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이트의 무의식 관점으로 본 공간 속 오브제 의미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의 필립 스탁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object in Space from the Viewpoint of the Unconscious of Freud - Focusing on works by Philippe Starck after 2000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7 no.2 = no.67, 2008년, pp.130 - 139  

박유미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실내디자인) ,  이찬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attached importance to the values of spirit and immateriality. As the age of modernism of rationality ended, human being began to emphasize spiritual and immaterial while accepting multiplicity and diversification in the whole areas of society and culture. Hence interests have increased i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있다고 할 수 있다. 공간을 형성함에 있어 인간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직결된 만큼 인간의 내면적 영역에 대해 연구하여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와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그 관계를 모색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적 개념인 프로이트의 무의식에 대한 이론을 그가 발표한 '꿈의 해석'을 토대로 이론적 고찰을 한다.
  • 그의 작품에는 관습에 도전하고 위반하는 도전적인 정신과 미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세상을 도발하려는 그의 욕망이 드러난다. 그저 '아름다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문화적 개념 의미를 인간적 개념의 선(善)으로 바꾸고자 한 것이다. 그는 영감을 받기위해 특별히 무언가의 레퍼토리를 이용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 말하며, 작업의 핵심을 대중의 즐거움에 초점을 두고 사물을 진지하게 바라봄으로써 해답을 찾아내려했다」9) 또한 “특별한 누구를 위해 어떤 디자인을 하고 싶지 않다.
  • 특히 그의 공간은 가구를 비롯한 많은 오브제가 메시지를 전달하는 주요 인자로 취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필립 스탁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 속의 오브제를 프로이트의 무의식에 대한 이론인 꿈의 해석과 연결시켜 오브제가 공간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분석하여, 공간과 오브제의 관계 및 해석의 범위를 확장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공간을 형성함에 있어 인간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직결된 만큼 인간의 내면적 영역에 대해 연구하여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와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그 관계를 모색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적 개념인 프로이트의 무의식에 대한 이론을 그가 발표한 '꿈의 해석'을 토대로 이론적 고찰을 한다. 또한 무의식적인 것으로부터 창조해낸 하나의 조형세계이며, 프로이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정신분석학과도 평행하는 현상을 다루고 있는 초현실주의를 배경으로 오브제를 살펴본다.
  • 본 연구는 필립 스탁의 공간속에 나타나는 오브제의 의미를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공간의 재배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는 오브제의 또 다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장에서는 필립 스탁이 디자인한 실내공간에서 오브제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공간속 요소로서 자리 잡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작품대상의 범위는 필립 스탁의 디자인적 특성인 다의적, 역설적 구성이 잘 나타난 2000년 이후의 작품을 기준으로 하고, 작품 선정 기준은 아래<표 7>과 같다.
  • 또한 무의식적인 것으로부터 창조해낸 하나의 조형세계이며, 프로이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정신분석학과도 평행하는 현상을 다루고 있는 초현실주의를 배경으로 오브제를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한 오브제의 개념을 필립 스탁의 공간 속에 대입시켜 봄으로써 오브제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 그만의 언어로 나타난 상징적, 환영적, 다의적 등의 표현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중에서 중심을 이루고 있는 무의식을 기반으로 한 초현실주의적 성향을 띠고 있었다. 초현실주의가 체계화된 무의식과 환상, 그리고 꿈의 세계로서 의식에 속박되지 않는 인간정신의 자유를 추구한 것처럼 필립 스탁의 오브제는 고정관념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현실세계로부터 인간의 정신을 해방시키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ARCK, Tashen Verlag, 2002 

  2. Morgan Conway, 오숙은 옯김, 스탁- 스타일의 전복자, 스탁, 미메시스, 2006 

  3. 데이비드 스태포드 클라크, 최창호 옮김, 한권으로 읽는 프로이트, 푸른숲, 1997 

  4. 기다 겐, 김신재 역, 현대사상지도, 산처럼, 2005 

  5. S.프로이트, 김기태 옮김, 꿈의 해석, 선영사, 2002 

  6. 할포스터, 전영백, 현대미술 연구소, 욕망 죽음 그리고 아름다움: 포스트모던 시각으로 본 초현실주의와 프로이트, 아트북스, 2005 

  7. 강흥구, 현대 미술의 기초개념, 도서출판 재원, 1995 

  8. 정무정, 미니멀리즘, 열화당, 2003 

  9. 마단 시럽, 알기쉬운 자끄라깡, 김혜수 역, 백의, 2005 

  10. 안소연, 초현실주의 오브제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재조명, 홍익대 석론, 2007 

  11. 박소라, 필립스탁의 호텔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공간구성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통권51호, 2005 

  12. 조윤희, 필립스탁의 실내공간에 있어서 초현실주의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6 

  13. 김수정,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오브제적 공간구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6 

  14. http://www.starck.com 

  15. http://www.neosurrealism.net/frame.ht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