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축분뇨 자원화시설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계절별 현장 평가
Seasonal Field Assessment of Odor Emitted from Livestock Manure Composting Facility 원문보기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v.21 no.2, 2015년, pp.41 - 46  

김기연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가축분뇨 자원화시설에서 배출되는 주요 악취물질을 대상으로 계절별 현장 방문 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악취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가축분뇨 자원화시설 운용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악취 저감대책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 구축이다. 횡형 로터리 (Rotary) 교반방식의 퇴비화시설 내부의 암모니아 발생 농도는 봄철은 84.3 (${\pm}15.2$) ppm, 여름철은 115.2 (${\pm}34.7$) ppm, 가을철은 76.2(${\pm}18.9$) ppm, 겨울철은 38.1 (${\pm}10.4$) ppm으로 측정되었다. 분석 결과 여름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가을철 > 봄철 > 겨울철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반면 황화수소 발생 농도는 봄철은 7.46(${\pm}2.24$) ppm, 여름철은 9.42 (${\pm}2.82$) ppm, 가을철은 8.15 (${\pm}3.06$) ppm, 겨울철은 10.18 (${\pm}4.11$) ppm으로 측정되었다. 분석 결과 겨울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여름철 > 가을철 > 봄철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계절별 통계적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s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in livestock manure composting facility according to seasonal condition. Mean concentrations of ammonia in livestock manure composting facility were 84.3 (${\pm}15.2$) ppm for spring, 115.2 (${\pm}3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축분뇨 자원화 시설에서 배출되는 주요 악취물질을 대상으로 계절별 현장 방문 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악취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가축분뇨 자원화 시설 운용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악취 저감대책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 구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악취에 관한 환경 민원이 빈발하고 있는 이유는? 하지만 가축분뇨 자원화시 발생되는 여러 형태의 환경오염물질 중 악취는 가축분뇨 자원화시설 종사자 및 인근 주민들에게 두통, 메스꺼움, 현기증 등과 같은 관능적 공해를 유발시켜 이와 관련한 환경 민원이 매년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환경부에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이외의 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가축분뇨 자원화시설을 생활악취 규제 대상시설로 편입하여 악취 규제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환경부, 2009) 이에 따른 악취 방지 대책을 반드시 강구해야 하는 실정이다.
악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가에서 어떤 일을 하였는가? 하지만 가축분뇨 자원화시 발생되는 여러 형태의 환경오염물질 중 악취는 가축분뇨 자원화시설 종사자 및 인근 주민들에게 두통, 메스꺼움, 현기증 등과 같은 관능적 공해를 유발시켜 이와 관련한 환경 민원이 매년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환경부에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이외의 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가축분뇨 자원화시설을 생활악취 규제 대상시설로 편입하여 악취 규제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환경부, 2009) 이에 따른 악취 방지 대책을 반드시 강구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가축분뇨자원화시설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경우 환경보건학적 측면에서는 주변 일반 정주민들에게 악취 발생으로 인한 환경 민원 야기, 산업보건학적 측면에서는 고농도 악취 노출에 의한 작업장 근로자들의 건강상 장해를 유발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가축분뇨 자원화시설 운영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환경부에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이외의 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가축분뇨 자원화시설을 생활악취 규제 대상시설로 편입하여 악취 규제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환경부, 2009) 이에 따른 악취 방지 대책을 반드시 강구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가축분뇨자원화시설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경우 환경보건학적 측면에서는 주변 일반 정주민들에게 악취 발생으로 인한 환경 민원 야기, 산업보건학적 측면에서는 고농도 악취 노출에 의한 작업장 근로자들의 건강상 장해를 유발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따라서 악취로 인한 환경 및 보건 문제로 가축분뇨 자원화시설 운영시 많은 애로사항을 겪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환경부. 2009. 악취방지법. 

  2. James, M., Montgomery, 1988. Compost Facility Odor Control Predesign Report (report to the Denver Metropolitan Wastewater Reclamation District). Consulting Engineers, Inc. 

  3. Kazutaka, Kuroda, Osada, T., Yonaga, M., 1996. Emissions of malodorous compounds and greenhouse gases from composting swine feces. Bioresource Tech. 56:265-271. 

  4. Murray, C.M., Thompson, J.L., 1986. Strategies for aerated pile systems. BioCycle. July. 1986:22-26. 

  5. NIOSH. 1998.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2nd Ed. Vol. 2. 

  6. Tanaka, H., Haga, K., Yonaga, M., Nakajima, K., 1983. "Control of malodors from swine feces on composting." Pro- ceedings of New Strategies for Improving Animal Production for Human Welfare - The Fifth World Conference on Animal Production. Tokyo. Japanese Society of Zootechnical Science. 2:835-837. 

  7. Walker, J.N., 1991. Fundamentals of odor control. BioCycle. 32(9):50-55. 

  8. Wilber, C., Murray, C., 1990. Odor source evaluation. BioCycle. 31(3):68-72. 

  9. WPCF. 1985. Odor Control for Wastewater Facilities: Manual of Practice No. 22. Washington, D. C.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