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탄발효와 퇴비화 공정이 연계된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 특성 조사
Characteristic of Odorous Compounds Emitted from Livestock Waste Treatment Facilities Combined Methane Fermentation and Compost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3, 2008년, pp.391 - 400  

고한종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  김기연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  김현태 (경도대학 농학연구과) ,  고문석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  히구치 다카시 (입명관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우메다 미키오 (경도대학 농학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악취는 이웃주민들로 하여금 민원을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악취관리는 지속가능한 축산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메탄발효와 퇴비화 공정이 연계된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각 공정별로 기기분석과 직접 관능법을 병행하여 악취 물질의 농도, 악취 강도 및 악취 불쾌도를 측정하고자 수행하였으며, 하계와 동계로 구분하여 처리 공정과 부지경계선에서 각각 암모니아, 황화합물 및 휘발성 저급지방산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높은 외기온에 기인하여 하계의 악취농도가 동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별로는 혼합된 분뇨를 교반하는 퇴비화 공정에서 악취 농도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분뇨 투입조, 퇴비 후숙조, 분뇨 유출조 및 퇴비 선별과 포장 공정의 순으로 악취 농도가 낮았다. 검출된 악취 물질 중 가장 높은 농도는 암모니아로 3.4에서 224.7 ppm의 농도 범위로 분석되었다. 황화합물 중에서는 황화수소가 가장 높은 농도인 2.3 ppm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대부분의 황화합물 농도가 기존에 보고된 최소감지한계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아세트산은 휘발성 저급지방산 가운데 51에서 89%로 가장 놓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프로피온산과 부트르산이 각각 1.9에서 35% 및 1.8에서 15%의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주요 악취원인 물질을 예측하고자 각각의 공정에서 측정된 악취물질의 농도를 최소감지한계농도로 나누어 악취농도지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퇴비화 공정에서는 황화수소, 암모니아, 황화메틸 및 메틸머캅탄이 악취원인 물질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뇨 투입조에서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및 부트르산이 주요 악취물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dor management is significantly concerned with sustainable livestock production because odor nuisance is a primary cause for complaint to neighb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odor intensity, and odor offensiveness at unit process in animal waste 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형물의 퇴비화처리 및 액상분뇨의 메탄발효공정이 연계된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각 공정별로 발생되는 악취농도 및 악취물질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여적정 악취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메탄발효와 퇴비화 공정이 연계된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각 공정별로 기기분석과 직접 관능법을 병행하여 악취 물질의 농도, 악취 강도 및 악취 불쾌도를 측정하고자 수행하였으며, 하계와 동계로 구분하여 처리공정과 부지경계선에서 각각 암모니아, 황화합물 및 휘발성 저급지방산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높은 외기온에 기인하여 하계의 악취농도가 동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oth, R. 2001.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measurement and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 Sci. Technol. 44:119-126 

  2. Burton, C. H., Sneath, R. W., Misselbrook, T. H. and Pain, B. F. 1998. The effect of farm scale aerobic treatment of piggery slurry on odour concentration, intensity and offensiveness. J. Agric. Engng. Res. 71:203-211 

  3. Edeogu, I., Feddes, J., Colemann, R. and Leonard, J. 2001. Odour emission rates from manure treatment/storage systems. Wat. Sci. Technol. 44(9):269-275 

  4. Heber, A. J. and Ni, J. Q. 1999. Odor emission from a swine finishing facility with a surface aerated lagoon. ASAE Paper No. 994129, ASAE, St. Joseph, MI 49085 

  5. .Kuroda, K., Osada, T., Yonaga, M., Kenematu, A., Nitta, T, Mouri, S. and Kojima, T. 1996. Emissions of malodorous compounds and green-house gases from composting swine feces. Bioresour. Technol. 56:265-271 

  6. Mackie, R. I., Stroot, P. G. and Varel, V. H. 1998. Biochemical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origin of key odour components in livestock waste. J. Anim. Sci. 76:1331-1342 

  7. Mahin, T. D. 2001. Comparison of different approaches used to regulate odours around world. Wat. Sci. Tech. 44(9):87-102 

  8. McGinn, S. M., Janzen, H. H. and Coates, T. 2003. Atmospheric ammonia, volatile fatty acids, and other odorants near beef feedlots. J. Environ. Qual. 32:1173-1182 

  9. Merrill, L. and Halverson, L. J. 2002. Seasonal variation in microbial communities and organic malodor indicator compound concentrations in various types of swine manure storage systems. J. Environ. Qual. 31:2074-2085 

  10. Miner, J. R. 1977. Characterization of odors and other volatile emissions. Agric. Environ. 3(2-3): 129-137 

  11. NIOSH(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4. Manual of Analytical Method (4th Ed.). Cincinnati, Ohio 

  12. Powers, W. J. 1999. Odour control for livestock system. J. Anim. Sci. 77(Suppl. 2):169-176 

  13. Rappert, S. and Muller, R. 2005. Odor compounds in waste gas emissions from agricultural operations and food industries. Waste Manage. 25:887-907 

  14. Reisner, A. E. 2005. Newspaper coverage of controversies about large-scale swine facilities in rural communities in Illinois. J. Anim. Sci. 83:2705-2712 

  15. Schlegelmilch, M., Streese, J. and Stegmann, R. 2005. Odour management and treatment tech- nologies: An overview. Waste Manage. 25:928-939 

  16. Sommer, S. G., Sogaard, H. T., Moller, H. B. and Morsong, S. 2001. Ammonia volatilization from sow on grassland. Atmos. Environ. 35:2023-2032 

  17. Varel, V. H. and Miller, D. N. 2001. Effect of carvacrol and thymol on odour emissions from livestock wastes. Wat. Sci. Tech. 44:143-148 

  18. Whitehead, T. R. and Cotta, M. A.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yper-ammonia producing bacteria from swine manure storage pits. Curr. Microbiol. 48:20-26 

  19. Zahn, J. A., DiSpirito, A. A., Do, Y. S. and Brooks, B. E., Copper, E. E., and Hatfield, J. L. 2001. Correlation of human olfactory response to airborne concentrations of malodor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swine effluent. J. Environ. Qual. 30:624-634 

  20. Zhu, J. 2000. A review of microbiology in swine manure odour control. Agric. Ecosystems and Environ. 78:93-106 

  21. 고한종, 최홍림, 김기연, 이용기, 김치년. 2006. 액상 가축분뇨의 처리 및 토양환원에 따른 악취 및 악취물질의 평가.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8(3):453-466 

  22. 김기연, 최홍림. 2001. 한강유역내 축분퇴비공장 악취발생에 대한 현장 평가. 동물자원과학회지. 43(6):1005-1018 

  23. 박귀환, 오길영, 정경훈, 정선용, 차규석. 2005. 축산시설의 악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지. 4(4):207-215 

  24. 유용희, 김태일, 정종원, 곽정훈, 최희철, 송준익, 양창범, 장영기, 김호정, 송기봉. 2005. 돈사 내 및 부지경계에서 악취물질 발생 조사 연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1(1):45-54 

  25. 장영기, 송기봉, 유효정, 유용희. 2004. 축산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축종별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 환경영향평가. 13(1):33-40 

  26. 홍대웅, 김수정, 문동호, 주창한, 이종필. 2007. 축산폐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배출특성-복합악취 및 12가지 지정악취물질을 중심으로. 한국냄새환경학회지. 6(1):1-9 

  27. 환경부, 2005. 악취방지법 시행규칙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