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간식 섭취 실태
Snacking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3 no.2, 2008년, pp.199 - 206  

최슬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최현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장남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성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공학부) ,  박혜경 (식품의약품안전청)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nacking behavior in adolescents. We selected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in 11 school districts in Seoul. The subjects were 1,813 students (904 boys and 909 girls) in 21 schools (11 middle schools and 10 high schools). Subjects reported their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식 섭취 시간, 간식의 종류, 간식 가짓수, 함께 먹는 사람 등의 전반적인 간식 섭취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 중고등학생 1,813명을 대상으로 간식 섭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섭취 간식의 종류, 섭취 시간, 구매 장소, 함께 먹은 사람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간식 섭취 실태에 대해 조사한 연구로써, 서울시 각 교육청 단위에서 임의로 학교를 선정하여 대상자들을 모집하였기 때문에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 하루 동안 간식을 먹지 않은 대상자는 9.

가설 설정

  • 5%로 부산 지역 학생보다 간식 섭취자 비율이 더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식 섭취 횟수가 아닌 섭취 간식의 가짓수를 조사하였기 때문에 타 연구와 간식 섭취 횟수를 비교하기 어려우나, 1회 간식 섭취 시 1~2가지 간식을 먹는다고 가정한다면 본 연구 대상자들도 하루평균 1~2회 간식을 섭취한다고 예상할 수 있다. 대상자들은 귤, 과자, 우유, 빵, 아이스크림을 간식으로 많이 먹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식 섭취가 가져오는 결과는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간식은 세끼 식사에서 충족시키지 못한 영양소를 보충하고 끼니 사이의 공복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므로(Shim 등 2004), 영양소 필요량이 높은 청소년은 간식 섭취를 통해 영양 부족과 불균형을 완화할 수 있다. 적절한 간식 섭취는 성장 발육에 도움이 되지만, 섭취하는 간식의 종류와 그 양에 따라 간식 섭취가 가져오는 결과는 다를 수 있다.
Shim은 간식이 어떤 역할을 한다고 하였는가? 청소년기는 제2의 급성장기로 성장발육과 성 성숙을 위해 충분한 영양 공급이 필요하며, 생애주기에서 영양소 필요량이 가장 많은 시기이다(Spear 2002). 간식은 세끼 식사에서 충족시키지 못한 영양소를 보충하고 끼니 사이의 공복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므로(Shim 등 2004), 영양소 필요량이 높은 청소년은 간식 섭취를 통해 영양 부족과 불균형을 완화할 수 있다. 적절한 간식 섭취는 성장 발육에 도움이 되지만, 섭취하는 간식의 종류와 그 양에 따라 간식 섭취가 가져오는 결과는 다를 수 있다.
서울시 중고등학생 1,813명을 대상으로 간식 섭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섭취 간식의 종류, 섭취 시간, 구매 장소, 함께 먹은 사람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1. 연구 대상자들은 하루 평균 2.8가지의 간식을 섭취하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간식 섭취 가짓수가 유의하게 많 았다(p < 0.001).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섭취한 간식은 귤과 과자류였다. 연령별, 성별로 다빈도 간식에 차이가 있었다. 2. 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하루 1~3가지 간식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3%는 하루 동안 간식을 전혀 먹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식품군별 가장 많이 섭취한 간식은 기타 음식류와 과일이었으며, 저녁식사 전에 간식을 섭취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 집단별로 섭취 간식 가짓수(p < 0.05) 와 다빈도 간식 식품군에 차이가 있었다(p < 0.001). 점심 식사 전과 저녁식사 전에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간식 섭취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각 시간대별 섭취 간식의 가짓수가 달랐다. 간식은 혼자 먹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섭취 간식의 46.2%는 외부에서 구입한 것이었다. 3. 과일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간식은 저녁식사 전에 먹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과일은 저녁식사 후에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간식을 혼자 먹는 경우가 많았으나 과일과 기타 음식류는 가족과 함께 먹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탄산음료, 과자, 사탕, 초콜릿, 아이스크림은 친구와 함께 먹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과일을 제외한 모든 간식은 외부에서 구매한 것이었으며, 과일은 집에 있던 것을 먹은 대상자가 많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zadbakht L, Mirmiran P, Esmaillzadeh A, Azizi F (2005): Dairy consumptio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Tehranian adults. Am J Clin Nutr 82: 523-530 

  2. Basdevant A, Craplet C, Guy-Grand B (1993): Snacking patterns in obese French women. Appetite 21: 17-23 

  3. Forslund HB, Lindroos AK, Sjostrom L, Lissner L (2002): Meal patterns and obesity in Swedish women-a simple instrument describing usual meal types, frequency and temporal distribution. Eur J Clin Nutr 56: 740-747 

  4. Chang HS, Kim MR (1999): The change on food habits of girl students living in Jeonbuk region. Korean J Community Nutr 4(3): 366-374 

  5. Choi HK, Willett WC, Stampfer MJ, Rimm E, Hu FB (2005): Dairy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men: a prospective study. Arch Intern Med 165: 997-1003 

  6. Cullen KW, Baranowski T, Rittenberry L, Cosart C, Hebert D, de Moor C (2001): Child-reported family and peer influences on fruit, juice and vegetable consump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Health Educ Res 16(2): 187-200 

  7. Field AE, Austin SB, Gillman MW, Rosner B, Rockett HR, Colditz GA (2004): Snack food intake does not predict weight chang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t J Obes 28: 1210-1216 

  8. Giammattei J, Blix G, Marshak HH, Wollitzer AO, Pettitt DJ (2003): Television watching and soft drink consumption: associations with obesity in 11- to 13-year-old schoolchildren. Arch Pediatr Adolesc Med 157: 882-886 

  9. Hampl JS, Heaton CL, Taylor CA (2003): Snacking patterns influence energy and nutrient intakes but not body mass index. J Hum Nutr Diet 16: 3-11 

  10. Han YS, Joo N (2005):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adolescence obesity. Korean J Food Culture 20(2): 172-185 

  11. He K, Hu FB, Colditz GA, Manson JE, Willett WC, Liu S (2004): Changes in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in relation to risk of obesity and weight gain among middle-aged wo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8: 1569-1574 

  12. Human Nutrition Lab,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I/DB Lab,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96): DS24 

  13. Johnsen SP, Overvad K, Stripp C, Tjonneland A, Husted SE, Sorensen HT (2003): Intake of fruit and vegetables and the risk of ischemic stroke in a cohort of Danish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78: 57-64 

  14. Joo E, Park E (1998): Effect of sex and obese index on breakfast and snack intak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ray Culture 13(5): 487-496 

  15. Kalsbeek H, Verrips GH (1994): Consumption of sweet snacks and caries experience of primary school children. Caries Res 28(6): 477-483 

  16. Lee JM, Park HJ, Park SM (2003): A survey on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or development snack. Korean J Food Culture 18(2): 151-159 

  17. Lee JS (2007): A comparative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classified by age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2(5): 534-544 

  18. Maffeis C, Provera S, Filippi L, Sidoti G, Schena S, Pinelli L, Tato L (2000): Distribution of food intake as a risk factor for childhood obesity. Int J Obes 24: 75-80 

  19. Marshall HM, Allison KC, O'Reardon JP, Birketvedt G, Stunkard AJ (2004): Night eating syndrome among nonobese persons. Int J Eat Disord 35: 217-222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3. Mirmiran P, Esmaillzadeh A, Azizi F (2005): Dairy consumption and body mass index: an inverse relationship. Int J Obes (Lond) 29: 115-121 

  24. Moynihan P, Petersen PE (2004):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dental diseases. Public Health Nutr 7(1A): 201-226 

  25. Nicklas TA, Yang SJ, Baranowski T, Zakeri I, Berenson G (2003): Eating patterns and obesity in children. The Bogalusa Heart Study. Am J Prev Med 25(1): 9-16 

  26. Park HO, Kim EK, Chi KA, Kwak TK (2000): Comparison of the nutrition knwoledge, food habits and life styles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K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5(4): 586-597 

  27. Park MS, Hong KJ, Cho YS, Lee JW (2007): A study on the promotion of adolescent's milk consumption(2) -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milk intake frequency with food attitude, snacking frequency, physical activity and school vending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3(1): 73-83 

  28. Phillips SM, Bandini LG, Naumova EN, Cyr H, Colclough S, Dietz WH, Must A (2004): Energy-dense snack food intake in adolescence: longitudinal relationship to weight and fatness. Obes Res 12(3): 461-472 

  29. Schlundt DG, Hill JO, Sbrocco T, Pope-Cordle J, Sharp T (1992): The role of breakfast in the treatment of obesi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m J Clin Nutr 55: 645-651 

  30. Sheiham A (2001): Dietary effects on dental diseases. Public Health Nutr 4(2B): 569-591 

  31. Shim JE, Paik HY, Moon HK, Kim YO (2004):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s: (5) meal patterns.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42(8): 169-185 

  32. Spear BA (2002): Adolescent growth and development. J Am Diet Assoc 102(3): S23-29 

  33. Stockman NK, Schenkel TC, Brown JN, Duncan AM (2005): Comparison of energy and nutrient intakes among meals and snacks of adolescent males. Prev Med 41: 203-210 

  34. Story M, Neumark-Sztainer D, French S (2002):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adolescent eating behaviors. J Am Diet Assoc 102(3): S40-51 

  35. van't Veer P, Jansen MC, Klerk M, Kok FJ (2000):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prevention of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Public Health Nutr 3(1): 103-107 

  36. Zizza C, Siega-Riz AM, Popkin BM (2001): Significant increase in young adults' snacking between 1977-1978 and 1994-1996 represents a cause for concern. Prev Med 32: 303-3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