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해만에서 분리한 중심목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Grev.) Cleve의 성장에 미치는 광학적 특성
Optical Characteristic on the Growth of Centric Diatom, Skeletonema costatum (Grev.) Cleve Isolated from Jinhae Bay in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6 no.2, 2008년, pp.57 - 65  

오석진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  강인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수산과학과) ,  윤양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수산과학과) ,  양한섭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해만에서 분리한 중심목 규조류 S. costatum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을 알기 위해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온 20$^{\circ}C$와 염분 30 psu의 환경조건에서 광량과 성장의 관계식은 $\mu$=1.17 (I-5.25)/(I+81.8), (r=0.98)로 최대 성장속도는 1.17 day$^{-1}$, 반포화광량(K$_s$)은 92.4 ${\mu$mol photons $m^{-2}s^{-1}$ 그리고 보상광량(I$_0$)은 5.28 $\mu$mol photon $m^{-2}s^{-1}$)로 나타났다. 진해만에서 I$_0$에 해당하는 수심을 계산한 결과, 3월에서 5월은 3$\sim$5m, 6월은 11m, 7월에서 9월은 4m로 진해만에서 S. costatum은 표층에서 잘 성장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광저해현상은 150 $\mu$mol photons $m^{-2}s^{-1}$ 이상의 광량에서 세포밀도의 감소를 보여, S. costatum의 성장을 위한 최적 수심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성장에 미치는 파장의 영향을 알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근자외선 영역부터 근적외선영역을 포함하는 9개 파장 빛을 주사하였다. 25 $\mu$mol photons $m^{-2}s^{-1}$에서 S. costatum은 405, 470, 505, 525, 568, 644 nm에서 성장을 하였지만, 590m와 523nm에서는 성장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100 $\mu$mol photons $m^{-2}s^{-1}$는 모든 파장대에서 잘 성장하였다. 따라서 S. costatum은 황색파장대가 우점하는 폐쇄성 연안역에서 충분히 잘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light qual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centric diatom, Skeletonema costatum (Jinhae Bay strain) were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At 20$^{\circ}C$ and 30 psu, the irradiance-growth curve showed the maximum growth rate of 1.17 day$^{-1}$ with half-satura...

주제어

참고문헌 (39)

  1. 강정훈, 김웅서. 2006. 인위적인 동물플랑크톤 첨가에 따른 중형 폐쇄생태계내 플랑크톤 변동. 한국해양환경공학회 지. 9:109-119 

  2. 문성기, 최철만. 2003. 국내 해양식물플랑크톤의 주요종과 분포에 대한 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12:725-733 

  3. 박종규, 허성회, 정해진. 2001.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 I. 광 환경에 따른 광합성 특성과 일차생산력. Algae. 16:189-196 

  4. 오석진, 윤양호. 2004. 여수해만에서 분리한 유독 와편모조류, Gymnodinium catenatum (Graham)의 성장에 미치는 수온, 염분과 광 조건. Algae. 19:293-301 

  5. 오석진, 윤양호, 김대일, 島崎洋平, 大島雄治, 本城凡夫. 2006.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 Algae. 21:311-316 

  6. 오석진, 양한섭, 山本民次. 2007. 수치모델을 이용한 와편모 조류 Alexandrium tamarense, Gymnodinium catenatum 및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의 종간 경쟁에 미치는 용 존태 유기인의 영향. 한수지. 40:39-49 

  7. 오석진, 이종석, 박종식, 노일현, 윤양호. 2008. 진주만 식물플 랑크톤 군집 천이에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1:98-104 

  8. 윤양호. 2000. 시아해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공간적 분포특성과 기초생물량변동에 영향을 미치 는 환경특성. 환경생물. 18:77-93 

  9. 이원호, 심재형. 1995. 한국연안산 규조 Skeletonema costatum의 조도에 대한 생태적지위 성분의 종내 변이. 한국해양학회지. 30:436-441 

  10. 함경훈, 김무상, 이형호. 2002. 미세조류, Skeletonema costatum의 성장에 미치는 유기주석 화합물의 급성 및 만성 독성효과. 한수지. 35: 534-541 

  11. Aidar E, SMF Gianesella-Galvao, TCS Sigaud, CS Asano, TH Liang, KRV Rezende, MK Oishi, FJ Aranha, GM Milani and MAL Sandes. 1994. Effects of light quality on growth biochemical composition and photosynthetic production in Cyclotella caspia Grunov and Tetraselmis gracilis Kylin Butcher. J. Exp. Mar. Biol. Ecol. 180:175-187 

  12. Brand LE, RRL Guillard and LS Murphy. 1981. A method for the rapid and precise determination of acclimated phytoplankton reproduction rates. J. Plankton Res. 3: 193-201 

  13. Correa-Reyes JG, MP Sanchez-Saavedra, DA Siqueiros-Beltrones and N Flores-Acevedo. 2001. Isolation and growth of eight strains of benthic diatoms, cultured under two light conditions. J. Shellfish Res. 20:603-610 

  14. Faust MA, JC Sager and BW Meeson. 1982. Response of Prorocentrum mariae-lebouriae (Dinophyceae) to light of different spectral qualities and irradiances: growth and pigmentation. J. Phycol. 18:349-356 

  15. Gallagher JC. 1982. Physiological variation and eletrophoretic banding patterns of genetically different seasonal populations of Skeletonema costatum (Bacillariophyceae). J. phycol. 18:148-162 

  16. Guillard RRL and D Ryther. 1962. Studies of marine planktonic diatoms. I. Cyclotella nana Hustedt and Detonula confervacea (Cleve) Gran. Can. J. Microbiol. 8:229-239 

  17. Figueroa FL, J Aguilera and FX Niell. 1995. Red and blue light regulation of growth and photosynthetic metabolism in Porphyra umbilicalis (Bangiales, Rhodophyta). Eur. J. Phycol. 30:11-18 

  18. Holdsworth ES. 1985. Effect of growth factor and light quality on the growth, pigmentation and photosynthesis of two diatoms, Thalassiosira gravida and Phaeodactylum tricornutum. Mar. Biol. 86:253-262 

  19. Jones LW and B Kok. 1966. Photoinhibition of chloroplast reactions. Plant Physiol., 41:1037-1043 

  20. Jeffrey SW and M Vesk. 1977. Effects of blue-green light on photosynthetic pigments and chloroplast structure in the marine diatom Stephanopyxis turris. J. Phycol. 13:271-279 

  21. Koblents-Mishke OI. 1979. Photosynthesis of marine phytoplankton as a function of underwater irradiance. Soviet Plant Physiol. 26:737-746 

  22. Kim D-I, Y Matsuyama, S Nagasoe, M Yamaguchi, YH Yoon, Y Oshima, N Imada and T Honjo. 2004.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harmful red tid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J. Plankton Res. 26:61-66 

  23. Kirk JTO. 1994. Light & photosynthesis in Aquatic ecosystems,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24. Langdon C. 1987. On the causes of inter specific differences in the growth-irradiance relationship for phytoplankton. Part I. A comparative study of the growth-irradiance relationship of three marine phytoplankton species: Skeletonema costatum, Olisthodiscus luteus and Gonyaulax tamarensis. J. Plankton Res. 9:459-482 

  25. Lederman TC and P Tett. 1981. Problems in modeling the photosynthesis-light relationship for phytoplankton. Bot. Mar. 24:125-134 

  26. Nelson NB and BB Prezelin. 1990. Chromatic light effects and physiological modeling of absorption properties of Heterocapsa pygmaea (Glenodinium sp.). Mar. Ecol. Prog. Ser. 63: 37-46 

  27. Nishikawa T, K Miyahara and S Nagai. 2002. The growth response of Coscinodiscus wailesii Gran (Bacillariophyceae) as a function of irradiance isolated from Harima-Nada, Seto Inland Sea, Japan. Bulletin of Plankton Society of Japan 49:1-8 

  28. Nishikawa T and M Yamaguchi. 2006. Effect of temperature on light-limited growth of the harmful diatom Eucampia zodiacus Ehrenberg, a causative organism in the discoloration of Porphyra thalli. Harmful Algae 5:141-147 

  29. Oh SJ, D-I Kim, T Sajima, Y Shimasaki, Y Matsuyama, Y Oshima, T Honjo and H-S Yang. 2008. Effects of irradiance of various wavelengths from light-emitting diodes on the growth of the harmful dinoflagellate Heterocapsa circularisquama and th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Fisheries Sci. 74:137-145 

  30. Sanchez-saavedra MP and D Voltolina. 1994.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haetoceros sp. (Bacillariophyceae)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Comp. Biochem. Physiol. 107B:39-44 

  31. Smith RC and KS Baker , 1980. Biologically effective dose transmitted by culture bottles in $^{14}C$ productivity measurements. Limnol. Oceanogr. 25:364-366 

  32. Takahashi M and Y Hara. 1989. Control of diel vertical migration and cell division rhythm of Heterosigma akashiwo by day and night cycles. pp. 265-268. In Red Tides (Okaichi T, DM Anderson and T Nemoto eds.). Elsevier. New York 

  33. Wallen DG and GH Geen. 1971. Light quality in relation to growth, photosynthetic rates and carbon metabolism in two species of marine plankton algae. Mar. Biol. 10:34-43 

  34. Yamaguchi M and T Honjo. 1989.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noxious red tide flagellate Gymnodinium nagasakiense (Dinophyceae). Nippon Suisan Gakkaishi. 55:2029-2036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s) 

  35. Yamamoto T, Y Yoshizu and K Tarutani. 1995.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isolated from Mikawa Bay, Japan. Jpn. J. Phycol. 43:91-98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s) 

  36. Yamamoto T, T Seike, T Hashimoto and K Tarutani. 2002. Modelling the population dynamics of the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in Hiroshima Bay, Japan. J. Plankton Res. 24:33-47 

  37. Yamamto T, SJ Oh and Y Kataoka. 2002.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Dinophyceae) isolated from Hiroshima Bay, Japan. Fisheries Sci. 68:356-363 

  38. Yamamoto T and T Seike. 2003. Modelling the population dynamics of the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in Hiroshima Bay, Japan. II. Sensitivity to phys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J. Plankton Res. 25:63-81 

  39. Yoder JA. 1979. Effect of temperature on light-limited growth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keletonema costatum (Bacillariophyceae). J. Phycol. 15:362-3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