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lutamate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제비꽃 추출물의 영향
Protective Effect of Neuronal Cell on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from Viola mandshurica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1 no.1, 2008년, pp.79 - 83  

이미라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한창석 (대한당한약방 한약연구실) ,  한동열 (대한당한약방 한약연구실)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박해룡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신경독소일 뿐만 아니라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glutamate 세포독성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하고 있고, 여기에 방어효과를 보이는 제비꽃 추출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MTT reduction assay를 통하여 glutamate의 세포독성을 확인하였고 ascorbic acid와 같은 대표적인 항산화제를 처리한 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N18-RE-105 세포주에 최종 농도 20mM의 glutamate를 처리 하면 40.8% 의 생존율을 보이는데 반하여 ascorbic acid 500 ${\mu}M$ 최종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85.3%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지는 제비꽃을 methanol, ethanol, acetone 추출한 뒤 MTT reduction assay를 이용하여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acetone 추출물을 최종농도 50, 100 ${\mu}g/ml$를 처리 시 76.8%, 79.4%로 가장 높은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N18-RE-105 세포주의 형태학적 변화와 LDH release assey에서도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describes glutamate which is known as excitatory neurotransmitter is related with oxidative damages and the Viola mandshurica extracts. Showed protective effects against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The 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 on the glutamate treated N18-RE-I05 cell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비꽃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glutamate에 의해 손상된 N18-RE-105 신경 세포주에 대한 보호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 제비꽃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본 연구팀에서는 고농도의 glutamate가 유도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물질을 찾기 위하여 천연물을 대상으로 탐색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제비꽃(Viola mandshurica)추출물로부터 강력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팀에서는 국내외에서 자생하고 있는 435가지의 약용식물 주줄물을 대상으로 뇌신경세포계 hybridoma N18-RE-105 세포주를 이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천연추출물의 탐색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제비꽃(Violamandshurica)추출물로부터 강력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oon, M. Y., Kim, J. Y., Hwang, J. H., Cha, M. R., Lee, M. R., Jo, K. J. and Park, H. R. (2007) Protectiv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s from Dendrobium nobile Lindl. on $H_2O_2$ - induc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63-67 

  2. Sagara, Y., Dargusch, R., Chambers, D., Davis, J., Schubert, D. and Mater, P. (1998) Cellular mechanisms of resistance to chronic oxidative stress. Free Radic. Biol. Med. 24, 1375-1389 

  3. Lee, Y. S. (2007)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4, 78-86 

  4. Kim, D. J., Seong, K. S., Kim, D. W., Ko, S. R. and Chang, C. C.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paraquat-induced oxidative stress. J. Ginseng Res. 28, 5-10 

  5. Ames, B. N., Shigenaga, M. K. and Hagen, T. 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6. Halliwell, B. and Aruoma, O. (1991) DNA damage by oxygenderived species. FEBS Lett. 281, 9-19 

  7. Kim, S. H., Park, H. M., Seo, J. H. and Hur, M. (1997) The change of blood reduced glutathione according to postmenopausal HRT: GSH as a maker of antioxidant effect of the sex steroids. JKSM. 3, 116-125 

  8. Ames, B. N., Cathcart, R., Schwiers, E. and Hochstein P. (1981) Uric acid provides an antioxidant defense in humans against oxidant- and radical-caused aging and cancer: A hypothesis. Proc. Natl. Acad. Sci. USA. 78, 6858-6862 

  9. Kato, S., Ishita, S., Sugawara, K. and Mawatari, K. (1993) Cystine/glutamate antiporter expression in retinal Muller glial cells: implications for DL-alpha-aminoadipate toxicity. Neuroscience. 57, 473-482 

  10. Choi, W. H., Oh, Y. S., Ahn, J. Y., Kim, S. R. and Ha, T. Y. (2005) Antioxidative and protective effect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extracts on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79-483 

  11. Jeon, H. J., Park, S. W. and Mun, B. S. (2004) Effects of Gwibitang on glutamate-induced death in rat neonatal astrocytes. J Korean Oriental Med. 25, 184-193 

  12. Lee, J., Kim, M. S., Lee, C., Kim, H. Y., Choi, D. H., Kim, T. Y., Son, Y. and Park, R. (2003) Role of morphine in the glutamate-induced oxidative damage of C6 glial cells. Korean J Anesthesiol. 45, 271-277 

  13. Hwang, I. Y., Cheol, S. I., Song, Y. S., Seoung, M. J., Park, H. J., Lee, Y. M., Park, C. B., Lee, M. K., Oh, K. W., Sim, Y. Y. and Hong, J. T. (2002)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in the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 J. Toxicol. Pub. Health. 18, 355-362 

  14. Park, M. J., Kim, S. R., Moon, A. and Kim, S. H. (1995) Primary cultured brain cells as screening methods for natural products acting on glutamatergic neurons. Yakhak Hoeji. 39, 444-449 

  15. Malouf, A. T., Coyle, J. T. and Schnaar, R. L. (1984) Agonists and cations regulate the glutamic acid receptors on intact neuroblastoma hybrid cells. J Biol Chem. 259, 12763-12768 

  16. Park, M. J. and Kim, Y. C. (1992) Effects of betaine on the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d chicken brain cells. Kor. J. Pharmacogn. 23, 259-263 

  17. Kim, S. R., Jeon, M. H. and Kim, Y. C. (1996) Glinkgolides attenuate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Yakhak Hoeji. 40, 720-726 

  18. Kim, S. R., Jang, Y. P., Sung, S. H., Lee, H. S., Moon, A. and Kim Y. C. (1997) Bilobalide attenuates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Yakhak Hoeji. 41, 111-116 

  19. Murphy, T. H., Miyamoto, M., Sastre, A., Schnaar, R. L. and Coyle, J. T. (1989) Glutamate toxicity in a neuronal cell line involves inhibition of cystine transport leading to oxidative stress. Neuron. 2, 1547-1558 

  20. Tan, S., Schubert, D. and Maher, P. (2001) Oxytosis: A novel form of programmed cell death. Curr. Top. Med. Chem. 1, 497- 506 

  21. Yook, C. S., Lee, W. T. and Moon, C. K. (1989) Studies on flavonoid glycoside of the leaves of Viola diamantica. Yakhak Hoeji. 33, 124-128 

  22. Yoon, M. Y., Lee, B. B., Kim, J. Y., Kim, Y. S., Park, E. J., Lee, S. C. and Park, H. R.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Psoralea corylifolia Linne extracts. Kor. J. Pharmacogn. 38, 84-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