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7학년 교과서의 확산현상 기술에 대한 분석과 과학교사들의 확산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
Analysis of Description of Diffusion Phenomena in the 7th Grade Textbook and Diagnosis of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Diffusion Concep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8 no.5, 2008년, pp.383 - 394  

구선아 (서울대학교) ,  채희권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확산 현상에 대한 7학년 과학교과서의 기술을 분석하고,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확산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데이터는 교과서 분석, 46명의 교사에 대한 설문 조사,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해 얻어졌다. 확산의 정의, 예시 및 모형에 대한 교과서 분석에 의하면 대부분의 표현들이 물속에서 잉크의 움직임을 관찰하기나 공기 중에서 향수냄새 맡기와 같이 거시적으로 설명되어 있었다. 또한 확산의 정의나 설명이 너무 축약적이어서 교사들이 물질과 매질의 충돌과 같은 미시적인 개념에 대한 추가 정보 없이는 개념을 이해하여 가르치기가 어려웠고, 확산 현상의 정의에서 농도차를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 설문조사와 면담 분석 결과 예시나 모형은 과학교사들로 하여금 용해, 분출 그리고 증발과 같은 개념과 혼동하도록 유도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교사들의 확산개념에 대한 이해도는 교과서에 매우 의존적이고 개념의 이해 수준 또한 교과서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the description of diffusion phenomena in a 7th-grade textbook, and investigated teachers' understanding and teaching methods on diffusion concep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extbook analysis and questionnaires from 46 science teachers and interviews with 5 teachers. Based on tex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것은 학생들은 배우는 과정을 통해 점차 뚜렷한 개념 변화 과정을 겪는데 비해 교사들의 개념과 교실 수업 현장을 변화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연구 결과 때문일 수 도 있다(Duit & Treagust, 200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7학년 과학교과서의 확산 현상에 대한 표현과 기술을 살펴보고 과학교사들은 확산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확산의 정의와 확산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예시, 모형을 분석하고, 중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확산 개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교사들의 인식의 원인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 확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모형이나 예시 중에는 확산 현상과 용해, 분출의 개념이 혼용되고 있는 것이 있다. 설문 조사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면담을 통해 교사들이 확산과 용해, 분출의차이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등학교에서 과학개념변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엇이 제기되는가? 중등학교에서 과학개념변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측면과 교육학적인 측면의 균형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교수 학습 전략이 제기되고 있다. 과학개념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표기 또는 기호화된 시스템을 사용해야 하고(Wellington & Osborne, 2001), 개념의 객관화를 위하여 구어체 형식을 탈피하고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해야하며 의인화(personification)의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Lemke, 1990).
과학현상의 난해성은 무엇 때문이라 보는가? , 2007; Newton & Newton, 2007). 과학현상의 난해성은 시각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추상성, 시간에 따른 종속성, 끊임없이 움직이는 역동성과 여러 가지 개념이 혼재해 있는 복합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Chi, 2005). 이러한 현상 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상성에서 구체성으로, 종속성과 역동성에서 정지성으로, 복합성에서 단일성으로 관찰 가능한 형태나 의미전달을 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개념으로 기술해야 한다(Putnam, 1981).
과학적 개념의 본질과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의 선 안에서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보는 이유는? 중등학교에서 과학개념변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측면과 교육학적인 측면의 균형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교수 학습 전략이 제기되고 있다. 과학개념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표기 또는 기호화된 시스템을 사용해야 하고(Wellington & Osborne, 2001), 개념의 객관화를 위하여 구어체 형식을 탈피하고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해야하며 의인화(personification)의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Lemke, 1990). 중등 과학교육은 학생들이 과학개념을 이해하고 과학현상을 논리적인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며 과학지식의 양적인 요소보다는 학생들의 지적발달과 논리적인 사고 향상 등 인지적인 요소가 더 중요하다(Taber, 1996). 따라서 과학 개념의 효과적인 변화 과정은 과학적 개념의 본질과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She,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대훈, 백성혜, 박국태 (2000). 중등학교에서의 용 해 현상의 지도 실태 조사. 대한화학회지, 44(5), 460-469 

  2. 김문수, 정영란 (1997). 확산과 삼투 개념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오개념의 원인으로서의 교과서 분 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91-200 

  3. 김미영, 김희백 (2006). 혈액 순한 요소별 학생들의 개념분석 : 횡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53- 764 

  4. 김미영, 김희백 (2007). 혈액 순한 모형 기반수업에서 고등학생들의 개념변화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379-393 

  5. 김주현, 이동준, 김선경, 강성주, 백성혜 (2000). 입 자론의 관점에서 본 확산과 용해 개념에 관련된 과학 교과서 및 인터넷 자료 분석과 컴퓨터 수업 보조 자료 의 개발. 대한화학회지, 44(6), 611-624 

  6. 노태희, 전경문, 김해경 (1996). 물질과 확산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신뢰성 있게 정량화하는 방법. 화학교육, 23(1), 42-50 

  7. 조정일, 이현욱 (1994). 확산과 삼투 분자운동 모형 을 활용한 수업의 개념 변화에의 효과.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14(3), 293-303 

  8. 허미연, 전혜숙, 백성혜 (2008). 용해확산과 관련된 혼합현상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2(1), 73-83 

  9. Chi, M. T. H. (2005). Commonsense conception of emergent process: Why some misconceptions are robust.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14(2), 161-199 

  10. Chi, M. T. H., Slotta, J. D. & Leeuw, N. (1994). From things to process: A theory conceptual change for learning science concepts. Learning and Instruction, 4(1), 27-43 

  11. Christianson, R. G. & Fisher, K. M. (1999). Comparison of student learning about diffusion and osmosis in constructivist and traditional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6), 687-698 

  12. Duit, R. & Treagust, D. F. (2003). Conceptual change: A powerful framework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71-688 

  13. Duncan, R. G. & Reiser, B. J. (2007). Reasoning across ontologically distinct levels: Students' understanding of molecular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in press 

  14. Harrison, A. G. & Treagust, D. F. (1993). Teaching with analogies: A case study in grade-10 op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10), 1291-1307 

  15. Johnstone, A. H. (2000). Teaching of chemistry -logically or psychologically.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 Practice in Europe, 1(1), 9-15 

  16.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New Jerse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7. Lombrozo, T. & Carey, S. (2006).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function of explanation. Cognition, 99, 167-204 

  18. Mussell, R., Todebush, P. M. & Braun, J. R. (2007). Chemical demonstrations for traditionally difficult high school chemistry topics, Chemical Educator, 12, 270-272 

  19. Newton, D. P & Newton, L. D. (2007). An analysis of primary technology textbooks: Can they support cause and purpose explanation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5(2), 199-210 

  20. Odom, A. L. (1995). Secondary and college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diffusion and osmosis. American Biology Teacher, 57, 409-415 

  21. Odom, A. L. & Barrow, L. H. (199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wo-tier diagnostic test measuring college biology students' understanding of diffusion and osmosis after a course of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1), 45-61 

  22. Odom, A. L. & Barrow, L. H. (2007). High school biology students' knowledge and certainty about diffusion and osmosis concepts. School Science & Mathematics, 107 (3), 94-101 

  23. Putnam, H. (1981). Quantum mechanics and the observer, Erkenttnis, 16, 221-224 

  24. She, H. C. (2004). Facilitating changes ninth grade students' dissolution and diffusion through DSLM instruc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 503-525 

  25. Slisko, J. & Dykstra, D. I. Jr. (1997). The role of scientific terminology in research and teaching: Is something important miss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6), 655-660 

  26. Taber, K. S. (1996). The secret life of the chemical bond: Students' anthropomorphic and animistic references to bon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 (5), 557-568 

  27. Wang, J. R. (2006). Students' thinking and alternative conceptions of transport systems in plants: A follow-up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5, 307-328 

  28.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29. Westbrook, S. L. & Marek, E. A. (1991). A cross-age study of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iffu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8), 649-660 

  30. Won, J.-A., Ko, Y.-H. & Paik, S.-H. (2007).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conceptions related to osmosi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2), 144-152 

  31. Yager, R. E. (1983). The importance of terminology in teaching K-12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 577-5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