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모유 수유 지지가 모유 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by Nurse on the Breast-feeding Prevalence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8 no.1, 2008년, pp.172 - 179  

장군자 (대구산업정보대학 간호과) ,  김선희 (경북대학교병원 분만실) ,  정경순 (김천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fessional nurse's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on breast-feeding prevalence for mothers who delivered in Baby-Friendly Hospitals (BFH). Methods: This quasi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FH의모유 수유 권장교육은 모유 수유 시작에 효과적이지만 지속적인 모유 수유 실천을 위해서는 BFH 모유 수유 권장 운동을 퇴원한 산모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하는데, 그 방법으로 분만실 간호사의 모유 수유 지지 전화 상담이 효과적인 중재 임을 본 연구를 통해 밝힌다. 따라서 BFH 정책에 분만 후 모유 수유 전화 상담을 포함시켜 제도화한다면 우리나라 모유 수유 실천율은 WHO 권장 기간까지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일반 병원에서 분만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제공한 모유 수유 지 지 전화 상담을 모유 수유 실천율이 높은 BFH에서 분만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분만실 간호사가 분만 16주까지 모유 수유 지지를 제공했을 때 모유 수유 실천율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모유 수유 상담이 분만 8주 이내에 가장 많았다는 연구(Kim, 1995)와 분만 후 4주에 모유 수유 중단이 많았다는 연구들(Park, 2002; Park et al.
  • 본 연구는 BFH에서 분만한 산모 중 모유 수유를 계획한 산모를 대상으로 BFH의 모유 수유 권장 운동이 가정에서도 지속되도록 분만실 간호사가 모유 수유를 지지하기 위한 전화 상담을 분만 16주까지 제공했을 때 모유 수유 실천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모유 수유 지지 전화 상담이 모유 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모자 동실제가 실시되고 아기에게 친근한 병원으로 선정되어 모유 수유 운동을 실천하고 있는 병원 분만실에서 분만한 산모 중 모유 수유를 계획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분만 후 16주까지 간호사가 모유 수유 지지를 전화 상담을 통해 제공했을 때 모유 수유 실천율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모유 수유 상담이 분만 8주 이내에 가장 많았다는 연구(Kim, 1995)와 분만 후 4주에 모유 수유 중단이 많았다는 연구들(Park, 2002; Park et al., 2001)을 근거로 모유 수유 중단의 위험 대상인 혼합 수유 산모들에게 전화 상담을 통한 모유 수유 지지를 분만 4주까지 더 자주 제공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 New York: Academic Press 

  2. Guise, J. M., Palda, V., Westhoff, C., Chan, B. K., Helfand, M., Lieu, T. A., et al. (2003). The effectiveness of primary care-based interventions to promote breast-feeding: systematic evidence review and meta-analysis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Ann Fam Med, 1(2), 70-78 

  3. Hwang, W. J. (2004). The study on the factors determining breastfeeding rate and du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 Jacknowitz, A. (2007). Increasing breastfeeding rates: do changing demographics explain them? Womens Health Issues, 17(2), 84-92 

  5. Jeon, S. Y. (2007). Breast-feeding and care. 12th ann Korean Soc Perinatol, June, 31-33 

  6. Jeong, G. H. (1997).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Kang, J. S., Choi, S. Y., & Ryu, E. J. (2007). Effect of a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me on Korean breastfeeding mothers: a quasi-experimental study. Int J Nurs Stud, 45(1), 14-23 

  8. Kim, H. S. (1995). Analysis of the content of telephone counseling with breastfeeding mothers. J Korean Acad Nurs, 25(1), 17-29 

  9. Kim, H. S., & Kovach, A. C. (2001). Information and social support regarding breastfeeding: a survey of mothers in Seoul, South Korea. J Korean Acad Nurs, 31, 1151-1159 

  10. Kim, K. A., Shin, S. M., & Lee, K. (2005).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FHI(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 developed by WHO/ UNICEF. Korean J Perinatol, 16(1), 37-48 

  11. Korean Committee for Unicef. (2005). 2004 Korean committee for Unicef: annual report. Retrieved from http://unicef.or.kr/unicef/board_ book/upload/2004_ar_KCU-Ko.pdf 

  12. Park, E. O., Lee, K. S., Jang, I. S., & June, K. G. (2001). Breast-feeding & breast-feeding health behavior among first-time mothers. Korean J Women Health Nurs, 7, 382-392 

  13. Park, C. M. (2002).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he practice of breast-feeding.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19(2), 23-43 

  14. Park, S. H. (2001). The effect of breast-feeding education and follow-up care on the breast-feeding rate and the breast-feeding method: focused on home visit and phone counse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5. Seo, I. S., Jung, M. S., & Suh, Y. S. (2000). Effect of education for encouraging breastfeeding on practice of breastfeeding. Korean J Women Health Nurs, 6, 632-642 

  16. Shin, G. Y., Kim, O. J., Park, J. H., & Lee, J. R. (2002). Effects of rooming-in on continuation of breastfeeding and maternal identity. Korean J Women Health Nurs, 8, 402-411 

  17. Sung, M. H., & Kim, D. H. (2003).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and continuous phone counseling on the promotion of breast-feeding compliance.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7, 167-178 

  18. UNICEF (1992). Take baby-friendly initiative! New York 

  1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HHS blueprint for action on breastfeeding.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n Women's Health 

  20. Yeo, J. H. (2005). Influencing factors in breast feeding duratio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1, 142-147 

  21. Yoo, E. K., Kim, M. H., & Seo, W. S. (2002). A Study on the rate of breast-feeding practice by education and continuous telephone follow-up. Korean J Women Health Nurs, 8, 424-434 

  22. WHO/UNICEFF. (1990). Innocenti declaration on the protection, promotion, and support of breastfeeding. In breastfeeding in the 1990's: a global initiative meeting in Florence, Italy and New York. Geneva, Switzland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