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이호.함덕 해빈퇴적물의 계절적 변화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Iho and Hamdeok Beach Sediments in the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1 no.2, 2008년, pp.243 - 252  

윤정수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과학부) ,  박용성 (제주과학고등학교 지구과학) ,  김태정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과학부) ,  박상운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의 주요 해수욕장인 이호와 함덕해빈에 대한 해빈단면 조사와 입도분석 연구를 통해 해빈퇴적물의 분포경향과 해빈특성을 파악하고, 폴대와 포사기 조사를 통한 계절별 해빈사의 이동방향과 이동량 및 해빈지형 변화상태를 파악하였다. 이호해빈은 중조립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고 총길이 590m이며, 경사는 하계 12.3$^{\circ}$, 동계 10.8$^{\circ}$로 하계가 다소 높은 편이다. 함덕해빈은 패각편 모래로 구성되어 있고 총길이 950m이며, 경사와 폭은 각각 하계 5.7$^{\circ}$, 114.5m, 동계 7.4$^{\circ}$, 97.4m이다. 해수중의 해빈 부유사의 이동량은 동계가 33.2 mg/l로 하계의 4.5 mg/l 보다 많았고 주로 북동 방향에서 해빈모래가 공급되고 있었다. 이호해빈은 해빈 동쪽에 축조된 방사제의 영향으로 모래유실에 의한 해빈변형이 일어나고 있었고, 함덕해빈은 해빈 중앙부와 애도지역에서 북서계절풍에 의한 사구쪽으로 표사이동이 일어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ho and Hamdeok beaches, the major coastal beaches in Jeju Island, have been studied through size analysis and using an experimental extension pole and sediment trap in beach profile,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textural characteristics, migration patterns, and seasonal change in beach geomet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조사지역 해빈모래의 방향별 이동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5년 동계(2, 3월)와 하계(8, 9월) 에간조선 지역에 포사기를 설치하여 부유사의 방향별 이동량을 조사하였다(Table 3). 포사기 조사에 의해 부유사 함량의 방향별 이동량은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호해빈은 여름철에는 북(7.
  • 퇴적되는 해빈사의 이동방향을 변경 및 차단하는 등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Shepard, 1973; Lancastei; 1986). 이러한 해빈침식에 의한 해빈변형은 국내 주요 해수욕장인 부산 해운대 해빈에서도 심각하게 나타나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 . 연구가 수년간 수행되었다(Min et al.
  • , 2005). 제주도 연안에 분포하는 해빈들의 모래유실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연구는 이루어진바 없고, 단지 해수욕장 개장을 앞두고 침식이 심한 지역에 수백 톤에 달하는 많은 양의 모래를 인공 투사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해빈변형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규명과 방지대책 수립을 위한 조사 .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S.H. and Kim, Y.K. (1989)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Jeju Island. Jour. Geol. Soc. Korea, v. 25, p. 230-238 

  2. Choi, J.M., Lee, Y.G. and Woo, H.J. (2005)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of tidal flat sediments in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 v. 26, p. 253-267 

  3.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 Sedi. Petrol., v. 27, p. 3-26 

  4. Friedman, G.M. (1967) Dynamic processes and statistical parameters compared for size frequence distribution of beach and river sands. Jour. Sedi. Petrol, v. 37, p. 327-345 

  5. Hydrographic Office Republic of Korea. (2005) Tide tables V. 1, Pub. No. 1201-1. p. 52-57 

  6.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2005)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Report 11-1360000-000016. Seoul, 248p 

  7. Lancaster, N. (1986) Grain-size characteristics of linear dunes in the southwestern. Klahar. Jour. Sedi, Petrol., v. 56, p.95-400 

  8. Madsen, O.S. and Grant, W.D. (1967) Quantitative description of sediment transport by waves. Inter. Conf. on Coastal Eng., Proc. 15th, p.1093-1112 

  9. Macdonald, E.H. (1973) Manual of beach mining practice, exploration and evaluation. Second edition,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p.1-16 

  10. Min, B.H., Ock, C.Y. and Yang, Y.M. (1982) A study on the bach deformation construction of a sea wall. Jour. Korean Soc. Civil Eng., v. 2, p. 26-39 

  11. Min, B.H., Kim, K. Y. and Lee, S.H. (1984) A study on the deformaton influence of Haeundae beach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a sea wall. Jour. Korean Water Reso. Associ., v. 26, p. 49-56 

  12. Min, B.H., Ock, C.Y. and Yoo, S.H.. (198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ach nourshment method Haeundae beach. Jour Ocean Eng. and Techno. V. 1, p. 84-93 

  13. Lee, H.J., Chun, S.S., Chang, J.H. and Han, S.J. (1994) Landward migration of isolated shelly sand ridge(chenier) on the macrotidal flat of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controls of storms and typhoon. Jour. Sedi. Res., v. 64, p.886-893 

  14. Ryu, S.O., Chang, J.H. and Moon, B.C. (2004)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on mesotidal beach in Imja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Sea, Jour. of the Korean Soc. Oceano., v. 9, p. 83-92 

  15. Ryu, S.O. and Chang, J.H. (2005) Characteristics of tidal beach and shoreline changes in Chonso Bay, west coast of Korea.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 v. 26, p. 584-596 

  16. Shepard, F.P. (1973) Submarine geology. Third Edition, Harper & Row Publishers, New York, p.123-161. Thompson, W.O. (1973) Original structures of beaches, bar and dunes. Bull. Geolo. Soc. Americ. v. 46, p. 723- 752 

  17. Thompson, W.O. (1973) Original structures of beaches, bar and dunes. Bull. Geolo. Soc. Americ. v. 46, p. 723-752 

  18. Visher, G.S. (1969) Grain-size distribution and depositional processes. Jour. Sedi. Petrol. v. 39, p. 1074-1106 

  19. Won, C.K. and Lee, M.W. (1988) The study on petrology for the Quaternary alkali volcanic rock of the Korean Peninsula. Jour. Geol. Soc. Korea. V. 24, p. 181-1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