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서부 하모와 협재 해빈 퇴적물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Hamo and Hyeopjae Beach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3, 2011년, pp.265 - 275  

윤정수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김태정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서부의 하모와 협재 해빈에서 표층 퇴적물과 해빈단면의 계절별 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계절별 해빈사의 이동방향을 조사하였다. 하모해빈은 경사 $7.3^{\circ}-10.8^{\circ}$이며, 화산암 역과 패각편을 포함한 중립질 모래로 구성된다. 협재해빈은 경사 $2.8^{\circ}-6.5^{\circ}$이며, 조립질 패각편 모래로 구성된다. 하모해빈은 해빈 서쪽에 축조된 방사제의 영향으로 해빈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협재해빈은 동계 동안 북서계절풍에 의해 사구 쪽으로 표사이동이 일어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mo and Hyeopjae beaches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were studied in terms of seasonal variations of surface sediment and beach profile. Seasonal drift direction of the beach sands also was investigated. The Hamo beach of $7.3^{\circ}-10.8^{\circ}$ steep is composed of medi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 서부연안에 분포하는 주요 해수욕장 중 하모와 협재해빈에 대하여 동계와 하계로 구분하여 야외조사와 실내연구를 통해 해빈퇴 적물의 계절별 분포상태, 지역별 해빈모래의 퇴적과 침식량 및 부유사의 이동상황 등을 파악하여 해빈변 형의 원인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이란 무엇인가? 해안은 바다와 육지를 연결하는 전이지역으로 넓게 발달하는 해빈, 해안의 만, 삼각주 등으로 구분된다(Davis, 1972). 이러한 해안은 외부의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해안선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해안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해안은 바다와 육지를 연결하는 전이지역으로 넓게 발달하는 해빈, 해안의 만, 삼각주 등으로 구분된다(Davis, 1972). 이러한 해안은 외부의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해안선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제주도의 수계 발달은 어떠한가? 제주도는 신생대 제3기 말에서 제4기 중에 일어난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화산도로서 장축의 길이가 73 km, 단축은 32 km, 해안선의 길이가 263 km인 타원형의 섬이다(원종관 외, 1988). 수계는 한라산체를 발원지로 하여 60여개의 크고 작은 하천들이 해안방 향으로 방사상으로 발달되어 있고, 남북의 급사면에 비하여 경사가 완만하고, 용암대지가 발달하는 동서 사면에는 수계발달이 빈약한 편이다(최순학 외, 1989). 도내 하천들에 두부침식의 선단표고는 대개 1,400-1,600 m 정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류상옥, 장진호, 2005, 한반도 서해 천수만의 해안선 변화 및 조석대 해빈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 584-596. 

  2. 류상옥, 장진호, 조주환, 문병찬, 2004, 한반도 서해남부 임자도 해빈 퇴적작용의 계절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9, 83-92. 

  3. 민병형, 1982, 해안제방 설치에 따른 해빈변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p. 

  4. 민병형, 강용택, 박운용, 김희지, 1985, 해운대 해빈변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한국자원개발연구소 연구보고서, 27 p. 

  5. 민병형, 김희지, 이승휘, 1984, 해운대 해수욕장 침식에 미치는 해안제방의 영향에 대하여. 한국수문학회지, 17, 197-209. 

  6. 민병형, 옥치률, 유상후, 1987, 해운대 해수욕장에 있어서의 해빈공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1, 84-93. 

  7. 서종철, 2001, 서해안 신두리 해안사구의 지형변화와 퇴적물 수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6 p. 

  8. 소광석, 양우헌, 강솔잎, 권이균, 2010, 고창군 동호 해빈 표층퇴적물의 계절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31, 708-719. 

  9. 윤정수, 박용성, 김태정, 박상운, 2008, 제주도 이호.함덕 해빈퇴적물의 계절적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지, 41, 243-252. 

  10. 이문원, 원종관, 이동엽, 박계헌, 김문섭, 1994, 제주도 남사면 화산암류의 화산 층서 및 암석학적 연구. 대한지질학회지, 30, 521-541. 

  11. 중앙기상청, 2010, 기상연보. 기상청, 서울, 311 p. 

  12. 최순학, 김영기, 1989,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특성. 대한지질학회지, 25, 230-238. 

  13. 최정민, 이연규, 우한준, 2005, 한국 남해안 여자만 조간대 퇴적물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6, 252-267. 

  14. Davis, R.A., 1972, Principles of Oceanography.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USA, 434 p. 

  15.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16. Friedman, G.M., 1967, Dynamic processes and statistical parameters compared for size frequence distribution of beach and river sand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37, 327-345. 

  17. Klijn, J.A., 1990, Dune forming factors in a geographical context. In Bakker, Th.W., Jungerius, P.D., and Klijn, J.A. (eds.), Dunes of the European Coasts: Geomor phology-Hydrology-Soils. Catena supplement, 18, 1-13. 

  18. Lancaster, N., 1986, Grain-size characteristics of linear dunes in the southwestern Kalahari.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6, 395-400. 

  19. Macdonald, E.H., 1973, Manual of beach mining practice, exploration and evaluation.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1-16. 

  20. Madsen, O.S. and Grant, W.D., 1967, Quantitative description of sediment transport by wav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 Proceeding 15th, 1093-1112. 

  21. Passega, R., 1964, Grain size representaton by CM pattern as a geological tool.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34, 830-847. 

  22. Shepard, F.P., 1973, Submarine geology. Harper and Row Publishers, NY, USA, 123-161. 

  23. Short, A.D. and Hesp, P., 1982, Wave, beach and dune interaction in southern Australia. Marine Geology, 48, 259-284. 

  24. Thompson, W.O., 1973, Original structures of beaches, bar and dunes. Bulletin of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46, 723-752. 

  25. Visher, G.S., 1969, Grain-size distribution and depositional processe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39, 1074-1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