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자확산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탐구실험을 통한 예비교사의 개념변화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Molecular Diffusion and Conceptual Change of Preservice Teachers by Inquiry Experimen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0 no.1, 2010년, pp.80 - 93  

성숙경 (경일고등학교) ,  백종호 (서울대학교) ,  정대홍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확산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확산에 관한 탐구실험을 개발하여 예비교사의 확산에 대한 이해를 조사하였다. 이 탐구실험을 수행한 3개 대학의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 중 20명이 면담에 참여했다. 탐구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3개 모둠에서 6명의 실험과정을 녹음, 녹화하였다. 예비교사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면담과 녹음자료의 전사본, 보고서와 설문지, 확산에 대한 시험 답안지를 분석하였으며, 공동연구자와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출과 확산 그리고 확산 중 등압확산과 등유량확산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분출과 확산 등을 Graham의 확산속도법칙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확산에 대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탐구실험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등압 및 등유량의 두 가지 확산실험에 대해 직접 관찰하였으나, 대부분의 경우 두 실험의 개념적 차이를 구별하는데 실패하였다. 탐구실험 후, 확산에 대한 개념의 수정이 이루어진 예비교사는 약 40%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cope of this study is: (1) to review or summarize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of diffusion; (2)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diffusion utilizing the inquiry experiment of diffusion tha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giv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 개념에 대해 불만족을 일으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한편 개념변화에 대한 연구는 선개념에 대한 학생의 불만족이 개념변화의 필수요소이며, 메타분석은 이러한 개념변화 접근이 전통적 접근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Duit & Treagust, 2003). 선 개념에 대해 불만족을 일으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소규모 실험활동을 이용할 수 있다(Christianson & Fisher, 1999). 실험활동은 오랫동안 과학교육을 구별하는 중심적 역할을 해왔으며, 탐구중심 실험은 학생의 유의미한 학습과 개념이해뿐 아니라 탐구능력과 과학의 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Lunetta, 1998; Hofstein, 2004).
확산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확산에 관한 탐구실험을 개발하여 예비교사의 확산에 대한 이해를 조사 한 결과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출과 확산 그리고 확산 중 등압확산과 등유량확산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분출과 확산 등을 Graham의 확산속도법칙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확산에 대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탐구실험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등압 및 등유량의 두 가지 확산실험에 대해 직접 관찰하였으나, 대부분의 경우 두 실험의 개념적 차이를 구별하는데 실패하였다. 탐구실험 후, 확산에 대한 개념의 수정이 이루어진 예비교사는 약 40%였다.
확산이란 무엇인가? 확산은 화학에서 반응속도의 한계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모든 두 분자의 화학을 이해하는데 꼭 필요한 물리화학적 현상이다(Crooks, 1989; Fate & Lynn, 1990; Nelson, 1995). 또한 유체의 흐름현상 중 하나인 확산은 생물에서 세포와 환경사이의 물질교환을 촉진하는 생명체의 기초적인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갖는 개념이기도 하다(Christianson & Fisher, 1999; Panizzon,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대훈, 백성혜, 박국태 (2001). 중학생들의 용해현상 이해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45(1), 83-89. 

  2. 교육부 (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 pp.142-143. 

  3. 구선아, 채희권 (2008). 7학년 교과서의 확산현상기술에 대한 분석과 과학교사들의 확산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383-394. 

  4. 김문수, 정영란 (1997). 확산과 삼투 개념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오개념의 원인으로서의 교과서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91-200. 

  5. 김범기, 권재술 (1995). 과학개념과 인지적 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72-486. 

  6. 김조연, 신애경, 박국태, 최병순 (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5(5), 470-480. 

  7. 김주현, 이동준, 김선경, 강성주, 백성혜 (2000). 입자론의 관점에서 본 확산과 용해 개념에 관련된 과학 교과서 및 인터넷 자료 분석과 컴퓨터 수업 보조자료의 개발. 대한화학회지, 44(6), 611-624. 

  8. 노태희, 임희연, 강석진 (2000a). 변칙 사례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88-296. 

  9. 노태희, 임희연, 강석진 (2000b). 성과 나이에 따른 인지 갈등 유발 및 개념 변화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34-641. 

  10. 이무, 박승재 (1987).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교육실태 비교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2), 71-87. 

  11. 이화정, 강성주 (2005). 교사양성 대학에서의 일반화학실험 개선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46-352. 

  12. 하성자 (2004). 중등 과학 교사들의 엔트로피 관련 과학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허미연, 전혜숙, 백성혜 (2008). 용해.확산과 관련된 혼합현상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유형 분석. 대한화학회지, 52(1), 73-83. 

  14. 홍정인, 김연수, 권재술 (2007). 작용.반작용과 전기회로 학습과제에서 인지갈등과 결과예측에 따른 대학생의 응답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354-365. 

  15. Atkins, P., & Jones, L. (2008). Chemical principles. 4th ed.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pp.158-160. 

  16. Bell, J. A. (2005). Chemistry: A project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17. Barrow, G. M. (1996). Physical chemistry. 6th ed. New York: McGraw-Hill. 

  18. Berry, R. S., Rice, S. A., & Ross, J. (2000). Physical chemistry.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 Chan, C., Burtis, J., & Bereiter, C. (1997). Knowledge building as a mediator of conflict in conceptual change. Cognition and Instruction, 15(1), 1-40. 

  20. Chi, M. T. H. (2005). Commonsense conceptions of emergent processes: Why some misconceptions are robust.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4(2), 161-199. 

  21. Christianson, R. G., & Fisher, K. M. (1999). Comparison of student learning about diffusion and osmosis in constructivist and traditional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6), 687-698. 

  22. Crooks, J. E. (1989). Measurement of diffusion coefficient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66(7), 614-615. 

  23. Domin, D. S. (1999). A review of laboratory instruction styl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4), 543-547. 

  24. Duit, R., & Treagust, D. F. (2003). Conceptual change: A powerful framework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71-688. 

  25. Fate, G., & Lynn, D. G. (1990). Molecular diffusion coefficient: Experimental determination and demonstratio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67(6), 536-538. 

  26. Graham, T. (1833). On the law of the diffusion of gases. The London and Edinburgh Philosophical Magazine and Journal of Science, 2, 175-190. 

  27. Graham, T. (1876). On the motion of gases. Part I. Chemical and Physical Researches. London: Edingburgh University Press. pp. 90- 108. 

  28. Graham, T. (1995). On the law of the diffusion of gase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100, 17-21. 

  29. Hofstein, A. (2004). Providing high school chemistry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learning skills in an inquiry-type laboratory: A cas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47-62. 

  30. Keenan, C. W., & Wood, J. H. (1961). General college chemistry. 2nd ed. New York: Harper and Brothers. p. 115. 

  31. Lederman, N. G., & Gess-Newsome, J. (2002). Reconceptualizing second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knowledge (pp. 199-213).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32. Levine, I. R. (2002). Physical Chemistry. 5th ed. New York: McGraw-Hill. ch15. Kinetic theory of gases. 

  33. Limon, M. (2001). On the cognitive conflict as an instructional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A critical appraisal. Learning and Instruction, 11, 357-380. 

  34. Lunetta, V. N. (1998). The school science laboratory: History perspectives and context of contemporary teaching. In B. J. Fraser, & K. G. Tobi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pp. 249-262).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 

  35. Ma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36. Mason, E. A., & Kronstadt, B. (1967). Graham's laws of diffusion and effusio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44(12), 740-744. 

  37. Mason, E. A., & Evans, R. B., III. (1969). Graham's laws: Simple demonstrations of gases in motion: Part I, Theo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46(6), 358-364. 

  38. McQuarrie, D. A., & Simon, J. D. (1997). Physical chemistry: A molecular approach. California: University Science Books. 

  39. Metiu, H. (2006). Physical chemistry. New York: Taylor and Francis Group. 

  40.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1. Nelson, R. N. (1995). Diffusion of water vapor: A physical chemistry laboratory experiment.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2(6), 567-569. 

  42. Odom, A. L., & Barrow, L. H. (199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wo-tier diagnostic test measuring college biology students'understanding of diffusion and osmosis after a course of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1), 45-61. 

  43. Panizzon, D. (2003). Using a cognitive structural model to provide new insights into students' understandings of diffu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12), 1427-1450. 

  44. Shoemaker, D. P., Garland, C. W., & Nibler, J. W. (1996). Experiments in physical chemistry. 6th ed. New York: McGraw-Hill. pp.134-144. 

  45. Slisko, J., & Dykstra, D. (1997). The role of scientific terminology in research and teaching: Is something important miss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6), 655-660. 

  46. Spotz, E. L., & Hirschfelder, J. O. (1951). Liesegang ring formation arising from diffusion of ammonia and hydrogen chlorine gases through air. Journal of Chemical Physics, 19, 1251. 

  47. Taitelbaum, D., Namlok-Naaman, R., Carmeli, M. C., & Hofstein, A. (2008). Evidence for teachers'change while participating in a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me and implementing the inquiry approach in the chemistry labora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5), 593-617. 

  48. Westbrook, S. L., & Marek, E. A. (1991). A cross-age study of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iffu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8), 649-660. 

  49. Zumdahl, S. S., & DeCoste, D. J. (2008). Introductory chemistry: A foundation. 6th ed. Boston: Houghton Miffli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