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사태취약성 분석을 통한 북한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위험도 평가
An Assessment of Ecological Risk by Landslide Susceptibility in Bukhan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2 no.2, 2008년, pp.119 - 127  

김경태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유주한 (창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  장갑수 (충남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인자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였으며, 중첩분석 및 합산평가 매트릭스분석을 이용한산사태 취약성 지도 및 생태적 위험 지표 작성을 통해 향후산사태 재해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사태 평가 인자로는 사면경사, 사면방향, 경사길이, 토양배수, 식생활력도(NDVI), 토지이용도가 선택되었으며, 공간데이터베이스는 $30m\times30m$ 해상도로 구축되었다. 분석결과, 우이동 및 도봉계곡 일대의 산사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생태적 위험도는 도봉계곡, 용어천계곡 및 정릉계곡, 평창계곡 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이들 지역의 관리계획 수립 시 산사태 위험에 대한 영향도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managed to establish the space information on incidence factors of landslide targeting Bukhansan National Park and aimed at suggesting a basic data for disaster prevention of a landslide for the period to come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rough drawing up the map indicating vulnerabi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위치하여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은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인위적 간섭에 따른 산사태 발생의 취약성과 그에 따른 생태적 위험도를 평가하여 생태계 보전 및 관리, 복원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 인자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였으며, 중첩분석 및 합산평가 매트릭스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지도 및 생태적 위험지도 작성을 통해 향후 산사태 재해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인준, 장용구, 곽재하(1993)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사태 예측. 한국측지학회지 11(2): 53-58 

  2. 과학기술부(2006) 산사태 위험도 판정시스템 및 피해감지기술 개발 

  3. 국립방재연구소(1998) 사면안정성 조사와 피해경감을 위한 기초연구 

  4. 김경태,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2005) GIS 및 R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 75-87 

  5. 김종원, 남화경(1996) 한국 국립공원의 생태학적 특성분석과 보전 전략. 한국생태학회지 19(1): 93-104 

  6. 나정화, 채인홍, 사공정희, 류연수(2003) 도시계획지역 내 농경지의 잔여경관요소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평가 및 보존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1(5): 31-42 

  7. 마호섭(1990) 지리산지역의 산지붕괴와 토사유출에 관한 연구. 경상대 연습림연보 1: 13-25 

  8. 마호섭(1994) 산지사면의 붕괴위험도 예측모델의 개발 및 실용화 방안. 한국임학회지 83(2): 175-190 

  9. 마호섭, 정원옥(2007) 우리나라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6(6): 611-619 

  10. 산림청(2004) 등산로 훼손 유형별 생태적 정비요령 -숲길 정비 매뉴얼- 

  11. 수자원관리정보시스템(2008) http://www.wamis.go.kr 

  12. 양인태, 천기선, 박재국, 이상윤(2007) GIS를 이용한 강우조건에 따른 산사태 취약지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1): 39-46 

  13. 우경덕, 심규원, 한상열, 이주희(2003) 북한산국립공원 탐방객의 시 .공간 이용분포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7(4): 53-59 

  14. 우보명, 임경빈, 이수욱(1978) 안양지역에 있어서 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에 관한 실태조사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39: 1-34 

  15. 유주한, 조흥원, 정성관, 이철희(2004) 미선나무 자생지의 생육특성과 환경특성간의 상관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210-220 

  16. 이사로, 김윤종, 민경덕(2000) 산사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및 산사태 공간 정보의 활용. 한국GIS학회지 8(1): 141-153 

  17. 이용준, 박근애, 김성준(2006)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26(5): 861-867 

  18.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이호찬(2002) 산사태의 발생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 38-47 

  19. 이천용, 최 경, 이종혁, 이창우(2002)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기법개발. 산림과학논문집, 65: 1-10 

  20. 조남춘, 최철웅, 전성우, 한경수(2006) RS와 GIS 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성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 54-66 

  21. 천기선, 박재국(2007) 산사태 취약지에서의 토지피복상태 변화 추적.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3): 69-76 

  22. 최경(2001) 산사태 예보와 위험지 판정기술. 방재연구 3(4): 15-27 

  23. 한국자원연구소(2000)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 연구 

  24. Chau, K.T., Y.L. Sze, M.K. Fung, W.Y. Wong, E.L. Fong, L.C.P. Chan(2004) Landslide hazard analysis for Hong Kong using landslide inventory and GIS. Computers and Geosciences 30(4): 429-443 

  25. Dai, F.C. and C.F. Lee(2002)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slope instability modeling using GIS, Lantau Island, Hong Kong, Geomorphology 42: 213-228 

  26. Liu, J.G., P.J. Mason, N. Clerici, S. Chen, A. Davis, F. Miao, H.L. Deng, Liang(2004) Landslide hazard assessment in the Three Gorges area of the Yangtze river using ASTER imagery: Zigui-Badong. Geomorphology 61: 171-187 

  27. Marks. R.(1989) Meohoden Oekologischer Planung im Kommunalen Umweltschutz am Beispiel der Stdt Dortmund. VGFO Band 18. Goeltingen, pp. 589-592 

  28. Perotto-Baldiviezo, H.L., T.L. Thurow, C.T. Smith, R.F. Fisher, X.B. Wu(2004) GIS-based 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for landslide hazard assessment in steeplands, southern Hondura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03: 165-1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