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강토 옹벽에 적용되는 연직 배수시스템의 강우시 수압 저감 효과 - 수치해석 연구
Performance of a Chimney Drain in Reinforced Earth Wall for Reduction of Pore Water Pressure During Rainfall - a Numerical Investigation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4 no.5, 2008년, pp.99 - 106  

유충식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선빈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정혁상 (성균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보강토체 배면에 설치되는 연직배수층의 강우시 간극수압 증가 억제효과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배수시스템 설치 조건에 대해 유한요소해석 법에 근거한 부정류 침투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연직배수층의 간극수압 저감 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또한 매개변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연직배수층의 최적설치 높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보강토체 배면에 설치되는 연직배수층은 강우시 보강토체 내외부에 모관흡수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억제시킴으로서 전단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옹벽높이의 50% 정도 높이로 설치할 경우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cernsed with the effect of a chimney drainage system installed at the back of reinforced soil block on preventing the pore water pressure development. A series of finite-element analyses based on transient seepage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 number of cases with different patter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배수 시스템 설치 조건에 대해 유한요소해석법에 근거한 부정류 침투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연직배수층의 간극수압 저감 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또한 매개변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연직배수층의 최적 배치조건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보강토체 배면에 설치되는 연직배수층의 강우시 간극수압 증가 억제 효과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배수 시스템 설치 조건에 대해 유한요소해석법에 근거한 부정류 침투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연직배수층의 간극수압 저감 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보강토 옹벽에 적용하는 배수시스템으로서 전면벽체와 보강토에 사이에 배수층을 설치하여 옹벽기초 하부에서 배수시키는 개념을 적용하고 있는데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서 보강토체 배면에 연직배수층(chdmney drain)을설치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그림 2).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의 보강토 옹벽 시공에 있어서 연직배수층을 설치할 경우 강우시 보강토 옹벽의 토체의 간극수압 증가 억제 메카니즘을 검토하기 위해 불포화토 개념이 접목된 부정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연직배수층의 역할을 정성 . 정량적으로 검토하고 설치 높이 측면에서의 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의 보강토 옹벽 시공에 있어서 연직배수층을 설치할 경우 강우시 보강토 옹벽의 토체의 간극수압 증가 억제 메카니즘을 검토하기 위해 불포화토 개념이 접목된 부정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연직배수층의 역할을 정성 . 정량적으로 검토하고 설치 높이 측면에서의 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건을 반영하기 위해 앞서 소개한 2003년에 발생한 붕괴사례 조사시 검토된 시공조건을 반영하여 뒤채움흙으로는 세립분이 30%정도 포함된 화강풍화토가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유충식 등 2005). 침투해석에서 필요한 포화투수계수는 유충식 등 (2005)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5.
  • 침투해석에서 필요한 포화투수계수는 유충식 등 (2005)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5.97引(沪m/sec를 적용하였으며 기초지반은 풍화암이상의 견고한 암반으로 가정하여 8.0x108m/sec< 적용하였다. 한편, SWCC와 투수 계수 곡선은 유충식 등(2005)에서 조사된 입도 분포곡선을 토대로 추정하였다.
  • 즉, Aiya와 Paris(1981)가 제안한 방법을 토대로 입도분포곡선으로부터 SWCC를 추정한 후 이를 토대로 다시 Fredlund 등(1994)이 제안한 방법을 토대로 투수계수곡선을 추정하였다. 한편, 지하 수위는 옹벽기초로부터 2.1m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림 5는 해석에 적용된 뒤채움흙 및 배면토에 적용한 SWCC와 투수계수곡선을 보여주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유충식, 정혜영, 정혁상 (2005), 집중강우시 발생한 블록시 보강토 옹벽의 붕괴사례, 한국토지반공학회,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1권 4호, pp.135-43 

  2. 유충식, 정혁상, 정혜영 (2004), 강우로 인한 보강토 옹벽의 붕괴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 2004년 가을 토목섬유 학술발표회 논문집, pp.51-59 

  3. Arya, L. M. and Paris, J. F. (1981). "A physicoempirical model to predict the soil moisture characteristic from particle-size distribution and bulk density data", Soil Sci. Soc. Am. J., 45, pp. 1023-1030 

  4. Blake, J.R. and Renu, J.P. (2003), Prediction of rainfall induced transient water pressure head behind a retaining wall using a high-resolution finite element model, Computers and Geotechnics 30, pp.431-442 

  5. Collin, J. (1997), "Design Manual for Segmental Retaining Walls, 2nd Ed." National Concrete Masonry Association (NCMA), Virginia, USA 

  6. Fredlund, D. G., Morgenstern, N. R. and Widger, A. (1978), "Shear strength of unsaturated soils", Can. Geotech. J., Ottawa, 15, pp. 313-321 

  7. Fredlund, D. G., Xing, A., and Juang, S. (1994), "Predicting the permeability functions for unsaturated soils using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Can. Geotech. J., Ottawa, 31, pp. 533-546 

  8. Koerner, R. M. and Soong, T. Y. (2001), "Geosynthetic 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s",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19(6), 359-386 

  9. Oberg, A and Sallfors, G. (1997), "Determination of shear strength parameters of unsaturated silts and sands based on the water retention curve", Geotech Test. J., 20(1), pp.40-48 

  10. Vanapalli, S. K., Fredlund, D. G., Pufahl, D. E., and Clifton, A. W. (1996), "Model for the prediction of shear strength with respect to soil suction", Can. Geotech. J., 33, pp.379-3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