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 동작에 적합한 남성복 슬랙스의 밑위길이 여유분 설정에 관한 연구
An Establishment of Crotch Ease of Men's Slacks for Lower Body Mobili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2 no.4, 2008년, pp.553 - 561  

김영희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se of crotch depth and the mobility of leg movement. Ten Korean men were participated as subjects and 0. 3, 6cm of crotch ease were inserted for test clothes. To analyze objectively, range-of-motion of four selected movem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성복 하의에 있어서 밑위 길이 여유분을 설정하여, 이에 따른 하지의 운동기능성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보다 기능적인 하의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객관적 측정을 통하여 하지 운동 기능성을 정량화하고 이를 하지 동작면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둘째, 주관 평가를 통하여 밑위길이 여유분에 따른 피험자의 착용감을 조사하고, 셋째, 최적의 밑위길이여 유분을 주정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하의의 밑위길이 여유분과이에 따른 하지 운동기능성을 측정하고, 이를 주관 평가 뿐 아니라, 인체의 동작측정을 중심으로 한 객관평가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보다 활동성 높은 하의 제작을 위한 적정 밑위길이 여유분을 추정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영희. (2002). 소방용 coverall의 기능적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2), 1739-1784 

  2. 김영희. (2003). 의복의 기능성 측정을 위한 관절각도법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2), 1734-1780 

  3. 김영희. (2007). 자동차 정비 작업복의 기능적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4), 531-539 

  4. 나경희. (1994). 슬랙스의 신체적합성에 관한 연구. 이회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나미향, 허동진, 정복희, 이정순, 김정숙. (1995). 산업패턴설계-여성복. 서울: 교학연구사 

  6. 남윤자, 이형숙. (1996). 남성복 연구. 서울: 교학연구사 

  7. 남윤자, 이형숙. (2005). 남성복 패턴 메이킹. 서울: 교학연구사 

  8. 박재경. (1994). 슬랙스 원형의 밑위 앞뒤길이 여유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4). Size Korea 2004,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결과. 서울: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10. 연지연. (1999). 슬랙스의 바지통과 밑위길이에 따른 동작기능성.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혜진, 최혜선. (2002). 운전 자세에 적합한 기능적 슬랙스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1), 1514-1526 

  12. 이형숙. (1996). 서양의복구성. 서울: 교학연구사 

  13. 임원자. (1995). 의복구성학. 서울: 교문사 

  14. 전경배, 최찬관. (1995). 건축법규 해설. 서울: 세진사 

  15. 조성희. (1982). 슬랙스 제작을 위한 원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눈문 

  16. 조진숙. (1993). 컴퓨터를 활용한 바지 원형의 밑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조희림. (1996). 자동차 정비 작업복에 관한 태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한국표준협회. (2004). KS K 0050-성인 남성복의 치수. 서울: 한국표준협회 

  19. 한국표준협회. (1999). KS A 7004-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인체측정. 서울: 한국표준협회 

  20. 허동진, 나미향, 이정순, 김정숙, 정복희. (2006). 산업패턴설계-남성복. 서울: 교학연구사 

  21. Adams, P. S. & Keyserling, W. M. (1993). Three methods for measuring range of motion while wearing protective clothing: A compar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2, 177-191 

  22. Armstrong, H. J. (1995). Pattern making for fashion design (2nd ed.).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 

  23. Brown, M. M. (1954). Effect of clothing on the use of the Arm and Shoulder gird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Iowa, Iowa 

  24. Huck, J. (1988). Protective clothing systems: A technique for evaluating restriction of wearer mobility. Applied Ergonomics, 19(3), 185-190 

  25. Huck, J. & Kim, Y. (1997). Coveralls for grass fire figh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9(4, 5), 346-359 

  26. Kopp, E., Rolfo, V., Zelin, B., & Gross, L. (1991). How to draft basic patterns (4th ed.).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 Inc. 

  27. Kim, Y. (1996). Fire fighter coveralls: A study in functional apparel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nsas State University, Manhattan, KS 

  28. Kawashima, M. (1977). Fundamentals of Men's fashion design (Revised 1st ed.). NewYork: Fairchild Publications 

  29. Nicoloff, C. (1957). Effects of clothing on range of motion in the arm and shoulder. Technical report EP-49, Quartermaster R & D Center, Natick, MA. 

  30. Roberts, E. & Onishenko, G. (1998). Fundamentals of men's fashion design, a guide to casual clothes (2nd ed.).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Inc. 

  31. Soul, E. V. & Jaffe, J. (1955). The effect of clothing on gross motor performance. Technical report EP-12, R & D center, Natick, MA. 

  32. Watkins, S. M. (1984). Clothing: The portable environment. Ames, Iowa: Th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