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물관자료의 보존을 위한 전시공간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Planning of Exhibition Space for Conservation of Collection in a Museum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7 no.2 = no.67, 2008년, pp.91 - 101  

정성욱 (호서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s of exhibition space for conservation of collection in a museum.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a condition of conservation which is focused on deterioration in a exhibition space,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질적인 제안을 위해 2000년부터 2004년 사이에 국내,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박물관 보존환경 실태를 현장 조사한 19개관5)과 문헌조사를 행한 해외시설 23 개관, 총 42 개관을 1차 조사, 분석하였다. 다만 그 가운데 다수의 시설을 대상으로 한 유형적 연구형식을 지양하기 위하여 각 시설의 해당 부문들을 비교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우수한 특정 사례를 선별한 후, 전시 환경 계획의 요건과 방향 제시에 접근되는 사례들을 본 연구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취하고자 한다.
  • 둘째, 추출된 전시환경 계획의 주요 대상을 근간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존과학, 박물관학 등에서 논의되고 있는 박물관 자료 보존의 요구 조건과 이에 따른 전시공간의 환경요건과 해외 우수 시설의 전시환경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박물관자료 보존을 위한 전시공간 환경계획의 요건 및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질적인 제안을 위해 2000년부터 2004년 사이에 국내,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박물관 보존환경 실태를 현장 조사한 19개관5)과 문헌조사를 행한 해외시설 23 개관, 총 42 개관을 1차 조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박물관 자료의 보존을 위한 전시공간의 환경 계획에 관한 첫 단계로 계획의 초기 단계에 적용해야 할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리, 지침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향후 이를 근간으로 박물관 자료의 보존 조건에 의한 분류체계를 고려하여 국내 국공립박물관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전시공간의 구획과 배치 방안, 전시공간의 빛 환경, 쇼케이스 디자인의 다양화 방안에 관련된 일련의 연구를 단계적으로 발표할 예정에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다른 어떤 것으로도 대체될 수 없는 유일무이한 존재인 동시에 현대 박물관에 있어 전시공간의 기능 수행에 근간이 되는 박물관 자료의 보존환경 구축이 무엇보다도 최우선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근간으로 전시 부문의 환경계획 요건을 제안하고자 전시공간과 쇼케이스의 계획 요소들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침을 정리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다른 어떤 것으로도 대체될 수 없는 유일무이한 존재인 박물관 자료의 보존적 견지에서 전시공간에서의 환경 개념과 조건을 고찰하고 이를 근간으로 보존과학적 입장을 전시 공간 계획에 접목한 박물관 전시환경의 계획 요건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추후 제시될 국내 국공립 박물관 전시공간의 환경구획 검토 및 박물관 공간 구조 모형의 도출에 지원되는 단계적 연구에 해당하며, 기존 시설의 전시환경 개선방향 및 향후 신축 박물관 전시환경 계획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아홉째, 벽부형 쇼케이스는 외기에 의한 온. 습도 변화의 직접적인 영향, 콘크리트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습기, 알칼리 오염 인자 등을 고려하여 건축구조체를 쇼케이스의 일부분인 뒤쪽의 경계벽으로 삼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하며, 이를 불가피하게 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우선 콘크리트 면에 차단재를 설치한 후 쇼케이스 후면에 불투습재와 조 습성이 있는 재료로 2차벽을 설치하는 마감 방식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uzanne Keene, Managing Conservation in Museums, Butterworth Heinemann, 1996 

  2. Simon Knell, Care of Collections, Routledge, 1997 

  3. Cooper-Hewitt, Conservation Concerns-A Guide for Collection and Curators, Smithsonian, 1992 

  4. Susan M. Pearce, Museum.Object and Collections, Smithsonian, 1992 

  5. May Cassar, Environmental Management, Routledge, 1995 

  6. Gary Thomson, The Museum Environment, Butterworth, London., 1986 

  7. Manfred Lehmbruck, Museum Architecture, Unesco, 1985 

  8. Eilean Hooper-Greenhill, Museums and the Shaping of Knowledge, Routledge, 2003 

  9. Jonathan Ashley Smith, Risk Assessment for Object Conservation, Butterworth Heinemann, 1999 

  10. 半澤重信, 博物館建築, 鹿島出版會, 東京, 1991 

  11. 谷邦夫, 空氣調和.衛生工學, (社)空調衛生工學會, 1997 

  12. 般進.井出.川角.齊藤.谷出, 박물관 건축에 따른 준공 설비데이터, 空調衛生設備社, 日本, 1999 

  13. 田邊悟, 建築知識, 東京, 1984, 6월호 

  14. (社) 空氣調和.衛生工學會, 建築設備集成 11. 展示.收藏施設, 1992 

  15. 綱干善敎, 高橋隆博, 博物館學槪說, 關西大學出版部, 2001 

  16. Nikken Architecture 編, MIHO Museum, 東京, 日本, 1996 

  17. 登石健三 外, 文化財.保存科學の原理, 丹靑社, 2000 

  18. 淸水康宏, 기후현미술관의 공조설비, 전력과 건축설비, 1985.9 

  19. 峯岡猛, 도쿠가와미술관의 공조 설비, 전력과 건축설비, 1987.10 

  20. 김영관 외, 박물관 자료의 수집과 관리-유물관리론, 서경문화사, 2001 

  21. 이내옥, 문화재 다루기, 열화당, 1996 

  22. 최광남,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 대원사, 1994 

  23. 사다와 마사아키, 문화재 보존과학개설, 서경문화사, 2000 

  24. 최종호, 박물관 실무지침(1), (사)한국 박물관협회, 2000 

  25. 김주삼,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 책세상, 2001 

  26. Manfred Lehmbruck 저, 김홍범 외 역, 박물관 건축과 환경, 국립중앙 박물관, 1995 

  27. 임채진, MED.박물관의 전시.환경계획지침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환경개발연구원, 1997 

  28.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내 전시 및 수장 공간의 공조환경 기준 연구, 문화체육부, 1996 

  29.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내 전시 및 수장유물의 보존환경 기준 연구, 문화체육부, 1996 

  30. Kamba Nobuyuki, Characteristic of Relative Humidity within a Small Space such as a Packing Case, a Storage Box and a Display Case, 文化財保存修復學會誌, vol.44, 2000 

  31. Edward A. Boileau, 박물관 진열장의 공기 유동량 변화에 따른 시스 템 개발, 한국박물관건축학회 제2회 학술발표회, 1999 

  32. 神庭信幸, 東京國立博物館에 있어서의 收藏環境과 環境保全計劃의 現 狀溫濕度에 關하여, 한국박물관건축학회 제5회 국제학술발표대회, 2001. 11 

  33. 정성욱, 국내 역사계박물관의 소장자료 분류체계와 수장고 분류방안,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55호, 2006. 4 

  34. 정성욱, 문화재 보존을 위한 박물관 수장고의 공간계획 지침 연구, 한 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56호, 2006. 6 

  35. 최종호, 전시와 보존, 박물관학연구 제3호, 대전보건대학 박물관학 연 구소, 1998 

  36. 안희균, 문화재 보존과학의 개설, 문화재보존과학연수, 문화재청, 1993 

  37. 김병호, 목제품 유물의 보존, 과학적보존연구 제10집, 문화재청, 1989 

  38. 이상수, 매장문화재에 대한 보존과학의 역할,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 보존과학 창간호, 1999 

  39. 유혜선.김명남.이승은, 燥濕濟(Art-Sorb)를 이용한 壁附形陳列欌 密閉度 間接測定,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보존과학 제3집, 2001 

  40. 김명남.유혜선, 密閉欌燥內濕 실리카겔의 濕度調節 效果 硏究, 국립중 앙박물관, 박물관보존과학 제2집,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