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물관 환경 분석을 통한 동산문화재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
Study on Environmental Factors for Movable Cultural Properties in Museum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1 no.9, 2009년, pp.811 - 816  

김일규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서용수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주현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문화재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보존환경 및 훼손영향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박물관 3곳의 환경 중 동산문화재의 보존환경과 관련된 전시실, 전시케이스, 수장고에서 온 습도, 산류, 암모니아, 환원황화합물, 알데히드류를 조사하여 주요 영향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온 습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아세트 알데히드는 빈번히 국 내외의 박물관 보존환경 기준 및 실내공기질 기준을 초과하였고, 포름알데히드, 염소, 암모니아는 간헐적으로 기준을 초과하는 특성을 보였다. 빈번히 기준을 초과한 온도, 습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아세트알데히드, 동산문화재의 주요 영향인자로써 동산문화재의 효과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서 이들 인자는 적절한 제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ong with research into the latest preservation treatments for items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of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and the effect of damage are also increasing. This study conducted comprehensive research into the temperature, humidity, acids, ammonia, reduced sulfur compounds, al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주요 박물관 환경기준과 국내 실내공기질 기준과 비교하여 주요한 영향인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주요 영향물질들의 관리 기준 및 제어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박물관 3곳에서 온 ∙ 습도 뿐 아니라 알데히드류, 유기산성물질, 환원황화합물, 염소에 대해 ppb 수준까지 정량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주요 박물관 환경기준과 국내 실내공기질 기준과 비교하여 주요한 영향인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주요 영향물질들의 관리 기준 및 제어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훼손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보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훼손인자는 온도, 습도, 조도, 미생물, 미세입자, 산성물질, 알칼리물질, 산화성물질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들 인자는 온도, 습도와 같은 환경인자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화재 보존환경의 유지 및 관리는 무엇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 문화재 보존환경의 유지 및 관리는 문화재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문화재의 보존 처리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보존환경 및 훼손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국내 박물관 3곳의 환경 중 동산문화재의 보존환경과 관련된 전시실, 전시케이스, 수장고에서 온∙습도, 산류, 암모니아, 환원황화합물, 알데히드류를 조사하여 주요 영향 인자를 확인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박물관 3곳의 환경 중 동산문화재의 보존환경과 관련된 전시실, 전시케이스, 수장고에서 온∙습도, 산류, 암모니아, 환원황화합물, 알데히드류를 조사하여 주요 영향 인자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온∙습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아세트알데히드가 주요 영향인자로 평가되었으며, 2순위 영향인자로는 포름알데히드, 염소이온, 암모니아 순으로 평가되었다. 동산문화재의 환경에 의한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온도 및 습도 뿐 아니라 이와 상호작용을 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아세트알데히드, 초산류에 대하여 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박물관에서 동산문화재 보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공조기는 온도와 습도, 그리고 먼지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이며, 이러한 공기조화시스템으로써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아세트알데히드, 산류 등을 모두 제거 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radley, S., “Preventive Conservation: the research legacy”. Conservation Science 2002, pp. 3-7 (2002) 

  2. Bradley, S., and Thickett, D., “The pollution problem in perspective” In ICOM-CC 12th Trennial Meeting preprints, Lyon, Bridgland, J. (ed). London : James and James, 1, pp. 8-13 (1999) 

  3. Camuffo, D., R. Van Grieken, H. -J. Busse, G. Sturaro, A. Valentino, A. Bernardi, N. Blades, D. Shooter, K. Gysels, F. Deutsch, M. Wieser, O. Kim, and O. U. Ulrych.“ Environmental Monitoring in Four European Museum.” Atmospheric Environment 35(Supplement 1) pp. 127-140 (2001) 

  4. 임채진, “박물관 수장환경의 개념설정과 설계지표에 관한 연구- 박물관 환경디자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7) -”,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1, 129-138 (1999) 

  5. 도이시겐조, 문화재보존과학의 원리, 한언출판사 (2004) 

  6. Pamela B.Hatchfield, Pollutants in the Museum Environment (2002) 

  7. 홍정기, “문화재 전시 및 수장시설 내에서의 보존환경 조사연구”, 보존과학연구, 22, 155-171 (2001) 

  8. 김윤신, 동산문화재 보존환경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9.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기준 (2008) 

  10.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시설 . 환경 기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2008) 

  11. JIS A 1901 “Determination of the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ldshydes for building products - Small chamber method” (2003) 

  12. 김윤덕, 이경회, “환기방식에 따른 TVOC의 방출량을 고려한 실내 적정 환기량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2(11), 279-287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