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긴산 나트륨의 코팅이 삼투정 펠렛의 약물방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dium Alginate of Osmotic Pellet on Drug Releas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2 no.2, 2008년, pp.103 - 108  

윤주용 (전북대학교 BK-21 고분자 BIN 융합연구팀) ,  구정 (전북대학교 BK-21 고분자 BIN 융합연구팀) ,  이수영 (한국화학연구원 융합바이오 기술연구센터) ,  김문석 (한국화학연구원 융합바이오 기술연구센터) ,  이봉 (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강길선 (전북대학교 BK-21 고분자 BIN 융합연구팀) ,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융합바이오 기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삼투정 펠렛은 경구를 통한 약물전달 시스템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삼투정 펠렛은 수팽윤성 시드층과 모델약물인 니페디핀을 포함하는 약물층 그리고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반투막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모델약물인 니페디핀을 포함한 삼투정 펠렛을 제조하고, 반투막층으로 사용되는 초산셀룰로오스(CA)와 Eudragit RS의 코팅두께에 따른 약물방출 거동과 알긴산 나트륨과 알긴산 나트륨의 가교가 삼투정 펠렛의 약물방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델약물인 니페디핀을 포함한 삼투정 펠렛의 제조는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코팅 수율로 $1500{\sim}1700{\mu}m$ 내외의 펠렛이 제조됨을 SEM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펠렛의 반투막 층의 코팅두께에 따른 약물방출 거동을 보면 반투막의 코팅 두께가 증가할수록 약물의 방출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 알긴산 나트륨을 반투막층 위에 코팅하였을 경우 인공위액(pH 1.2)에서는 약물방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인공장액(pH 6.8)으로 교체한 후 약물방출이 서서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알긴산 나트륨을 염화칼슘을 이용하여 가교시켰을 경우 약물의 방출이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삼투정 펠렛의 약물방출은 반투막충의 코팅두께에 영향을 받으며, 알긴산 나트륨이 삼투정 펠렛의 약물방출에 영향을 끼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smotic pellet, which consisted of water-swellable seed layer, drug layer, and porous membrane layer, has been widely utilized in oral drug delivery system. In this work, we describe the preparation of osmotic pellet with nifedipine as model drug and a mixture of cellulose acetate (CA) and Eudragi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gure 1). 이번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제조된 펠렛의 약물방출 거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반투막층의 두께를 변화시키고 알긴산 나 트륨 코팅을 통하여 알긴산 나트륨이 약물방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Drug Delivery System Using Osmotic Pump", in High Efficiency Anticancer Drug Using Polymeric Biomaterials, H. B. Lee, Editor, Munundang Publishing Co., Seoul, Chap. 10, pp 135-154 (2004) 

  2. N. Ray and F. Theeuwes, "Implantable osmotically powered drug delivery systems", in Drug Delivery Systems, P. Johnson and J. G. Lloyd-Jones, Editors, Ellis Horwood Ltd., Chichester (England), Chap. 7, pp 120-138 (1987) 

  3. H. B. Lee, D. H. Lee, B. K. Kang, S. Y. Jeung, and. G. Khang, J. Korean Pharm. Sci., 32, 241 (2002) 

  4. S. Azarmi, J. Farid, A. Nokhodchi, S. M. Bahari-Saravi, and H. Valizadeh, Int. J. Pharm., 246, 171 (2002) 

  5. L. Liu,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Polymer (Korea), 7, 289 (1999) 

  6. P. S. L. Wong, B. L. Barclay, J. C. Deters, and F. Theeuwes, U.S. Patent 4,765,989 (1986) 

  7. S. C. Jeong, Y. H. Jo, M. S. Kim, B. Lee,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Polymer(Korea), 30, 112 (2006) 

  8. L. Liu,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Bio-Med. Mater. Eng., 9, 297 (1999) 

  9. L. Liu, J. Ku, B. Lee, J. M. Rhee, and H. B. Lee, J. Control. Release, 68, 145 (2000) 

  10. V. M. Rao, J. L. Haslam, and V. J. Stella, J. Pharm. Sci., 90, 807 (2001) 

  11. L. Liu,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Biomater. Res., 3, 47 (1999) 

  12. D. H. Lee, G. Khang, and H. B. Lee, Biomater. Res., 5, 1 (2001) 

  13. S. N. Makhija and P. R. Vavia, J. Control. Release, 89, 5 (2003) 

  14. A. G. Thombre, L. E. Appel, M. B. Chidlaw, P. D. Daugherity, F. Dumont, L. A. F. Evans, and S. C. Sutton, J. Control. Release, 94, 75 (2004) 

  15. S. C. Jeong, S. K. Chon, Y. H. Jo,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29, 288 (2005) 

  16. L. Liu and B. Che, Eur. J. Pharm. Sci., 64, 180 (2006) 

  17. H. Ho, C. Chen, and M. Sheu, J. Control. Release, 68, 433 (2000) 

  18. Y. Wang and M. A. Winnik, Macromolecules, 23, 4731 (1990) 

  19. J. Siepmann, F. Lecomte, and R. Bodmeirer, J. Control. Release, 60, 379 (1999) 

  20. M. F. Saettone, G. Perini, P. Rijli, L. Rodriguez, and M. Cini, Int. J. Pharm., 126, 83 (1995) 

  21. P. S. Shah and J. L. Zatz, Drug. Dev. Ind. Pharm., 18, 1759 (1992) 

  22. T. U. Okarter and K. Singla, Drug. Dev. Ind. Pharm., 26, 323 (2000) 

  23. R. C. Rowe, A. D. Kotaras, and E. F. T. White, Int. J. Pharm., 22, 57 (1984) 

  24. J. C. Gutierrez-Rocca and J. W. McGinity, Int. J. Pharm., 103, 293 (1994) 

  25. I. Niopas and A. C. Daftsios, J. Pharm. Biomed. Anal., 32, 1213 (2003) 

  26. M. Takahashi, M. Mochizuki, T. Itoh, and M. Ohta, Chem. Pharm. Bull., 42, 333 (1994) 

  27. J. Y. Youn, J. Ku, S. Y. Lee, B. S. Kim,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31, 329 (2007) 

  28. H. Kage, R. Abe, R. Hattanda, T. Zhou, H. Ogura, and Y. Matsuno, Powder Technol., 130, 203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