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린사슬운동 및 닫힌사슬운동에서 위팔굽힘 각도에 따른 앞톱니근의 근활성도 비교
A Comparison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Shoulder Flexion Angles in a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and an Open Kinetic Chain Exercis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8 no.3, 2013년, pp.369 - 378  

문성종 (한서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택훈 (한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노정석 (한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ascertain how the activity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the upper trapezius muscle and the pectoral major muscle was affected while the upper arm was being flexed at 70, 90 and 110 degrees respectively in a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wall push u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닫힌사슬운동과 열린사슬운동을 시행했을 때 위팔 굽힘 각도(70°, 90°, 110°)에 따라 등세모근 위섬유, 큰가슴근, 그리고 앞톱니근의 근활성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의 가설은 어깨에 실리는 무게를 일정하게 통제한다면 앞톱니근의 근활성도가 닫힌사슬운동보다 열린 사슬운동에서 더 높을 것이고 위팔 굽힘 각도가 증가할수록 앞톱니근의 근활성도가 증가될 것이라고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린사슬운동이란? 전통적인 상지 재활 프로그램은 근력강화를 위한 열린사슬운동의 사용에 집중되고 있다(Davies와 Dickoff-Hoffman, 1993; Jackson, 1995; Lephart, 1995; Stone 등, 1993; Tippett 등, 1992). 열린사슬운동은 사지의 원위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근위부에서는 고정된 상태에서 운동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관절가동범위가 제한된 환자의 근력강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Kim, 2007; Jang, 2003).
앞톱니근, 등세모근 위섬유, 큰가슴근의 근활성도는 운동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 사실이 의미하는 것은? 05). 이는세 근육의 근활성도가 두 운동을 구분하는 운동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운동별로 유의한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두 운동 모두에서 각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두 운동에서 앞톱니근의 근활성도 평균값을 비교했을 때 닫힌사슬운동 보다 열린사슬 운동 시 90°, 110°에서 더 증가하였다.
푸쉬업 플러스운동이 어깨 재활 프로그램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푸쉬업 플러스운동은 대상자가 주관절이 폄되었을때 최대로 어깨뼈를 내밈 시켜 일반적인 푸쉬업 운동을 수정 한 것이다. 이 운동이 등세모근 아래섬유 활성과 함께 결합하여 높은 앞톱니근의 활성을 이끌어내기 때문에 푸쉬업 플러스운동은 어깨 재활 프로그램으로 사용되고 있다. 벽 푸쉬업 플러스운동은 앞톱니근 강화에 초점을 둔 다른 운동들만큼 높은 수준의 앞톱니근 활성을 이끌어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Decker 등, 1999; Hardwick 등, 2006; Ludewig 등, 2004), 벽 푸쉬업 플러스 운동은 상지 재활을 위해 활용되는 많은 닫힌사슬운동중 한가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 YH. 2008. Comparison of the scapulothoracic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quadruped position. Dept. of Ergonomic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8. 

  2. Davies GJ, Dickoff-Hoffman S. Neuromuscular testing and rehabilitation of the shoulder complex.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3;18(2):449-58. 

  3. Decker MJ, RA Hintermeister, KJ Faber et al.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during selected rehabilitation exercises. Am J Sports Med. 1999;27(6):784-91. 

  4. Ekstrom RA, Donatelli RA, Soderberg GL. "Surface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exercises for the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uscl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3;33(5):247-58. 

  5. Ellenbecker TS, Davies GJ. Closed kinetic exercise. Champaign: Human kinetics. 2001. 

  6. Hardwick DH, Beebe JA, McDonnell MK et al. A comparison of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ation during wall slide exercise and other traditional exercis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6;36(12):903-10. 

  7. Iwasaki T, Shiba N, Matsuse H et al. Improvement in knee extension strength through training by means of combined electrical stimulation and voluntary muscle contraction. Tohoku J Exp Med. 2006;209(1):33-40. 

  8. Jackson DA. The treatment of scapular dysfunction in the athlete with chromic shoulder pain.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for the National Athletic Trainer's Association, Indianapolis, IN. 1995;June:15-8. 

  9. Jang JW. Change of muscle activation in quadriceps femoris muscle during taking open kinetic chain exercise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subject of soccer players. The Graduate School of Bio-medical Sciences.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4. 

  10. Kim YJ, Park RJ. The effects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of unstable floor on the stability of the knee joints of patien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08;3(1):11-20 

  11. Lephart SM. Scientific rationale and phydiolofical effects of closed kinetic chain in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Presented at the Closed Kinetic Chain in Sports Rehabilitation. 1995;February:4-5. 

  12. Ludewig PM, Cook TM. Alterations in shoulder kinematics and associated muscle activity in people with symptoms of shoulder impingement. Phys Ther. 2000;80(3):276-91. 

  13. Ludewig PM, Hoff MS, Osowski EE et al. 2004. Relative balance of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during push-up exercises. Am J Sports Med. 32(2):484-93. 

  14. Lukasiewicz AC, McClure P, Michener L et al. Comparison of 3-dimensional scapular position and orientation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shoulder impingement.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9;29(10): 574-83. 

  15. McClure PW, Bialker J, Neff N et al. Shoulder function and 3-dimensional kinematics in people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before and after a 6-week exercise program. Phys Ther. 2004;84(9):832-48. 

  16. Peat M, Grahame R. Electromyographical analysis of soft tissue lesions affecting shoulder function. Am J Phys Med. 1977;56(5):223-40. 

  17. Prentice WE, Voight ML. Techniques in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McGraw-Hill. 2005. 

  18. Sahrmann S.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Mosby. 2002. 

  19. Stone JA, Lueken JS, Partin NB et al. Closed kinetic chain rehabilitation for the glenohumeral joint. J Athl Train. 1993;28(1):34-7. 

  20. Tippett SR. Closed chain exercise. Orthop Phys Ther Clin North Am. 1992;1:253-67. 

  21. Weon JH, Oh JS, Cynn HS et al. Influence of forward head posture on scapular upward rotators during isometric shoulder flexion. J Bodyw Mov Ther. 2010 Oct;14(4):367-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