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학지리학적 관점에서 본 북촌 도시한옥 밀집지역의 물리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Physical Identities of Bukchon Hanok Area Viewed from Literary Geography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9 no.2, 2008년, pp.115 - 124  

박철수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beneficial methodology to increase cultural values of urban style Hanok,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Based on the literary geographical approach, this study defines the physical identities of special Bukchon Hanok area in Seoul. The explored physical identities are to pro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 같은 가정은 합리적인 반면 일정한 한계를 가진다. 왜냐하면 오늘날은 과거 전(前)산업시대와는 달리 한 고을에서 성장하여 그곳만의 풍부한 전통과 소중한 가치를 소중하게 여기면서 자신의 작품에 온전하게 담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수용하되 최근 3년 이내에 발표된 작품들을 통해 오늘날 서울 북촌 도시한옥 밀집지역이 어떤 공간적 독자성으로 작가들의 시선에 포착되어 그려지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현재하는 물리적 정체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4)
  • 그러나 문제는 이렇게 배가된 관심의 집중이나 섣부른 제도와 정책이 자칫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세심한 주의와 축적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역사도시 서울의 정체성을 관리하거나 복원하는 일은 시급한 일이며, 이 논문은 이런 점에서 도시한옥 밀집지역의 물리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시사점과 활용방안의 일면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다를 것이라는 가정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북촌의 도시한옥이 본격적으로 지어지기 시작한 1930년대의 실제 상황을 그린 사실 (facts)을 당시의 잡지와 문학작품 등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당시 모습을 중심으로 북촌에 대한 대중들의 상황인식과 시선을 먼저 살핀 뒤 최근의 각종 문학작품에서 서술되고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현재적 의미의 도시한옥 밀집지역이 드러내는 북촌의 경관적 특성, 도시조직과 주거건축의 상관성, 생활공간으로서의 북촌의 도시한옥이 갖는 기술의장적 특징 등을 물리적 정체성으로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다.(1)
  • 공간적 독자성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논문의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도시한옥 밀집지역의 보전이나 복원 등과 같은 도시한옥에 대한 새로운 보급과 관리수단의 확보와 함께 도시한옥을 매개로 하는 다양한 문화상품의 개발과 보급 둥 문화적 가치창출에 유용한 방법론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52)아울러 기왕의 관련 연구성과가 주로 건축구법이나 형태유형학 등에 주목하고 있다면 여기에 덧붙여 문학지리학적 의미를 보탬으로써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문학작품들이 이곳에서 탄생하였거나 혹은 이곳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등을 보태 북촌 도시한옥이 품고 있는 문화적 풍요로움을 강조하가 위한 것이기도 하다.
  • 이 논문은 서울 북촌의 도시한옥 밀집지역을 대상으로하거나 작품 속의 공간적 배경 일부 혹은 서사의 중요한축으로 북촌 일대를 둥장시킨 40여 편의 문학작품 속 묘사내용을 문학지리학적 입장에서 분석하여 물리적 정체성과 공간적 독자성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논문의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도시한옥 밀집지역의 보전이나 복원 등과 같은 도시한옥에 대한 새로운 보급과 관리수단의 확보와 함께 도시한옥을 매개로 하는 다양한 문화상품의 개발과 보급 둥 문화적 가치창출에 유용한 방법론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 이 논문은 이같은 조작적 정의를 기초로 서울 북촌의 가회동 일대 도시한옥 밀집지역이 다양한 문학작품 속에서는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가를 물리적인 차원으로 한정하여 분석함으로써 도시한옥 밀집지역의 고유한 물리적 특질이 무엇인가를 살펴 이를 물리적 정체성(physical identity)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今

가설 설정

  • 그러나 북촌 도시한옥 밀집지역의 물리적 특질은 오랜 시간을 거치며 축적되거나 변형되어 오늘에 이른 것이라는 점에서 북촌 일대가 도시한옥으로 들어설 당시와는 확연히 다를 것이라는 가정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북촌의 도시한옥이 본격적으로 지어지기 시작한 1930년대의 실제 상황을 그린 사실 (facts)을 당시의 잡지와 문학작품 등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당시 모습을 중심으로 북촌에 대한 대중들의 상황인식과 시선을 먼저 살핀 뒤 최근의 각종 문학작품에서 서술되고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현재적 의미의 도시한옥 밀집지역이 드러내는 북촌의 경관적 특성, 도시조직과 주거건축의 상관성, 생활공간으로서의 북촌의 도시한옥이 갖는 기술의장적 특징 등을 물리적 정체성으로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 첫째, 집합적 정체성이다. 서울 북촌의 도시한옥 밀집지역은 집합적 풍경으로서의 유기적 공간구성을 기본으로하되 집합적 대상이 되는 도시한옥의 사이사이는 좁고 굽은 골목길에 의해 거주자나 방문자들에게 경로의 선택성을 충분하게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영수(2007) 기술.의장 중심의 역사경관 보전방안연구, 서울시립대 박사학위논문 

  2. 김재관.장두식(2007.1), 문학속의 서울, 생각의 나무 

  3. 김정동(2005.3), 문학 속 우리도시 기행, 옛오늘 

  4. 김태준 편저(2005.6), 문학지리.한국인의 심상공간, 논형 

  5. 김태준(2006), 한국의 여행문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6. 김현주(2005.9), 대중소설의 문화론적 접근, 한국학술정보(주) 

  7. 김훈.박래부(2007.12), 김훈.박래부의 문학기행, 따뜻한손 

  8. 민족문학사연구소 엮음(2005.11), 춘향이 살던 집에서 구보씨 걷던 길까지, 창비 

  9. 안창남 외 지음, 이지누 엮고 씀(2005.11), 잃어버린 풍경1-서울에서 한라까지, 호미 

  10. 윤소영 외(2007),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39, 어문학사 

  11. 이동하(1999.8), 한국문학 속의 도시와 이데올로기, 태학사 

  12. 송인호(1990), 도시한옥의 유형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3. 장석주(2006.11), 장소의 탄생, 작가정신 

  14. 장석주(2007.12), 장소의 기억을 꺼내다, (주)사회평론 

  15. 河村吉宏.中村 勝.三浦隆夫(2007.4), 京都文學散策, 京都新聞出版センタ- 

  16. Alison and Peter Smithson (2001), The Charged Void, the Monacelli Press 

  17. Geoffrey Broadbent (1990), Emerging Concepts in Urban Space Design, VNR 

  18. Matthew Frederick (2007), 101 Things I Learned in Architecture School, MIT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