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에 대한 의무교육 제도의 교육법적 검토
Discussion of Education Laws on Compulsory Education and its Limitations for the Gifted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8 no.3, 2008년, pp.543 - 568  

박창언 (부산대학교) ,  서혜애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에게 부과되어 있는 의무교육 제도의 이론과 관련 판례의 분석을 통해 향후 영재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 법과 제도의 정비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의무교육이 권리 사상으로 발전해 왔으며 이를 보장하기 위한 법적 근거와 체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의 교육권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영재교육과 관련된 의무교육과 이의 법적 근거를 고찰하여 법적인 사항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재와 의무교육에 대한 논의를 행하였다. 여기서는 의무교육의 관점을 소개하고 이들 관점에 대해 영재교육에서 추구하여야 할 대상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의무교육에 대한 영재교육 관련 법률의 검토를 행하여 법적인 정비과정과 더불어 현실적 제약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판례의 경향성을 논의하였으며, 이들의 논거가 어떠한 것인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논의 결과, 영재교육에서 연령주의를 채택하는 의무교육 제도는 실질적으로 영재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제약하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판례는 주로 행정법적 조리에 의한 접근을 행함으로써 교육적 논리 정립에 따른 성과가 더 많이 구축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ttempted to articulate standpoints towards compulsory education system based on schooling age and year in careful considerations with the gifted. For these ends, literatures were reviewed and various education laws, regulations and documents and related law reports and judicial decisions ...

주제어

참고문헌 (24)

  1. 강영웅 (1984). 우리나라 의무교육제도. 고시계. 325. 251-252 

  2. 강인수 (1994). 교육법 연구. 서울: 문음사 

  3. 교육개혁위원회 (1996).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II) 

  4. 교육인적자원부 (2005). 2005년도 시.도별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 대상자 조사 자료 

  5.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2001). 영재교육 추진방안 해설. 영재교육 정책자료(II). 2001년 12월 21일자 시.도교육청 영재교육 담당자 협의회 자료 

  6. 권영성 (2004). 헌법학 원론. 서울: 법문사 

  7. 김낙운 (1986). 현행 교육법 해설. 서울: 하서출판사 

  8. 대법원 (1977.7.12). 선고 76누30판결 [졸업인정취소처분취소] 

  9. 법제처 홈페이지. http://www.moleg.go.kr(검색일 2008.10.7) 

  10. 서울고등법원 (1978.1.17). 선고 77구449 제3특별부판결: 상고 [졸업인정취소처분취소청구사건] 

  11. 서혜애, 정현철, 손정우, 곽영순, 김주후, 구외철 (2006). 과학고등학교 발전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06-1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2. 성낙인 (2006). 헌법학. 서울: 법문사 

  13. 신현직 (2003). 교육법과 교육기본권. 서울: 청년사 

  14. 안기성 (1994). 교육법학연구.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15. 윤정일, 송기창, 조동섭, 김병주 (2002). 한국 교육정책의 쟁점. 서울: 교육과학사 

  16. 정재황 (1994). 교육권.교육제도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의 경향. 세계헌법연구. 1. 363-429 

  17. 정현철, 서혜애, 김미숙 (2006). 영재교육진흥법 일부개정법률에 따른 시행령(안) 개발. 기술보고 TR 2006-4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조석희, 이미순, 박성익, 이현주 (2006).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 활성화 방안. 수탁연구 CR 2006-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조선일보 (2005.4.18). 7세에 초등6학년 입학생 법정 승리 

  20. 헌법재판소 (1995). 헌법재판소 판례집. 제6권 제1집. 서울: 헌법재판소 

  21. 渡?孝三, 下村哲夫 (1983). 敎育法規の爭點. 東京: 敎育開發硏究所 

  22. 市川昭午 (1975). 敎育行政の理論と構造. 東京: 敎育開發硏究所 

  23. 有倉遼吉 (1978). 國民の敎育と憲法. 伊藤正己 編. 日本國憲法の考え方(下). 東京: 有斐閣. 187-202 

  24. 伊藤秀夫, 吉本二郞 (1969). 敎育制度論序說. 東京: 第一法規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