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 내리기 동작 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전거근과 상부 승모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Visual Biofeedback to Monitor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ies During Arm Lowering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5 no.2, 2008년, pp.38 - 43  

하성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민경진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최홍식 (한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reduce winging scapula, various exercise protocols have been widely used by clinicians. Selective serratus anterior strengthening, and restoring balanced function, are especially recommended to reduce winging scapu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sual biofeedback using a real 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팔 내리기 수행 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제공 유·무에 따른 상부승모근, 전거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팔 내리기 시 견갑골 익상을 보이는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제공이 전거근, 상부승모근의 근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실험대상자의 견갑골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팔 내리기를 하는 동안, 최대한 견갑골을 익상되지 않게 유지 하였을 때 이러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이 전거근, 상부승모근의 근활성도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견갑골 익상이란 무엇인가? 견갑골 익상(winging scapula)은 견갑골 내연(medial border)이 뜨고 하각(inferior angle)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증상으로 정의되는 자주 발생하는 견흉관절의 장애이다(Decker 등, 1999; Wood와 Frykman 1980). 상완총 신경(brachial plexus), 장흉 신경(long thorasic nerve), 견갑배 신경(dorsal scapular nerve)등의 신경학적 손상과 견갑골 주위의 근육 기능저하는 견갑골 익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Barnett 등, 1995).
견갑골 익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견갑골 익상(winging scapula)은 견갑골 내연(medial border)이 뜨고 하각(inferior angle)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증상으로 정의되는 자주 발생하는 견흉관절의 장애이다(Decker 등, 1999; Wood와 Frykman 1980). 상완총 신경(brachial plexus), 장흉 신경(long thorasic nerve), 견갑배 신경(dorsal scapular nerve)등의 신경학적 손상과 견갑골 주위의 근육 기능저하는 견갑골 익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Barnett 등, 1995).
전거근의 기능저하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가? 전거근의 기능저하는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첫째로, 근 마비 또는 근력약화로 인한 근 수축력의 문제, 둘째로, 근육 길이의 변화에 따른 문제, 셋째로, 상완골의 운동과 관련된 견갑골 운동의 타이밍 변화이다. 이와 같은 원인들은 공통적으로 견갑골 조절 능력의 손실이 있음을 의미한다(Sahrman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