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scular plants in the Eco-Arboretum site, Mt. Gumwon appeared to be 369 taxa; 84 families, 217 genera, 319 species, 43 varieties and 7 forms.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2 taxa existed in the studied areas; Abies koreana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73), Paeonia obovata (No. 97) ...
The vascular plants in the Eco-Arboretum site, Mt. Gumwon appeared to be 369 taxa; 84 families, 217 genera, 319 species, 43 varieties and 7 forms.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2 taxa existed in the studied areas; Abies koreana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73), Paeonia obovata (No. 97)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2 families, 14 genera, 11 species, 3 varieties, 1 hybrid, 15 taxa existed; Cephalotaxus koreana, Abies koreana (Planted species), Carex okamotoi, Salix hallaisanensis, Salix purpurea var. japonica, Clematis trichotoma, Thalictrum actaefolium, Lespedeza ${\times}$ tomentella, Vicia nipponica, Stewartia koreana, Hypericum attenuatum var. confertissimum, Paulownia coreana (Planted species),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Planted specie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38 taxa; Paeonia obovata in class V , 13 taxa (Lilium leichtlinii var. tigrinum, Betula costata, Betula davurica, Ulmus davidiana, Spiraea frutschiana, Prunus maackii,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Cynanchum inamoenum, Lonicera subhispida, Cacalia firma, etc.) in class III , 5 taxa (Heloniopsis orientalis, Chrysosplenium pilosum, Acer triflorm,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Teucrium veronicoides, etc.) in Class II . 19 taxa (Dryopteris erythrosora, Arisaema ringens, Veratrum versicolor, Polygonatum inflatum, Salix glandulosa, Betula schmidtii, Alnus hirsuta, Quercus variabilis, Aconitum japuense, Dicentra spectabilis,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Impatiens noli-tangere, Ilex macropoda, Tilia amurensis, Fraxinus mandshurica, Trigonotis icumae, etc.)in class I .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5 families, 13 genera, 15 taxa (Rumex acetocella, Rumex obtusifolius, Trifolium repens, Oenothera odorata, Erigeron annuus, Erigeron philadelphicus, Bidens frondosa, Taraxacum officinale,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4.1% of all 369 taxa vascular plants.
The vascular plants in the Eco-Arboretum site, Mt. Gumwon appeared to be 369 taxa; 84 families, 217 genera, 319 species, 43 varieties and 7 forms.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2 taxa existed in the studied areas; Abies koreana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73), Paeonia obovata (No. 97)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2 families, 14 genera, 11 species, 3 varieties, 1 hybrid, 15 taxa existed; Cephalotaxus koreana, Abies koreana (Planted species), Carex okamotoi, Salix hallaisanensis, Salix purpurea var. japonica, Clematis trichotoma, Thalictrum actaefolium, Lespedeza ${\times}$ tomentella, Vicia nipponica, Stewartia koreana, Hypericum attenuatum var. confertissimum, Paulownia coreana (Planted species),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Planted specie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38 taxa; Paeonia obovata in class V , 13 taxa (Lilium leichtlinii var. tigrinum, Betula costata, Betula davurica, Ulmus davidiana, Spiraea frutschiana, Prunus maackii,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Cynanchum inamoenum, Lonicera subhispida, Cacalia firma, etc.) in class III , 5 taxa (Heloniopsis orientalis, Chrysosplenium pilosum, Acer triflorm,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Teucrium veronicoides, etc.) in Class II . 19 taxa (Dryopteris erythrosora, Arisaema ringens, Veratrum versicolor, Polygonatum inflatum, Salix glandulosa, Betula schmidtii, Alnus hirsuta, Quercus variabilis, Aconitum japuense, Dicentra spectabilis,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Impatiens noli-tangere, Ilex macropoda, Tilia amurensis, Fraxinus mandshurica, Trigonotis icumae, etc.)in class I .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5 families, 13 genera, 15 taxa (Rumex acetocella, Rumex obtusifolius, Trifolium repens, Oenothera odorata, Erigeron annuus, Erigeron philadelphicus, Bidens frondosa, Taraxacum officinale,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4.1% of all 369 taxa vascular plan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을 조 사한 후 희귀 및 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귀화식물 등을 분류함으로써, 생태수목원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후 희귀 및 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귀화식물, 이식대상식물 여부 등을 분류함으로써, 생태수목원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그 목적이 있다.
제안 방법
조사시기는 2007년 5월 31일~6월 2일, 8월 12일~14일까지 총 6일 동안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Fig. 1).
본 조사지 역에서 확인된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1996)의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을희귀식물로 기재하여 Ministry of Environment(2005)^| 멸종위기야생식물과 구분하였다. 또한, 특산식물은 Kim(2004)의 문헌을 적용하였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Kim(2000) 에 따라 정리하였다.
또한, 특산식물은 Kim(2004)의 문헌을 적용하였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Kim(2000) 에 따라 정리하였다. 귀화식물은 Park 등(2002)이 제시한 목록을 기준으로 정리하였으며, 이 중 귀화도의 분포 등급은 5등급으로 구분하여 귀화도 5등급은 우리나라 전 지역에 이미 토착화된 식물로 널리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은 종, 귀화도 4등급은 국지적으로 분포하나 개체수가 많은 종, 귀화도 3등급은 널리 분포하나 개체수는 많지 않은 종, 귀화도 2등급은 어느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개체수 또한 적은 종, 귀화도 1등급은 분포지역이나 개체수가 적은 종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입시기를 3 기로 구분하여 이입 1기에는 개항이후부터 1921년까지, 이입 2 기는 1922년부터 1963년까지, 이입 3기는 1964년 이후 현재까지 기준하였다.
대상 데이터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는 경남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 산 61-1번지에 속하며, 조사면적은 도유림 l, 600ha 정도로 임도 변의 사면부와 계곡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조사시기는 2007년 5월 31일~6월 2일, 8월 12일~14일까지 총 6일 동안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Fig.
또한, 가능한 현지에서 동정을 하되, 동정이 불가능한 식물들은 채집하여 Lee (1993)와 Lee(1996) 및 Lee(2002)의 문헌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조사경로 확인은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1/50, 000 지형도와 위성항법장치(GPSmap 60CSX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연구방법은 각 등산로를 따라 좌우 5m 범위에서 관속식물을 조사하였으며, 식물의 배열순서와 학명의 기재는 Lee(1993)의 문헌인 "대한식물도감에 따라 정리하였다. 또한, 가능한 현지에서 동정을 하되, 동정이 불가능한 식물들은 채집하여 Lee (1993)와 Lee(1996) 및 Lee(2002)의 문헌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대한식물도감에 따라 정리하였다. 또한, 가능한 현지에서 동정을 하되, 동정이 불가능한 식물들은 채집하여 Lee (1993)와 Lee(1996) 및 Lee(2002)의 문헌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조사경로 확인은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1/50, 000 지형도와 위성항법장치(GPSmap 60CSX 이용하였다.
구분하였다. 또한, 특산식물은 Kim(2004)의 문헌을 적용하였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Kim(2000) 에 따라 정리하였다. 귀화식물은 Park 등(2002)이 제시한 목록을 기준으로 정리하였으며, 이 중 귀화도의 분포 등급은 5등급으로 구분하여 귀화도 5등급은 우리나라 전 지역에 이미 토착화된 식물로 널리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은 종, 귀화도 4등급은 국지적으로 분포하나 개체수가 많은 종, 귀화도 3등급은 널리 분포하나 개체수는 많지 않은 종, 귀화도 2등급은 어느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개체수 또한 적은 종, 귀화도 1등급은 분포지역이나 개체수가 적은 종으로 구분하였다.
성능/효과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은 84과 217속 319종 43변종 7품종으로 총 36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 물은 구상나무(보존우선순위 ; 73번)와 산작약(97번)이 확인되 었 다.
희귀식 물은 구상나무(보존우선순위 ; 73번)와 산작약(97번)이 확인되 었 다. 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구상나무(식재), 지리대사초, 떡버들, 키버들,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털조록싸리, 네잎갈퀴나물, 노각나무, 큰고추나물, 오동(식재), 병꽃나무, 벌개미취(식재) 등 12과 14속 11종 3변종 1교잡종으로 총 15종류가 확인되었다. 식 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산작약, IV등급에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皿등급에 구상나무(식재), 중나리, 거제수나무, 물 박달나무, 당느릅나무, 참조팝나무, 개벚지나무, 꽝꽝나무(식 재), 노각나무, 개회나무, 선백미꽃, 털괴불나무, 병풍쌈 등 13종 류, II등급에 처녀치마, 털괭이눈, 복자기, 민둥뫼제비꽃, 곽향 등 5종류, I 등급에 홍지네고사리, 개비자나무, 전나무(식재), 잣나무스;재), 큰천남성, 흰여로, 퉁둥굴레, 왕버들, 박달나무, 물오리나무, 굴참나무, 투구꽃, 금낭화, 애기괭이눈, 노랑물봉선, 대팻집나무, 피나무, 들메나무, 덩굴꽃마리 등 19종류로 정리되어 총 38종류가 확인되었다.
식 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산작약, IV등급에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皿등급에 구상나무(식재), 중나리, 거제수나무, 물 박달나무, 당느릅나무, 참조팝나무, 개벚지나무, 꽝꽝나무(식 재), 노각나무, 개회나무, 선백미꽃, 털괴불나무, 병풍쌈 등 13종 류, II등급에 처녀치마, 털괭이눈, 복자기, 민둥뫼제비꽃, 곽향 등 5종류, I 등급에 홍지네고사리, 개비자나무, 전나무(식재), 잣나무스;재), 큰천남성, 흰여로, 퉁둥굴레, 왕버들, 박달나무, 물오리나무, 굴참나무, 투구꽃, 금낭화, 애기괭이눈, 노랑물봉선, 대팻집나무, 피나무, 들메나무, 덩굴꽃마리 등 19종류로 정리되어 총 38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큰조아재비, 큰 김의털, 오리새, 호밀풀, 애기수영, 돌소리쟁이,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달맞이꽃, 개망초, 봄망초, 미국가막사리, 원 추천인국, 서양민들레 등 5과 13속 15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 화율은 전체 369종류의 관속식물 중 4.1%로 분석되었다.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은 84과 217속 319종 43변종 7품종으로 총 369분류군(taxa)가 확인되었다 (Appendix 1). 이 중 목본식물(Woody plants)은 총 369종류 중 132종류(35.
1). 이 중 목본식물(Woody plants)은 총 369종류 중 132종류(35.8%), 초본식물(Herbaceous plants)은 237종류 (64.2%)가 확인되었다. 또한, 양치식물(Pteridophyta)은 6과 11 속 18종류(4.
2%)가 확인되었다. 또한, 양치식물(Pteridophyta)은 6과 11 속 18종류(4.9%)와 나자식물(Gymnospermae)은 3과 5속 8종류(2.2%)가, 피자식물(Angiospermae)은 75과 201속 343종류 (92.9%)가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단자엽식물(Monocotyledo- neae)은 9과 36속 59종류(17.
9%)가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단자엽식물(Monocotyledo- neae)은 9과 36속 59종류(17.2%), 쌍자엽식물(Dicotyledon— eae)은 66과 165속 284종류(82.8%)가 확인되었다(Table 1). 조사된 식물들 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분류군은 국화과 (Compositae) 식물로 38종류(10.
8%)가 확인되었다(Table 1). 조사된 식물들 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분류군은 국화과 (Compositae) 식물로 38종류(10.3%)가 확인되었다.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1996)이 선정한 217종류 중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부지에서 확인된 희귀식물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보존 우선순위 73번와 산작약(PaeoEa obovata; 97번)이 확인되었다 (Table 2). 이 중 구상나무는 금원산 임도변에 식재되어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없으며, 산작약은 Ministry of Environment (2005)의 야생동식물보호법 제 2조에 의거, 멸종위기야생동, 식물 I[급에 해당되는 법정보호종으로 만병초원이 조성될 부지에서 3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차후 정밀조사를 통한 개체수 여부와 서식처 실태 등의 보존대책이 요망된다.
또한, 특산식물은 Kim(2004) 이 7특산속 340종 132변종 287 품종 총 759종류(자생식물 4, 000종류 중 약 19%정도)를 보고한바 있으며, 이 문헌을 기준으로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에서 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구상나무(식재), 지리대사초, 떡 버들, 키버들,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털조록싸리, 네잎갈퀴나물, 노각나무, 큰고추나물, 오동(식재), 병꽃나무, 벌개미취스]재) 등 12과 14속 11종 3변종 1교잡종 총 15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Table 2). 이 중 구상나무와 오동 및 벌개미취는 식재종으로 큰 의미는 없다.
보전가치가 가장 높은 V등급에서부터 낮은 I 등급까지 보전 우선순위를 평가한 것으로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식물구계 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산작약, IV등급에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M등급에 구상나무(식재), 중나리,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당느릅나무, 참조팝나무, 개벚지나무, 꽝꽝나무(식재), 노각나무, 개회나무, 선백미꽃, 털괴불나무, 병풍쌈 등 13종류, II등급에 처녀치마, 털괭이눈, 복자기, 민둥뫼제비꽃, 곽향 등 5종류, I등급에 홍지네고사리, 개비자나무, 전나무(식재), 잣나 흰참꽃나무와 참당귀는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무(식재), 큰천남성, 흰여로, 퉁둥굴레, 왕버들, 박달나무, 물오리나무, 굴참나무, 투구꽃, 금낭화, 애기괭이눈, 노랑물봉선, 대 귀화식물 팻집나무, 피나무, 들메나무, 덩굴꽃마리 둥 19종류로 정리되어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귀화식물에는 큰조아재비, 총38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Table 3).
and Park(1999)<=>! 덕유산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중 금 족제비싸리, 토끼풀 달맞이꽃, 개망초, 봄망초, 미국가막사리, 원산에서 H[등급 이상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으로 흰참꽃 원추천인국, 서양민들레 등 5과 13속 15종류(taxa)가 확인되었나 무, 당느릅나무, 참당귀, 선백미꽃을 보고한 바 있으나 본 조 으며, 귀화율은 전체 369종류의 관속식물 중 4.1%로 분석되었사는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내에 한정하여 조사를 수행하였기에 흰참꽃나무와참당귀는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귀화식물에는 큰조아재비, 큰김의털, 오리새, 호밀풀, 애기수영, 돌소리쟁이,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달맞이꽃, 개망초, 봄망초, 미국가막사리, 원추천인국, 서양민들레 등 5과 13속 15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369종류의 관속식물 중 4.1%로 분석되었다(Table 4). 이 중 큰조아재비, 큰김의털, 오리새, 호밀풀은 임도 비탈면 사방녹화시 Seed spray 로 의해 이입되었으며, 원추 천인국은 초화류로 화단에 식재된 것으로 판단된다.
조릿대의 확장을 막기 위한 제거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수고와 생육상태, 수령 등으로 미루어 보아 상층식생은 보존 가치가 높고 하층식생은 상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한 상태를 이루고 출현수종도 단순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부분적인 벌채작업을 시행해도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구상나무(식재), 지리대사초, 떡버들, 키버들,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털조록싸리, 네잎갈퀴나물, 노각나무, 큰고추나물, 오동(식재), 병꽃나무, 벌개미취(식재) 등 12과 14속 11종 3변종 1교잡종으로 총 15종류가 확인되었다. 식 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산작약, IV등급에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皿등급에 구상나무(식재), 중나리, 거제수나무, 물 박달나무, 당느릅나무, 참조팝나무, 개벚지나무, 꽝꽝나무(식 재), 노각나무, 개회나무, 선백미꽃, 털괴불나무, 병풍쌈 등 13종 류, II등급에 처녀치마, 털괭이눈, 복자기, 민둥뫼제비꽃, 곽향 등 5종류, I 등급에 홍지네고사리, 개비자나무, 전나무(식재), 잣나무스;재), 큰천남성, 흰여로, 퉁둥굴레, 왕버들, 박달나무, 물오리나무, 굴참나무, 투구꽃, 금낭화, 애기괭이눈, 노랑물봉선, 대팻집나무, 피나무, 들메나무, 덩굴꽃마리 등 19종류로 정리되어 총 38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큰조아재비, 큰 김의털, 오리새, 호밀풀, 애기수영, 돌소리쟁이,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달맞이꽃, 개망초, 봄망초, 미국가막사리, 원 추천인국, 서양민들레 등 5과 13속 15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 화율은 전체 369종류의 관속식물 중 4.
후속연구
2). 이 중 구상나무는 금원산 임도변에 식재되어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없으며, 산작약은 Ministry of Environment (2005)의 야생동식물보호법 제 2조에 의거, 멸종위기야생동, 식물 I[급에 해당되는 법정보호종으로 만병초원이 조성될 부지에서 3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차후 정밀조사를 통한 개체수 여부와 서식처 실태 등의 보존대책이 요망된다.
큰 문제점은 없을 것이다. 본 부지를 조성할시 공사의 용이성과 동선체계를 고려한 선택적인 벌채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일본잎갈나무 조림지 내부에 일부 참나무류(Quercus) 와 대팻집나무가 혼생하고 있어 벌채작업시 이런 수종들을 고려한 후 제거작업이 필요하다.
오감체험 숲 부지에는 물박달나무군락을 비롯하여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상층식생을 형성하고 있는 공간으로서 희귀자생식물원과 마찬가지로 상층식생은 보존가치가 높다. 따라서 상층식생은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며, 관목층 이하 하층식생은 종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임으로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데크 등의 시설물이 설치될 부지와 식재 예정지역 등 선택적인 벌채만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6)
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2006. Investigation of resource nature in the Mt. Gumwon. pp. 144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Kor. J. Environ. Biol. 18(1): 163-198
Kim, E.G. and D.H. Kim. 2000. A Study on the visit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spring season's visitors at Mt. Keumwon recreation forest. Kor. J. For. Econ. 8(1): 52-63
Kim, M.Y. 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pp. 408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6. Rare and endangered plants-Guide of preservation and object of plants- . pp. 140
Lee, T.B. 199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990
Lee, W.T.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pp. 33
Lee, W.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pp. 624
Lee, Y.N. 2002. Flora of Korea. Kyohaksa. Seoul. pp. 1269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The law of preservation of wild life-Endangered of Wild Life I, II-. Ministry of Environment
Oh, K.H. and C.S. Kim. 1998. Vegetation of Geochang and Sancheong. Ministry of Environment. pp. 1-50
Park, J.H., J.H. Shin, Y.M. Lee, J.H. Lim and J.S. Moon. 2002.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o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Korea National Arboretum. pp. 184
Seon, B.Y. and J.H. Park. 1999. Flora a nearby hill and Mt. Deogyu (Muju.Geochang). Ministry of Environment. pp. 130-173
Seon, B.Y. and T.J. Kim. 1998. Flora a nearby hill and Mt. Hwangmae (Geochang.Sancheong). Ministry of Environment. pp. 1-48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pp. 160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