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담석 형성에 영향을 주는 식생활 관련 요인 연구
Study on Dietary Risk Factors in Gallstone Formatio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3 no.2, 2008년, pp.288 - 297  

김은정 (경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영미 (경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민준 (연세대학교 식품영양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reported frequently that clinical features of gallstone disease in Korean were similarly changing to those of Occidentals. This changing was thought to be due to Westernized lifestyle and dietary patterns in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risk facto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보는 담낭담석환자의 높은 비만율과 당뇨 발생률 경향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고한 바 있으며(Kim & Lee 2007), 본 연구에서는 담낭담석환자와 정상인을 비교하여 담낭 담석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로 알려진 성별 변인, 비만과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등의 대사성 질환의 유무, 생활 습관 관련된 요소 및 식사 관련 요소들 중 담석증의 발병과 관련이 있는 요소들 간의 구체적인 관련성을 찾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콜레스테롤 담석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 국내외 문헌을 통해 밝혀진 위험 요인을 바탕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담석이란 무엇인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담즙의 성분이 굳어져서 담관이나 담낭에 생기는 돌을 담석(gallstone)이라 하고 이로 인한 병변(兵變)을 담석증(cholelithiasis)이라고 한다. 담석은 담석의 위치, 성분, 구조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가 가능하여 위치에 따라서 담낭결석, 총담관결석, 간내결석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성분에 따른 분류에 의하여 콜레스테롤을 주성분으로 하는 콜레스테롤 담석과 빌리루빈을 주성분으로 하는 색소 담석(갈색색소담석과 흑색석)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Shim 2000).
담석은 위치에 따라 어떻게 분류하는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담즙의 성분이 굳어져서 담관이나 담낭에 생기는 돌을 담석(gallstone)이라 하고 이로 인한 병변(兵變)을 담석증(cholelithiasis)이라고 한다. 담석은 담석의 위치, 성분, 구조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가 가능하여 위치에 따라서 담낭결석, 총담관결석, 간내결석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성분에 따른 분류에 의하여 콜레스테롤을 주성분으로 하는 콜레스테롤 담석과 빌리루빈을 주성분으로 하는 색소 담석(갈색색소담석과 흑색석)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Shim 2000).
여성 콜레스테롤 담석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담석은 발생 기전과 원인의 차이에 의해서 생기는데 콜레스테롤 담석의 경우 담즙 콜레스테롤의 과포화, 핵화, 담낭수축 저하의 기전으로 발생 한다(Shim 2000). 콜레스테롤 담석의 원인으로는 사회경제적 수준 향상과 연령의 증가, 여성의 잦은 임신횟수 및 경구피임약과 여성호르몬의 복용, 비만이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생화학지표들과 콜레스테롤 담석 형성과의 관련성이 연구되고 있다(Mendes-Sanchez 2005). 즉 생화학 지표 중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등에서 담석이 호발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그 외 적은활동량과 흡연과 음주, 불규칙한 식생활, 고열량과 고단백, 고지방 식사, 단순당의 과다 섭취 및 섬유질 섭취부족 등이 콜레스테롤 담석 발생의 위험 인자로 보고되고 있다(Shaffer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olukbas FF, Bolukbas C, Horoz M, Ince AT, Uzunkoy A, Ozturk A, Aka N, Demirci F, Inci E, Ovunc O (2006):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gallstone and biliary sludge formation during pregnancy. Gastroenterol Hepatol 21(7): 1150-3 

  2. aroli-Bosc FX, Deveau C, Peten EP, Delabre B, Zanaldi H, Hebuterne X, Hastier P, Viudes F, Belanger F, Caroli-Bosc C, Harris A, Hardion M, Rampal P, Delmont JP (1998): Cholelithiasis and dietary risk factors: 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in Vidauban, Southeast France. General Practitioner's Group of Vidauban. Dig Dis Sci 43(9): 2131-7 

  3. Cho KR, Hahm JS, Eun CS, Park JY, Lee SH, Han DS, Lee OY, Jeon YC, Yoon BC, Lee MH, Kee CS (2002):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gallbladder motility. Korean J Gastroenterol 41(10): 233 

  4. Choi SC, Choi SJ, Kim SH, Lee CH, Cho EY, Yeom JJ, Kim TH, Nah YH, Choi KS (2002): Effects of Body Composition and gallbladder emptying following exercise in obese female Students. Korean Society of Sports Medicine 20(1): 22-32 

  5. Chung YJ (2006): Prevalence and risk factor of gallstone in general health screening people. Master degree thesis, Kyungpook University 

  6. Chung HR (2006):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The 2001 Korean Na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39(7): 684-691 

  7. Diehl AK, Haffner SM, Hazuda HP, Stern MP (1987): Coronary risk factors and clinical gallbladder disease: an approach to the prevention of gallstones. Am J Public Health 77(7): 841-5 

  8. Kono S, Shinchi K, Todoroki I, Honjo S, Sakurai Y, Wakabayashi K, Imanishi K, Nishikawa H, Ogawa S, Katsurada M (1995): Gallstone disease among Japanese men in relation to obesity, glucose intolerance, exercise, alcohol use, and smoking. Scand J Gastroenterol 30(4): 372-6 

  9. Kim GH, Ok CM, Kim BJ, Chu HJ, Song CS, Song GA, Cho M, Yang US (1996): A clinical review of gallstone diseases in Koreans. Korean J Gastroenterol 28: 352-361 

  10. Kim YK (2005): Study on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gallstones health screening subjects by ultrasonography. The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11. Kim EJ, Lee YM (2007): A descriptive study of gallstone patient'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12(6): 826-837 

  12. Klass DM, Buhrmann K, Sauter G, Del Puppo M, Scheibner J, Fuchs M, Stange EF (2006): Biliary lipids, cholesterol and bile synthesis: different adaptive mechanisms to dietary cholesterol in lean and obese subjects. Aliment Pharmacol Ther 1;23(7): 895- 905 

  13. Lee JK, Choi SH, Rhee PL, Lee JH, Lee JH, Lee KT, Kim JJ, Noh JH, Koh KC, Paik SW, Rhee JC (1997):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stone in health screening people. Korean J Gastroenterol 29(1): 85-92 

  14. Leitzmann MF, Giovannucci EL, Stampfer MJ, Spiegelman D, Colditz GA, Willett WC, Rimm EB (1999): Prospective study of alcohol consumption patterns in relation to symptomatic gallstone disease in men. Alcohol Clin Exp Res 23(5): 835-41 

  15. Mendez-Sanchez N, Chavez-Tapia NC, Motola-Kuba D, Sanchez- Lara K, Ponciano-Rodriguez G, Baptista H, Ramos MH (2005): Metabolic syndrome as a risk factor for gallstone disease. World J Gastroenterol 11(11): 1653-1657 

  16. Min YI, Lee SK, Kim MH, Lim CM, Shong YK, Lee KU, Moon DH, Lee MH (1991): Gallbladder emptying in diabetes mellitus. Korean J Gastroenterol 23(2): 528-532 

  17. Misciagna G, Centonze S, Leoci C, Guerra V, Cisternino AM, Ceo R, Trevisan M (1999): Diet, physical activity, and gallstones-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southern Italy. Am J Clin Nutr 69(1): 120-6 

  18. Moerman CJ, Smeets FW, Kromhout D (1994): Dietary risk factors for clinically diagnosed gallstones in middle-aged men. A 25- year follow-up study (the Zutphen Study). Ann Epidemiol 4(3): 248-54 

  19. Park HS, Kim MH, Lee SK, Seo DW, Nam SW, Kim YS, Myung SJ, Min YI (1997): Study of the dietary factors in the formation of biliary stone. Korean J Gastroenterol 29: 805-814 

  20. Shim CS (2000): Gallstone and dietary therapy, pp. 12-14, 25-26, Korea Medical Publishing Company 

  21. Shaffer EA (2006) Gallstone disease: Epidemiology of gallbladder stone disease.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20(6): 981-96 

  22. Sichieri R, Everhart JE, Roth H (1991): A prospective study of hospitalization with gallstone disease among women: role of dietary factors, fasting period, and dieting. Am J Public Health 81(7): 880-4 

  23. Simon JA, Hudes ES (2000): Serum ascorbic acid and gallbladder disease prevalence among US adults: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Arch Intern Med. 160(7): 931-6 

  24. Stampfer MJ, Maclure KM, Colditz GA, Manson JE, Willett WC (1992): Risk of symptomatic gallstones in women with severe obesity. Am J Clin Nutr 55(3): 652-8 

  25. Tsai CJ, Leitzmann MF, Hu FB, Willett WC, Giovannucci EL (2004):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nut consumption and the risk of gallstone disease in men. Am J Epidemiol 160(10): 961-8 

  26. Tsai CJ, Leitzmann MF, Hu FB, Willett WC, Giovannucci EL (2004): Frequent nut consumption and decreased risk of cholecystectomy in women. Am J Clin Nutr 80(1): 76-81 

  27. Tsai CJ, Leitzmann MF, Willett WC, Giovannucci EL(2004): Dietary protein and the risk of cholecystectomy in a cohort of US women: the Nurses' Health Study. Am J Epidemiol 160(1): 11-8 

  28. Tsai CJ, Leitzmann MF, Willett WC, Giovannucci EL (2005): Glycemic load, glycemic index, and carbohydrate intake in relation to risk of cholecystectomy in women. Gastroenterology 129(1): 105-12 

  29. Tsai CJ, Leitzmann MF, Willett WC, Giovannucci EL (2006): Central adiposity, regional fat distribution, and the risk of cholecystectomy in women. Gut 55(5): 708-14 

  30. Wang SN, Yeh YT, Yu ML, Dai CY, Chi WC, Chung WL, Lee KT (2006): Hyperleptinaemia and hypoadiponectinaemia are associated with gallstone disease. Eur J Clin Invest 36(3): 176-80 

  31. Yun YB (2004): Pathgenesis of gallstones. Midical Postgraduates 32(2): 66-7 

  32. Yun YB, Park SJ, Kim SW, Park SJ YC, Kim YT, Park YH (2003):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analysis of 20-Year experience of surgically treated gallstone patients. Korean J Gastroenterol 42: 415-4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