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구조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The Characteristics and Perspectives of Industrial Technology Labor-force by Technology Intensities in Korean Manufacturing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16 no.2, 2008년, pp.201 - 223  

홍성민 (한국산업기술재단 기술정책연구센터 산업혁신연구팀) ,  장선미 (원광대학교 경상대학 국제통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tudies the supply and demand of Industrial Technology Labor-force(ITL) and analyzes the determinate of ITL shortage in Korean manufacturing. We classified the industry into four categories-high technology industries, medium-high technology industries, medium-low technology industrie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우선적인 수급불균형 지표로는 부족률을 활용할 것이다. 다만 사업체에 입장에서 제시한 부족인원은 실제 필요한 인원보다 과대계상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이를 보완하는 지표로 1년 이내 채용예상인원의 현재인원에 대비한 비율, 즉 예상 채용률을 수급불균형을 보여주는 보조지표로 활용하고자 한다. 즉 산업기술인력의 수굽불균형 원인 분석 모형의 종속변수로는 부족률과 예상 채용률을 각각 활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 제 3장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에 대한 수급 현황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명확하며, 이는 기술집약도에 따라 산업기술인력의 수급 불균형 원인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산업기술인력 수급 불균형의 원인 분석 모형을 설정하고 실제로 수급불균형 원인에서 기술집약도별로 차이가 나타나는 지, 차이가 난다면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현상의 특성과 원인이 산업별 특성 차이를 어느정도 반영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기술혁신활동 등에서 여러 가지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는 고기술산업과 저기술산업 등을 명시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업기술인력의 수급 불균형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에 대한 정략적 분석을 본격적으로 시도하여, 산업기술인력에 대한 부분 노동시장 메커니즘을 좀 더 심도있게 분석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었다. 특히 기술집약도라는 산업적 특성차이가 기술인력 수급에도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갖고 이러한 메커니즘을 좀 더 명확히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산업기술인력 수급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또한 지식집약도별로 볼 때 산업기술인력 부족률로 대표되는 수급불균형 지표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지, 그리고 부족률을 종속변수로 하는 토빗 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함으로써 그러한 차이의 원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지식집약도에 따라 수급불균형 구조나 원인에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특히 어떠한 부분에서 크게 차이가 나타나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 특히 지식경제 시대를 맞이하여 개별 산업의 지식 혹은 기술집약도의 차이가 수급 구조의 차이를 가져와 수급불균형의 원인이 달라질 것으로 추론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구조적 차이를 감안한 연구는 전혀 시도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ECD의 기준을 활용해 산업 기술인력이 주로 분포하고 있는 제조업을 기술집약도에 따라 구분한 후 이러한 기술 집약도별로 산업기술인력의 수급불균형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 주요한 원인에 차이가 있는지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업기술인력의 수급 불균형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에 대한 정략적 분석을 본격적으로 시도하여, 산업기술인력에 대한 부분 노동시장 메커니즘을 좀 더 심도있게 분석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었다. 특히 기술집약도라는 산업적 특성차이가 기술인력 수급에도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갖고 이러한 메커니즘을 좀 더 명확히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산업기술인력 수급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현상의 특성과 원인이 산업별 특성 차이를 어느정도 반영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기술혁신활동 등에서 여러 가지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는 고기술산업과 저기술산업 등을 명시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OECD의 기술집약도 분류기준을 참조하여 우리나라 제조업의 기술집약도를 분석한 후, 제조업을 크게 고기술산업군(High-technology industries)과 중-고기술산업군(Medium-high-technology industries), 중-저기술산업 군(Medium-low-technology industries), 저기술산업군(Low-technology industries)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 한편 수급불균형의 원인 분석 모형의 설명변수, 즉 수급불균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원인 변수들은 사업체 특성 요인, 내부 인력수요 요인, 인력공급 영향 요인 등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고자 한다.4) 수급불균형은 기업 수요와 인력공급 사이의 격차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수요와 공급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되는 요인에 더해 이 양자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체 특성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의 수급불균형 현상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는 언제 부터 이루어졌는가?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의 수급불균형 현상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가 이루어진 것은 아주 최근인 2006년 이후라고 할 수 있다.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에 대한 연도별 기초조사가 2004년에 처음으로 시작된 이후 조사대상 산업이나 직종, 조사내용 등이 일차적으로 정비된 것이 2006년부터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의 수급불균형 현상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2006년 이후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의 수급불균형 현상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가 이루어진 것은 아주 최근인 2006년 이후라고 할 수 있다.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에 대한 연도별 기초조사가 2004년에 처음으로 시작된 이후 조사대상 산업이나 직종, 조사내용 등이 일차적으로 정비된 것이 2006년부터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05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수급실태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이루어진 김승택(2006)은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이 높은 산업과 직종을 지역별 혹은 규모별 등으로 세분화시켜 분석하여, 지역 내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산업과 관련 직종에서 많은 부족인원이 발생한다는 점, 수도권 이외 지역의 경우 부족률과 부족인원이 동시에 5위권 내에 드는 직종이 많이 나타나 지역의 산업기술인력 수급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등을 밝히고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조사에 따른 기여율 추이는 어떻게 되는가? 무엇보다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에서 기술혁신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기술이 경제발전의 핵심드라이버(core driver)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두드러진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06)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성장에 R&D투자가 기여하는 정도, 즉 기여율이 1971~89년의 23.3%에서 1999~2004년에는 30.4%로 상승하였다. 결국 기술과 지식 등 무형자산이 기업의 가치를 좌우하고, 기업 경쟁력의 핵심원천으로 대두되는 지식경제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