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을숲 유형에 따른 수종분포와 관리현황 - 경산시 마을숲을 대상으로 -
Tree Species Distribution Based on Village Forest Types and Management Status - A Case Study of Village Forests in Gyeongsan City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6, 2009년, pp.577 - 584  

이명훈 (영남대학교대학원 조경학과) ,  김용식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신현탁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산시에 있는 32개의 마을숲을 전수조사 하여 입지에 따른 마을숲의 유형을 분류한 바, 동구숲 8개소(25.0%), 동산숲 6개소(18.8%), 하천숲 7개소(21.9%) 및 마을주변숲 11개소(34.4%)를 확인하였다 동구숲에 출현하는 주요수종은 느티나무가 34.3%, 은행나무가 11.2% 및 아까시나무가 10.5% 등을 확인하였으며, 동산숲의 경우 소나무가 56.8%, 상수리나무가 26.4% 및 느티나무가 4.3% 등을 확인하였다. 하천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40.4%, 왕버들이 27.1% 및 말채나무가 5.5% 등을 확인하였으며, 마을주변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21.7%, 상수리나무가 10.8% 및 말채나무가 8.9% 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마을숲의 대부분(71.9%)은 도로 때문에 분획화되어 서식처의 기능이 축소되었다. 마을숲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마을숲 복원을 위한 후대목의 육성 그리고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마을숲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등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types of village forest in Gyeongsan City,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a total of 32 village fores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indicated that village forests in Gyeongsan City can be classified as 8 village enterance forests(25.0%), 6 hillside forests(1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경북내륙의 도시이며 대구시와 인접하여 지속적인 개발압력을 받고 있는 경산시를 중심으로 마을숲의 현황을 파악하고 입지에 따른 유형을 분류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관리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을숲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가? 마을숲은 그러한 마을을 대표하는 문화경관으로서, 마을주민들에 의해 조성된 후 현재까지 보존되어온 공간이다(Choi and Kim, 2007) 마을숲은 태고적부터 간직한 숲 이외에도 역사문화적, 경관적, 이용기능적인 목적으로 마을숲을 조성하였다. 마을숲은 정자나무 한 두 그루를 중심으로 있기도 하고, 혹은 그 이상의 노거수로 형성된 조그만 숲동산이기도 하며, 큰 규모의 숲인 경우도 있다(Kim and Jang, 2005).
마을숲은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가? 마을숲은 신앙적 대상으로서, 마을의 경관자원으로서, 휴양·휴식공간 및 소득원으로서 다의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 으며, 공원녹지의 한국적 원형(Kim and Jang, 1994)으로서 문화마을이나 생태마을 조성에 있어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Kang et al., 2004).
마을숲을 입지유형에 따라 동구숲, 동산숲, 하천숲 및 마을주변숲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중 동구숲의 기준은 무엇인가? 마을입구에 나타나는 숲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마을을 감싸는 유역의 산자락이 물이 빠져 나가는 부근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숲을 조성하여 마을 앞을 가리려는 의도로 조성한 숲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J.U. and D.Y. Kim(2003) A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Community Forest at Gujung-ri in Gangneung as Cultural Landscape. Kor. J. Developing Forum 38(4): 171-181 

  2. Choi, J.U. and D.Y. Kim(2007) Preparation of Data for Restoration of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 from the Case Study of Hanbam and Goiran Village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4): 21-30 

  3. Daegu Weather Station(2008). http://daegu.kma.go.kr/main.jsp 

  4. Jung, S.G., J.H Oh and K.H Park(2002). The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due to the Landcover Change - Case Study in Kyongsan City -. Journal of t 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3): 9-18 

  5. Kang, H.K., K.J. Bang., S.J. Lee and H.B. Kim(2004) Management Guidelines of Village Groves through an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s - Focusing on Village Groves in Gyungsang and Gangwon Province -. Kor. J.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2): 63-74 

  6. Kim, H.B.(1991) A Study on the Korean village gorve. Ph. D. thesis, Univ. of Korea, Seoul, Korea, 335pp 

  7. Kim, H.B. and D.S. Jang(1994) Korean Forest Village. Yeolhwadang 

  8. Kim, H.B. and D.S. Jang(2005). The Village Groves. Kor. J.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Suppl.): 145-149 

  9.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2005) Ecological value of City Forest.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38pp 

  10. Korea Forest Service(2007) Korean Plant Names Index. Korea. 534pp 

  11. Kwon, S.K.(2007) An Analysis of Functi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Traditional Village Grove -Mainly on Gyeongsangbuk-do Region-. Ma. D. thesis, Univ. of Andong National, Andong, Korea, 260pp 

  12.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I, II). Hyangmunsa. Seoul. pp.914-910 

  13. Lee, K.R.(2004). A Study on the Functional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of Village Groves - Focused on Pohang Area -. Ma. D. thesis, Univ. of Dongguk, Gyeongju, Korea, 109pp 

  14. Nam, Y.H. and Y.W. Yoon(1999) A study on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Village woods -the key subject on Wonju area-. Kor. J.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1): 17-27 

  15. Park, J.C.(1999) A Study on the Village Groves in Chinan-Gun Region, Korea. Kor. J. Rural Planning 5(1): 56-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