요실금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확인하여 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요실금에 대한 적절한 간호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 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arpenter, G. I. (2006). Accuracy,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ssessment and in evaluation of services for older people: the role of the inter RAI MDS assessment system. Age Ageing, 35, 327-329 

  2. Coppola, L., Caserta, F., Grassia, A., Mastrolorenzo, L., Altrui, L., Tondi, G., et al. (2002). Urinary incontinence in the elderly: Relation to cognitive and motor function. Arch Gerontol Geriatr, 35(1), 27-34 

  3. Durrant, J., & Snape, J. (2003). Urinary incontinence in nursing homes for older people. Age Ageing, 32(1), 12-18 

  4. Gasquet, I., Tcherny-lessenot, S., Gaudebout, P., Bosio Le Goux, B., Klein, P., & Haab, F. (2006). Influence of the severity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on quality of life, health care seeking, and treatment: A national cross-sectional survey. Eur Urol, 50, 818-825 

  5. Hawes, C., Morris, J. N., Phillips, C. D., Mor, V., Fries, B. E., & Nonemaker, S. (1995). Reliability estimates for the minimum data set for nursing home resident assessment and care screening (MDS). Gerontologist, 35, 172-178 

  6. Holroyd-Leduc, J. M., Mehta, K. M., & Covinsky, K. E. (2004). Urinary incontinence and its association with death, nursing home admission, and functional decline. J Am Geriatr Soc, 52, 712-718 

  7. Holtedahl, K., & Hunskaar, S. (1998). Prevalence, 1-year incid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urinary incontinence: a population based study of women 50-74 years of age in primary care. Maturitas, 28, 205-211 

  8.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1976). First reports on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Br J Urol, 48, 39-42 

  9. Jennifer, T. A., Christopher, S. S., Jennifer, P., Larissa, V. R., & Mark, S. L. (2006). Tru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female nursing home residents. Urology, 67, 281-287 

  10. Joo, Y. H., & Kim, J. S. (2000). A study on urinary incontinence of elderly communities. J Korean Comm Nurs, 11, 441-452 

  11. Jumadilova, Z., Zyczynski, T., Paul, B., & Narayanan, S. (2005). Urinary incontinence in nursing home: resident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of drug treatment. Am J Manag Care, 11(4 Suppl), S112-120 

  12. Kim, J. I. (2002).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other urologic symptoms in a community residing elderly people. J Korean Acad Nurs, 32(1), 28-39 

  13. Kim, J. S. (1999).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aged home resi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14. Kikuchi, A., Niu, K., Ikeda, Y., Hozawa, A., Nakagawa, H., Guo, H., et al. (2007).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urinary incontinence in a community-based elderly population aged 70 years and over. Eur Urol, 52, 868-875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6, September), Population movement estimation, archived at http://www.nso.go.kr/nso2006/ k01_0000/k01c_0000/k01ca_0000/k01caa0000/k01caa0 000.html?methodview&board_id4&seq5&num5&parent_ num0&page1 

  16. Landi, F., Cesari, M., Russo, A., Onder, G., Lattanzio, F., Bernabei, R., et al. (2003). Potentially reversible risk factors and urinary incontinence in frail older people living in community. Age Ageing, 32, 194-199 

  17. Miles, T. P., Palmer, R. F., Espino, D. V., Mouton, C. P., Lichtenstein, M. J., & Markides, K. S. (2001), New-onset incontinence and makers of frailty: Data from hispanic established populations for epidemiologic studies of the elderly. J Gerontol, 56A(1), 19-24 

  18. Park, O. H., Kwon, I. S., & Kang, Y. S. (2001). A study on urinary incontinence of elderly women in a community. Korean J Women Health Nurs, 7, 536-546 

  19. Park, S. C., Koh, M. W., Lee, T. H., & Youn, H. S. (2004).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of the women in Daegu. Yeungnam Univ J Med, 21(1), 60-66 

  20. Resnick, N. M., Brandeis, G. H., Baumann M. M., & Morris J.N. (1996). Evaluating a national assessment strategy for urinary incontinence in nursing home residents: Reliability of the minimum data set and validity of the resident assessment protocol. Neurourol Urodyn, 15, 583-598 

  21. Richard, L. N., & Sylvia, E. F. (2005).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fecal and urinary incontinence in Wisconsin nursing home residents. J Maturitas, 52, 26-31 

  22. Raudenbush, S.W., & Bryk, A. S. (2002). Hierarchial linear models (2nd ed.), Thousands oaks: Sage Publications 

  23. Ryu, S. A. (2006). Review on urinary incontinence of the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s. J Donshin Univ, 16, 547-561 

  24. Saxer, S., Halfens, R. J., Muller, M., & Dassen, T. (2005). Risk factors for urinary incontinence in nursing home residents. Swiss Med Wkly, 135, 495-502 

  25. Schnelle, J. F., Alessi C. A., Simmons, S. F., Al-Samarrai, N. R., Beck, J. C., & Duslander, J. G. (2002). Translating clinical research into practic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exercise and incontinence care in nursing home residents. J Am Geriatr Soc, 50, 1476-1483 

  26. Schnelle, J. F., Cadogan M. P., Yoshii, J, Al-Samarrai, N. R., Osterweil, D., Bates-Jensen, B. M., et al. (2003). The minimum data set urinary incontinence quality indicators: do they reflect difference in care processes related to incontinence? Med Care, 41, 909-922 

  27. Thom, D. H., Haan, M. N., & Van Den Eeden, S. K. (1997). Medically recognized urinary incontinence and risks of hospitalization, nursing home admission and mortality. Age Ageing, 26, 367-374 

  28. Valk, M., Moons, K. G., Cools, H. J., & Schrijvers, A. J. (2002). Classifying the probability of urinary incontinence in psychogeriatric nursing home patients. Arch Gerontol Geriatr, 34, 79-91 

  29. Wagner, T. H., & Hu, T. W. (1998). Economic costs of urinary incontinence in 1995. Urology, 51, 355-361 

  30. Watson, N., Brink, C., Zimmer, J., & Mayer, R. (2003). Use of the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urinary incontinence guideline in nursing homes. J Am Gerictric Soc, 51, 1779-17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