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Re-conceptualiz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Its Appli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8 no.6, 2008년, pp.618 - 632  

조희형 (강원대학교) ,  고영자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PCK의 정의와 그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는 과학교사의 PCK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과학교사 교육의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고 관련 과목을 결정하는 기준이나 준거로 사용될 수 있도록 재구성한 PCK를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가 획득하여 가져야 할 PCK를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또는 현직 과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하거나 중 고등학교의 실제 과학 교수 경험을 통해서 획득하여 그의 중 고등학교 과학 교수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있는 지식과 기능"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정의된 과학교사의 PCK는 과학과 교육학의 두 영역의 하위요소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통합되어 이루어지며, 이 연구에서는 그렇게 획득되는 PCK를 과학교육 소양으로 부른다. 이 논문에서는 PCK의 조작적 정의와 재구성된 PCK를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과 그에 관한 연구에 던져주는 시사점도 기술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rapidly growing body of research on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most of the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the definition of PCK and its component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PCK and to suggest another form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정의된 과학교사의 PCK는 과학과 교육학의 두 영역의 하위요소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통합되어 이루어지며, 이 연구에서는 그렇게 획득되는 PCK를 과학교육 소양으로 부른다. 이 논문에서는 PCK의 조작적 정의와 재구성된 PCK를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과 그에 관한 연구에 던져주는 시사점도 기술한다.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PCK의 정의와 그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는 과학교사의 PCK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과학교사 교육의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고 관련 과목을 결정하는 기준이나 준거로 사용될 수 있도록 재구성한 PCK를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가 획득하여 가져야 할 PCK를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또는 현직 과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하거나 중·고등학교의 실제 과학 교수 경험을 통해서 획득하여 그의 중·고등학교 과학 교수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있는 지식과 기능”으로 정의하였다.
  •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헌 조사를 통해 PCK의 본성과 그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PCK의 의미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그에 따라 PCK의 속성을 재구성하고자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재개념화한 PCK를 적용하는 방법과 PCK 연구에 대한 시사점도 제안하였다.
  •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PCK의 속성과 그 구성요소에 관한 문헌을 조사·분석하고, ㉡ PCK를 조작적으로 정의한 다음, 조작적으로 정의한 PCK 구성요소를 확인하여 그 체제를 재구성하고, ㉢ PCK를 과학교사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PCK에 관한 연구에 던져주는 시사점을 제안한다.
  •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헌 조사를 통해 PCK의 본성과 그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PCK의 의미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그에 따라 PCK의 속성을 재구성하고자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재개념화한 PCK를 적용하는 방법과 PCK 연구에 대한 시사점도 제안하였다. 문헌은 PCK가 포함된 교사지식 기반, PCK의 의미와 별칭, PCK의 기능과 특성, PCK의 적용 등에 관한 연구와 그에 관한 문헌을 중심으로 수집·분석하였다.
  • 네 번째, 현행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은 표 8의 하위요소의 명칭과 의미보다 표 6의 것에 더 가깝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개선에도 한 목적을 두었으며, 표 8은 그 한 과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CK와 그 구성요소는 무엇에 이용될 수 있는가? PCK와 그 구성요소는 과학교사 교육 목적 틀 또는 평가 목표 틀로 작성할 수 있는 것만이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조직, 과학교육학 과목의 설정, 신규과학교사 임용시험 등의 준거로 이용될 수 있다. 과학교육의 목적 틀과 평가목표 틀은 대개 2-3차원으로 작성된다.
미국의 NAEP에서는 지식과 능력으로 구성된 이차원의 평가 틀을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영국의 ASE(1986)에서는 과학교육의 목적을 내용·과정·상황의 3차원으로 기술하며, 미국의 NAEP(NAGB, 2008)에서는 지식과 능력으로 구성된 이차원의 평가 틀을 활용한다. 이는 목적 틀과 평가 틀을 3차원 이상으로 구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CK란? ‘교수내용지식’으로 해석하고, 교과 내용 또는 교과 지식이 교수의 용도로 변형되거나 교육학 지식이 함께 섞인 통합적 지식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박성혜 (2003a).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2. 박성혜 (2003b).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 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3. 박성혜 (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4. 법제처 (2008). 종합법령정보. 서울: http://www.moleg. go.kr. 2008년 6월 2일 접속 

  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교육학용어사전. 서 울: 하우 

  6. 이종일 (2006). 사회과 탐구와 교사자질. 서울: 교육 과학사 

  7. 임청환 (2003).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 달.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4), 235-249 

  8. Abell, S. K. (2007). Research on science teacher knowledg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1105-1149).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9. Appleton, K. (2002). Science activities that work: Perceptions of primary school teach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 393-410 

  10.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86). Science teacher's handbook. London: Hutchinson 

  11. Barnett, J., & Hodosn, D. (2001). Pedagogical context knowledge: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what good science teachers know. Science Education, 85, 426-453 

  12. Baxter, J. A., & Lederman, N. G. (1999). Assessment and measure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147-161).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13. Bybee, R. W. (1997).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From purposes to practices. Portmouth, NH: Heinemann 

  14. Carlsen, W. (1999). Domain of teacher knowledg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133-144).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15. Clermont, C. P., Krajcik, J. S., & Borko, H. (1993). The influence of an intensive in-service workshop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growth among novice chemical demonstrat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1), 21-43 

  16. Cochran, K. F., DeRuiter, J. A., & King, R. A.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 (4), 263-272 

  17. Cochran, K. F., King, R. A., & DeRuiter, J. A. (1991).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tent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April, 1991 

  18. De Jong, O. (2000). The teacher trainer as researcher: Exploring the initial pedagogical content concerns of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3, 127-137. Cited from Abell (2007) 

  19. De Jong, O., & van Driel, J. (2004).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student teachers' PCK of the multiple meanings of chemistry top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 477-491 

  20. De Jong, O., van Driel, J. H., & Verloop, N. (2005).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using particle models in teaching chemis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8), 947-964 

  21. Deng, Z. (2007). Transforming the subject matter: Examining the intellectual roo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urriculum Inquiry, 37(3), 279-295 

  22. Educational Testing Service (ETS) (2008). The Praxis series. http://www.ets.org/portal/site/ets/menuitem. Accessed on March 30 

  23. Feiman-Nemser, S., & Floden, R. (1986). The culture of teaching. In M. C. Wittrock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3rd ed., (505-526).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4. Fernandez-Balboa, J-M., & Stiehl, J. (1995). The generic na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college professors.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1(3), 293-306 

  25. Geddis, A. N., Onslow, B., Beynon, C., & Oesch, J. (1993). Transforming content knowledge: Learning to teach about isotopes. Science Education, 77(6), 575-591 

  26.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3-17).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27. Gess-Newsome, J., & Lederman, N. G. (eds.) (1999).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28.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ited from Hashweh (2005) 

  29. Hammerman, E. (2006). Becoming a better science teacher: 8 Steps to high quality instruction and student achievement.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30. Hashweh, M. Z. (2005). Teacher pedagogical constructions: A reconfigur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1(3), 273-292 

  31. Holder, K. C. (2004).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an a successful program of research exist without scientific-based research. Paper presented at the 2004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pril 12, 2004 

  32. Interstate New Teacher Assessment and Support Consortium (INTASC) (2002). Model standards in science for beginning teacher licensing and development: A Resource for state dialogue.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33. Kerlinger, F. N. (1973).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 2nd e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34. Kim, M. M., Andrews, R. L., & Carr, D. L. (2004). Traditional versus integrate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5(4), 341-356 

  35. Lee, E. (2005). Conceptualiz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d secondary science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36. Loughran, J., Berry, A., & Mulhall, P. (2006).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otterdam: Senses Publishers 

  37. Loughran, J., Milroy, P., Berry, A., Gunstone, R., & Mulhall, P. (2001). Document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PaP-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2), 289-307 

  38.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39. Magnusson, S., Borko, H., & Krajcik, J. S. (1994). Teaching complex subject matter in science: Insight from an analysi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Anaheim, CA, March 1994 

  40. Magnusson, S., Borko, H., Krajcik, J. S., & Layman, J. W. (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nten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tudent content knowledge of heat energy and temperatur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Boston, MA. March 1992 

  41. Magnusson, S., & Krajcik, J. (1993). Teacher knowledge and representation of content in instruction about heat energy and temperature. Paper presented at the 1993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Atlanta, GA. April 1993 

  42.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95-132).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43.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44. Marks, R. (1991). When should teachers lear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aper presented at AERA annual conference. Chicago, April 1991 

  45. Morine-Dershimer, G., & Kent, T. (1999). The complex nature and sources of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21-50).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46. National Assessment Governing Board (NAGB) (2008). NAEP science framework. http://nces.ed.gov/nationsreportcard/ science/whatmeasure.asp. Accessed on June 7, 2008 

  47.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NBPTS) (2003).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science standards: For teachers of students ages 14-18+, 2nd ed. The author 

  48.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9.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2003). Standard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revised 2003. The author 

  50. Park, S., & Oliver,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261-284 

  51. Segall, A. (2004). Revisit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pedagogy of content/the content of pedagog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 489-504 

  52.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53.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54. Shulman, L. S., & Sykes, G. (1986). A national board for teaching? In search of a bold standard. A report for the task force on teaching as a profession. New York: Carnegie Corporation. Cited form P. Tamir (1998) 

  55. Smith, D. C. (1999). Changing our teaching: The rol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scienc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163-197).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56. Tamir, P. (1988). Subject matter and related pedagogical knowledge in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2), 99-110 

  57. Tobin, K., Tippins, D., & Gallard, A. J. (1994). Research 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In D. L. Gabel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45-128).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58. Training & Development Agency for Schools (TDA) (2008). Handbook of guidance: 2006 Edition: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ers. The author 

  59. Van Dijk, E. M., & Kattmann, U. (2007). A research model for the study of science teachers' PCK and improving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 885-897 

  60.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61. Van Driel, J. H., & De Jong, O. (2001).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and Science Teaching. St. Louis, MO. March 25-28 

  62. Van Driel, J. H., De Jong, O., & Verloop, N. (2002).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6, 572-590 

  63.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64. Veal, W. R., & MaKinster, J. G.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axonomies. Educ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 1-14 

  65. Zembal-Saul, C., Starr, M. L., & Krajcik, J. S. (1999).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elementary science teaching us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J. Gess- 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237-256).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