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을숲의 분포 위치와 지형적 공간특성 유형화 방안 - 경북 의성, 전북 진안 및 전남 함평지역을 대상으로
Locations and Topographical Character of the MAEULSOOP in the Southwestern and the Eastern Regio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1 no.4, 2008년, pp.85 - 93  

권진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이정연 (대구경북개발연구원 도시계획연구팀) ,  박찬열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  최명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초록

전통적으로 마을에 인접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되거나 관리 및 이용되어온 한국의 전통마을숲은 그 역사가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마을숲 조성의 배경은 흔히 주변의 언덕, 물길과 바람통로 등 마을주변 자연환경과 관련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착한 마을과 조성된 마을숲간의 위치관계를 지형적 유형으로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을숲"이 "주체인 마을"의 생활환경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약 500개 이상의 문헌조사와 현장 확인을 통해 전남 북지역과 경북지역 40개 마을숲에 대해 항공사진, GIS에 의한 3차원분석 등을 통해 마을숲과 마을 주변의 지형적 관계를 유형화 하고 조성 의미를 고찰하였다. 지형적 특징에 따른 유형별 마을숲은 다양한 생태계 및 생활환경개선 효과를 마을에 제공할 것으로 추정되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위치적 특성이 마을 주민의 생활상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마을숲 조성의 효과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EULSOOP, Korean traditional village groves have been installed and survived since 7th Century to serve local village dwellers as a community forest. The common sense of their reasons for being is related to the surroundings such as hills, waterways and wind-ways. To understand the roles in a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마을숲이 위치한 지역의 공간구조상의 특성을 지형에 근거하여 조성 · 관리된 위치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지역사회(마을)와의 관계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전국 마을숲 실태조사의 진행과정에서 마을숲의 출현 및 잔존 유형에 대한 발굴 및 연구 효율성 도모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가장 큰 목적은 향후의 마을숲 실태 발굴을 위해 마을숲들이 ‘어떤 곳’에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가에 대한 초안을 제공함으로서 전국 마을숲 실태조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있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현재 마을숲이 당면하고 있는 소실에 대한 복원회복의 실행적 문제 제기를 위한 잔존 마을숲에 대한 실태파악이며, 따라서 고려된 마을숲의 정의와 한계는 포괄적 의미로서, 역사적으로 지역주민의 필요에 의해 조성 · 관리된 숲을 의미하며 그 크기와 면적에 대한 제한은 가급적 두지 않고자 한다.
  • 마을 좌우의 산과 언덕이마을 공간을 충분히 위요하지 못하는 곳, 혹은 노출되는 위치에 산과 연계하여 산의 주능선을 따라 연결하여 조성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노출의 대상은 시각적인 측면과 더불어 바람, 수계, 이동거리, 에너지의 보존 등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분석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향후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마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간 혹은 더 큰 공간과 마을 공간사이에 마을숲을 조성함으로서 그 영향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질 수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을숲 조성의 배경은 흔히 무엇이 되는가? 전통적으로 마을에 인접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되거나 관리 및 이용되어온 한국의 전통마을숲은 그 역사가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마을숲 조성의 배경은 흔히 주변의 언덕, 물길과 바람통로 등 마을주변 자연환경과 관련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착한 마을과 조성된 마을숲간의 위치관계를 지형적 유형으로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을숲"이 "주체인 마을"의 생활환경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약 500개 이상의 문헌조사와 현장 확인을 통해 전남 북지역과 경북지역 40개 마을숲에 대해 항공사진, GIS에 의한 3차원분석 등을 통해 마을숲과 마을 주변의 지형적 관계를 유형화 하고 조성 의미를 고찰하였다.
지형적 특징에 따른 유형별 마을숲은 마을에 무엇을 제공할 것으로 추정되는가? 약 500개 이상의 문헌조사와 현장 확인을 통해 전남 북지역과 경북지역 40개 마을숲에 대해 항공사진, GIS에 의한 3차원분석 등을 통해 마을숲과 마을 주변의 지형적 관계를 유형화 하고 조성 의미를 고찰하였다. 지형적 특징에 따른 유형별 마을숲은 다양한 생태계 및 생활환경개선 효과를 마을에 제공할 것으로 추정되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위치적 특성이 마을 주민의 생활상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마을숲 조성의 효과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통적인 마을숲의 분포 위치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적․공간적 특성 주요 인자는 어떻게 되는가? 전통적인 마을숲의 분포 위치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적․공간적 특성 주요 인자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의 위요와 노출에 영향을 주는 주변 동산·산의 위치와 배열; 둘째, 외부로부터 영향을 입게 되는 주 통로 혹은 더 큰 공간 규모와의 연결점에서 대응․차단 할수 있는가?; 셋째, 마을숲이 외부영향을 차단해야할 주 마을의 위치; 넷째, 마을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바람, 물 등)의 종류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두 지역간의 지형적 차이와 마을숲의 위치 및 모양은 사례별로 다양하였으나, 공통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규칙은 ‘어떠한 영향이 해당 마을의 일상생활에 가장 큰 어려움을 제공하는가? 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상황에 따라 긍정적 영향일수도, 혹은 부정적 영향을 제공할 수도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