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안심습지의 식물상
Flora in Ahnshim Wetland, Daegu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1 no.2, 2008년, pp.162 - 170  

유주한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경태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우성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습지보전 계획수립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심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은 57과 155속 179종 22변종 등 총 201 분류군이 요약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자라풀이었다. 습지식물의 경우 정수식물은 애기부들, 개피, 줄, 갈대, 고마리, 미나리, 물칭개나물, 침수식물은 말즘, 나사말, 검정말, 붕어마름, 물수세미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엽식물은 가래, 자라풀, 연꽃, 노랑어리연꽃, 부유식물은 생이가래, 개구리밥, 좀개구리밥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메귀리, 오리새, 소리쟁이, 묵밭소리쟁이, 털비름, 다닥냉이, 말냉이, 나도재쑥, 개소시랑개비, 벳지,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자주개자리, 가죽나무, 애기땅빈대, 큰달맞이꽃, 둥근잎유홍초, 둥근잎나팔꽃, 까마중, 큰개불알풀, 뚱딴지, 돼지풀, 도꼬마리, 개망초, 망초, 큰망초, 개쑥갓, 미국가막사리, 만수국아재비,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 방가지똥 등 총 33분류군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raw data on establishing the domestic wetland conservation pl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01 taxa in Ahnshim wetland; 57 families, 154 genera, 179 species and 22 varieties. The rare and endange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b) 등 일부만 조사되어 금호강 주변의 하천 배후 습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내 조류 서식처, 습지식생 군락지 및 비오톱 등 생태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안심습지에 대해 식물상을 중심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하천배후 습지가 가지는 생태정보를 수집 . 해석함으로서 국내 습지 보전계획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습지보전 계획수립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내 조류 서식처, 습지식생 군락지 및 비오톱 등 생태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안심습지에 대해 식물상을 중심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하천배후 습지가 가지는 생태정보를 수집 . 해석함으로서 국내 습지 보전계획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Y.H. 2001. Landscape Environment. Taelim, Seoul. pp. 726 

  2. Choi, C.M., E.J. Jeong and I.S. Lee. 2003. The flora of wetland at Mt. Il- Kwang, Busan. J. of the Environ. Sci. 12(12): 1277-1233 (in Korean) 

  3. Han, Y.H., D.Y. Kim and W.Y. An. 2002. Wetland environment and vegetation development of the Ilwol reservoir.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5(2): 9-16 (in Korean) 

  4. Heenan, P.B., I. Breitwieser, D.S. Glenny, P.J. de Lange and P.J. Brownsey. 1998. Checklist of dicotyledons and pteridophytes naturalized and casual in New Zealand: additional records 1994-96. New Zealand Journal of Botany 36: 155-162 

  5. Jang, B.O., S.U. Sin and K.R. Choi. 2006. Vegetation history of Wangdeunghae Moor, Mt. Jiri in Korean Peninsula. J. Ecol. Field Biol. 29(3): 287-293 (in Korean) 

  6. Kang, B.H. and S.I. Shim. 2002. Overall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Kor. J. Weed Sci. 22(3): 207-226 (in Korean) 

  7. Kang, M.J., C.S. Kim and K.H. Oh. 2007. Flora, actual vegetation map, and primary production of the vascular hydrophytes and hygrophytes in Upo wetland.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9(2): 45-55 (in Korean) 

  8.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9. Kim, I.T., S.W. Cheong and J.W. Park. 2005. Vegetation of Jangcheok wetland.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7(1): 129-138 (in Korean) 

  10. Kim, J.W and E.J. Lee. 1997. Multicriterion matrix technique of vegetation assessment -a new evaluation technique on the vegetation naturalness and its application. Korean J. Ecol. 20(5): 303-313 (in Korean) 

  11. Kim, J.W., J.H. Kim, J.C. Jegal, Y.K. Lee, K.R. Choi, K.H. Ahn and S.U. Han. 2005. Vegetation of Mujechi moor in Ulsan: actual vegetation map and Alnus japonica population. Korean J. Ecol. 28(2): 99-103 (in Korean) 

  12. Kim, J.W. and S.U. Han. 2005.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Korean J. Ecol. 28(2): 85-92 (in Korean) 

  13. Kim, K.G. 2003. Wetland and Environment. Academy Book, Seoul. pp. 684 

  14. Korea Forest Service. 1997. Illustrated Rare and Endangered Species in Korea. pp. 255 

  15. Lee, P.H., C.S. Kim, T.G. Kim and K.H. Oh. 2005a. Vegetation structure of Haepyeong wetland in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7(3): 87-95 (in Korean) 

  16. Lee, P.H., C.S. Kim, T.G. Kim and K.H. Oh. 2005b. Vegetation structure of Hwangjeong wetland around Geumho River.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7(4): 67-80 (in Korean) 

  17.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pp. 914 

  18.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II. pp. 666 

  19. Mun, H.T., J. Namgung and J.H. Kim. 2000. Mass loss and changes of nutrients during the decomposition of Typha angustata. Korean J. Environ. Biol. 18(1): 105-111 (in Korean) 

  20.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 37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