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저서 단각류를 이용한 퇴적물 독성시험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ediment Toxicity Test Protocols using Korean Indigenous Marine Benthic Amphipod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3 no.2, 2008년, pp.147 - 155  

이정석 ((주)네오엔비즈 환경안전연구소) ,  이승민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박경수 (안양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저서 단각류를 이용한 해양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하여 국내에 분포하는 후보종을 이용하여 수행된 일련의 생태독성시험결과를 제시하고, 이에 근거하여 퇴적물 독성시험을 위한 표준 시험종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퇴적물 독성평가를 위한 시험종으로는 저서단각류인 Mandibulophoxus mai, Monocorophium acherusicum 그리고 여러 국내산 단각류를 이용하였다. 시험법 개발 및 표준화를 위한 시험항목으로는 퇴적물 입도, 수온, 염분 및 암모니아에 대한 내성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과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나 PAHs와 같은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민감도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 포함되었다. 시험 결과 두 종 모두 여러 환경요인에 대한 적합한 내성과 민감도를 갖고 있어 퇴적물 시험종으로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이들 저서 단각류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 다양한 오염도를 갖는 현장 퇴적물에서 10일간 노출한 이후 사망독성을 평가하고, 오염정도와 생물반응의 관계성 등을 분석하였다. 두 종을 비교한 결과, 민감도의 측면에서는 M. mai가, 시험생물 공급, 배양, 유지 및 실험수행의 편의성에서는 M. acherusicum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종 모두 10일간의 퇴적물 사망 독성시험의 시험종으로서 충분한 적합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단각류를 이용한 퇴적물 공정시험법의 작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standard test organisms and to develop test protocols for sediment toxicity tests using indigenous amphipods inhabited in Korean coastal environments. The indigenous amphipods Mandibulophoxus mai and Monocorophium acherusicum were well associated with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먼저 외국의 표준시험 종의 국내 서식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외국에서 이미 표준 시험종으로 이용되고 있는 Leptocheirus plumulosus, Ampelisca abdita, Rhepoxynius abronius, Eohaustorius estuarius, Corophium volutator 등의 저서단각류는 국내에 서식한다는 기록을 찾을 수 없었다(USEPA, 1994; Jo, 1989; Kator et al.
  •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세계적으로도 가장 널리 이용되는 퇴적물 시험생물인 저서 단각류(benthic amphipods)의 국내산시험 종에 대해서 시험종으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였고, 국내산 시험 종에 맞는 표준화된 시험조건을 파악하여 이에 근거한 시험법을 제시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던 여러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작성된 시험법의 특징과 내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이들 채집된 생물들은 실험실로 옮겨져 퇴적물 시험생물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 이용되었다(국립수산과학원, 2006). 따라서 이들 채집된 종을 이용하여 일련의 시험법 개발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 acherusicume 시화호, 온산만, 태안 등의 현장 퇴적물과 준설물, 해양배출물, 방오도료, 발라스트수, 슬래그 등의 다양한 시료에 대한 독성평가에 활용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네오엔비즈 연구팀과 서해수산연구소에서 M. acherusicum을 이용하여 각각 수행한 온산만 퇴적물 독성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온산만 대정천 하류에서 채취한 5개 정점중에서 #1가 육지쪽, #5는 해양 쪽에 가장 가까운 정점으로 오염원에 가까울수록 단각류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 본 논문에서는 국제 표준 시험법을 기반으로 국내산 단각류 시험 종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개량된 퇴적물 독성 공정시험 방법과 절차를 요약하여 아래에 제시하였다(Table 2~4).
  • 따라서 본 연구팀은 세계적으로도 가장 널리 이용되는 퇴적물 시험생물인 저서 단각류(benthic amphipods)의 국내산시험 종에 대해서 시험종으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였고, 국내산 시험 종에 맞는 표준화된 시험조건을 파악하여 이에 근거한 시험법을 제시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던 여러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작성된 시험법의 특징과 내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특히 유해물질에 대한 민감도가 시기별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충분한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 acherusicum과 M. mai 두 종 의용 존 Cd에 대한 민감도의 시기별 변이를 다년간 조사하여 왔다 (Fig. 3). M.
  • 본 연구에서는 단각류 퇴적물 독성시험에 적합한 시험종을 선정하기 위해서 여러 국내산 단각류에 대해 시험 적합도를 평가하는 일련의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먼저 외국의 표준시험 종의 국내 서식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는 별도로 국내산 저서 단각류 시험종개발을 위해서 충남의 8개 지점, 영종도 2개 지점, 대부도, 새만금, 강화도 각 1개 지점 등에서 단각류의 분포를 조사하고 채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충남에서는 M.
  • mai의 경우 1-mm 망은 통과하되 500-µm 망은 통과하지 못하는 개체들을 선별하여 시험에 이용하도록 한다. 이처럼 종에 따라 다른 크기 그룹을 선별하는 것은 이와 같은 절차가 크기 자체가 아닌 각 종의 미성숙 단계(immature stage)의 개체를 선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성숙 단계의 개체들은 민감도의 변이가 크고, 자연 사망률이 높으며, 시험기간 중 산란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시험생물로서 배재하도록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과학기술부, 2001. 연안 저서환경 평가기술, 서울대학교 

  2. 국립수산과학원, 2006. 연안환경 평가관리 연구 

  3. 김창배, 1986, "한국해산 옆새우류의 분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4. 김창배, 1991, "한국해산 옆새우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서울대 학교 박사논문 

  5. 이규태, 이정석, 김동훈, 김찬국, 박건호, 강성길, 박경수, 2005. "국내산 저서 단각류 Mandibulophoxus mai와 Monocorophium acherusicum의 생존", 성장 및 민감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8: 9?16 

  6. 정종우, 2000. "A taxonomic study on the subfamily corophiinae (Crustacea: Amphipoda: Corophiidae) of Korea",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7. 송경준, 2001. "A study on the sediment bioassay using the Korean Amphipod Mandibulophoxus mai Jo",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8. 환경부, 2006, 한국고유생물종도감 (무척추동물 I) 

  9. ASTM, 1994. "Collection, storage, characterization and manipulation of sediments for toxicological testing".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E1391-94 

  10. ASTM, 1999. "Conducting 10-day static sediment toxicity tests with marine and estuarine amphipods".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E1367-99 

  11. Bousfield, E.L., 1973. Shallow-water gammaridean Amphipoda of New England.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12. Bousefiled, E.L. and P.M. Hoover, 1997. The Amphipod Superfamily Corophioidea on the Pacific Coast of Nort America. Part V. Family Corophiidae: Corophiinae, New Subfamily. Systematics and Distributional Ecology. Amphipacifica, 2(3): 67?140 

  13. Burton, G.A. 1992. Sediment toxicity assessment. Lewis Publishers, INC., Chelsea. 457 p 

  14. ISO, 2005. Water quality - Determination of acute toxicity of marine or estuarine sediment to amphipod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16712:2005 

  15. Jo, Y.W., 1989. Shallow-water phoxocephalid Amphipod (Crustacea) of Korea. Bijdragen tot de Dierkunde, 59(2): 97?125 

  16. Lee, B.G., S.B. Griscom, J.S. Lee, H.J. Choi, C.H. Koh, S.N. Luoma and N.S. Fisher, 2000a. Influence of dietary uptake and acid-volatile sulfide on the bioavailability of metals to sediment dwelling organisms. Science, 287: 282?284 

  17. Lee, J.S., B.G. Lee, H.J. Choi, S.N. Luoma, C.H. Koh and C.L. Brown, 2000b. Influence of acid-volatile sulfide on the metal partitioning and bioavailability in contaminated sediments: metal partitioning. Environ. Sci. Tech., 34: 4511?4516 

  18. Lee, J.S., B.G. Lee, H. Yoo, S.N. Luoma and C.H. Koh, 2001. Influence of reactive sulfide (AVS) and supplementary food on Ag, Cd and Zn bioaccumulation in the marine polychaete, Neanthes arenaceodentata. Mar. Ecol. Prog. Ser., 216: 129?140 

  19. Lee, J.S., B.G. Lee, S.N. Luoma and H. Yoo, 2004. Importance of equilibration time in the partitioning and toxicity of zinc in spiked sediment bioassays. Environ. Toxicol. Chem., 23: 65?71 

  20. Lee, J.S., K.T. Lee, D.H. Kim, C.K. Kim, J.H. Lee, K.H. Park and G.S. Park, 2005a. Application of indigenous benthic amphipods as sediment toxicity testing organisms. Ocean Science Journal, 40: 17?24 

  21. Lee, J.S., K.T. Lee and G.S. Park, 2005b. Acute toxicity of heavy metals, tributyltin, ammonia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to benthic amphipod Grandidierella japonica. Ocean Science Journal, 40: 61?66 

  22. Lee, J.S. and J.H. Lee, 2005a. Influence of acid volatile sulfides and simultaneously extracted metals on the bioavailability and toxicity of a mixture of sediment-associated Cd, Ni, and Zn to polychaetes Neanthes arenaceodentata. Sci. Tot. Environ., 338: 229?241 

  23. Lee, J.S. and K.T. Lee, 2005b, Delayed Mortality of Benthic Amphipods Monocorophium acherusicum Exposed to Various Pollutants in Seawater (Cd, Cu, Hg, TBT, Ammonia and Phenanthrene). J. Environ. Toxicol., 20: 133?141 

  24. NIMPIS 2002. Monocorophium acherusicum species summary. National Introduced Marine Pest Information System (Eds: Hewitt C.L., Martin R.B., Sliwa C., McEnnulty F.R., Murphy N.E., Jones T. & Cooper S.) 

  25. USEPA, 1992. "Evaluating Environmental Effects of Dredged Material Management Alternatives", Office of Water, EPA-842-92-008 

  26. USEPA, 1994. "Methods for assessing the toxicity of sediment-associated contaminants with estuarine and marine amphipods",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PA 600/R-94/025 

  27. USEPA, 1998. "EPA's Contaminated Sediment Management Strategy", Office of Water, EPA-823-R-98-001 

  28. USEPA, 2000. "Methods for measuring the toxicity and bioaccumulation of sediment-associated contaminants with freshwater invertebrates (2nd ed.)",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PA 600/R-99/064 

  29. USEPA, 2001, "Method for assessing the chronic toxicity of marine and estuarine sediment-associated contaminants with the amphipod Leptocheirus plumulosus",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PA 600/R-01/0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